자유게시판

조회 수 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월 25일 김희준 교수님의 ?<리비트의 별> 강연 안내입니다.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주기와 광도의 관계를 처음 제시한 하버드의 '컴퓨터' 리비트는? 허블의 법칙이 나오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 천문학 역사에서 길이 남을 발견을 하였죠.

그 발견의 과정과 여성 '컴퓨터' 헨리에타 리비트의 생애를 김희준 교수님의 생생한 강연으로

함께하시죠.?

11월 25일 금요일 저녁 7시 30분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입니다.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은 백북스 하는 날!

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

?

?

헨리에타 레빗의 업적을 간략히 소개하면....

?

'하버드의 ‘컴퓨터’ 헨리에타 레빗이 한 일은 피커링과 함께 밝기가 변하는 별인 변광성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레빗은 곧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천문학자 피커링이 했던 가장 현명한 결정이었을 것이다.

태양 같은 별은 적어도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은 언제가 거의 일정한 세기의 빛을 낸다. 하지만 별 중에는 밝기가 변하는 것도 있다. 이런 별을 변광성이라고 부른다. 변광성 중에는 초신성처럼 한 번 밝아졌다가 어두워져 완전히 사라지는 별도 있고, 주기적으로 밝아졌다 어두워지는 것을 반복하는 별도 있다. 1836년까지 발견된 변광성의 수는 26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사진 건판이 사용되면서 그 수는 급격히 늘어났다. 헨리에타 레빗이 피커링과 함께 변광성을 찾기 시작한 1890년대에는 수백 개의 변광성이 발견되었다.

1908년 레빗은 <마젤란 성운들에 있는 1777개의 변광성들>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레빗은 이 변광성들의 최대 밝기와 최소 밝기의 기록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서도 소마젤란 성운에서 발견된 16개의 별들에 대해서는 변광주기까지 밝혔다. 당시에는 아직 이름이 붙지 않았지만 이 변광성들이 바로 세페이드 변광성들이다. 레빗은 논문에 이렇게 썼다.

?

“변광성들 중 더 밝은 별들이 더 긴 주기를 가진다는 사실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천문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레빗은 밝기가 밝은 변광성일수록 광도가 변하는 주기가 길다는 사실을 알아냈는데, 밝기가 밝은 별은 더 크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을 하는 속도가 느리므로 주기가 길어지는 것이다.

이제 변광성의 주기만 구하면 실제 밝기를 알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 관계를 다른 은하에 있는 변광성들에 적용해 그 은하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주기가 같은 두 세페이드 변광성이 있다면, 이 두 별의 실제 밝기는 같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므로 두 별 중 더 어두운 별은 더 멀리 있다는 뜻이다.

?

우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광원이 탄생한 것이. 이후 이어진 우주에 대한 인류의 놀라운 발견들은 대부분 이 새로운 표준 광원 덕분에 이루어진 것이다. 레빗은 1921년 53세에 암을 사망하는 바람에 허블이 자신의 발견을 이용하여 우주를 보는 관점을 바꾸는 과정을 보지 못했다.'-우주의 끝을 찾아서 헨리에타 레빗 중에서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4 공지 '미래 속으로' 관련 추천 영화 "A.I.""바이센테니얼맨""블레이드 러너" 2 고원용 2003.04.25 2935
4223 '백북스' 학습효과, 검증받았음을 자랑합니다. ^-^ 19 윤보미 2010.02.24 2142
4222 공지 '별밤365' 독후감 5 윤석규 2009.02.12 1821
4221 공지 '북카페', '어린이매장' 새단장 오픈행사안내^ ^ 3 이동선 2008.11.27 1889
4220 공지 '붕어빵 서점'과 책의 위기/조선일보 1 이동선 2008.10.11 1659
4219 공지 '브레인 스토리'에 적힌 실험에대해서... 13 육형빈 2009.01.03 1659
4218 '사진과 인문학' 2월 모임 후기 및 3월 모임 안내 3 임민수 2012.02.26 1547
4217 '산소' 강의 들으러 가려는데... 6 노복미 2010.06.22 2075
4216 공지 '세계가놀란히딩크의 힘' 읽지않은분들 'CEO히딩크'를 읽으세요 김요셉 2002.07.04 4353
4215 '쉬!'의 문인수 시인님을 만나보세요 1 황선애 2010.10.15 1892
4214 '앎'에 대한 목마름, 배움의 기쁨(대전우주대회를 다녀오며..) 3 홍종연 2009.10.11 1915
4213 공지 '연변, 동북아 중심축 잇는 거점地' 1 대덧넷 2002.07.01 6147
4212 공지 '오늘' 11 이동선 2008.05.19 1933
4211 '우공이산의 속임수'를 극복하여 동아시아역사를 통일합시다! 1 file 정예성 2012.03.29 1633
4210 공지 '음악광' 고이즈미 전 일본 총리 전문가급 음악평론서... 2 이동선 2008.05.13 1659
4209 공지 '입자물리학'관련 좋은 사이트 소개 3 엄준호 2007.10.06 1872
4208 공지 '자유의지'라는 환상 1 엄준호 2009.01.06 1965
4207 공지 '저자와의 대화' 토론자를 추천합니다 3 전주 2008.09.17 1820
4206 공지 '접입가경' 베스트셀러 만들기 3 이동선 2007.07.22 2292
4205 '중년의 뇌' 책 잘 받았습니다 37 현영석 2011.03.31 19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