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39
저자 최열(미술평론가)
출판사 돌베개
발표자 최열(미술평론가)
일자 2016-10-11
장소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시 15분

08110165.jpg

?

책 소개

?

?

화가 이중섭, 그의 생애와 예술 세계의 거의 모든 것!

시대와 생애, 삶과 예술, 탄생과 그 진실을 찾아서『이중섭 평전』. 천재화가이자 불행한 생을 살다간 고독한 예술가, 또한 애절한 러브 스토리의 주인공으로 신화가 된 화가 이중섭을 우린 이렇게 기억한다. 이 책은 지금까지 회자되어 온 이중섭에 대한 이야기들이 그의 실체에 얼마나 닿아 있을지의 물음에서 출발한다. 우리 미술사에 빠질 수 없는 인물인 이중섭의 탄생부터 죽음, 고뇌와 예술 세계 그리고 숱하게 흩어진 기록과 기록 속에서 발견한 이중섭이란 한 인간의 실체에 다가가고자 한다.

저자 최열은 1916년 9월 16일에 태어나 1956년 세상에 떠나기까지 이중섭의 생애를 추적하고 사후에 쏟아진 그의 관심의 현상도 담았다. ‘외전-그 떠난 후’라는 별도의 장에서 그의 불명확한 사인과 추모하거나 회고하는 기록을 살핀다. 더불어 그가 남긴 작품을 종합적으로 살피며 시간과 삶의 순간에 따라 그의 작품이 어떻게 변주, 변화되어 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이렇게 이중섭의 생애와 작품의 특징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개별적 작품 특징과 그의 예술 세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달한다. 본문에 담긴 풍부한 이미지는 이중섭의 살아 생전의 모습과 대표작 몇 작품을 선별하여 담았는데 별도의 자세한 설명을 붙여 일별함으로써 새로운 시선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계기도 얻을 수 있다.

?

저자소개

?

최열

저자 : 최열
저자 최열(崔烈, 1956. 5. 23.~)은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덕유산의 무주 안성에서 태어났고 부친의 직장을 따라 전주·서울·수원·대전·광주를 전전하며 사레지오고·조선대·중앙대 예술대를 다녔지만 김복진 문하생임을 자처하고 있다. 미술운동가로서 소명을 다 한 뒤, 학인의 길을 선택해 1993년에 한국근대미술사학회를 창립하였다. 월간 가나아트 편집장·가나아트센터 기획실장·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인물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국민대·고려대·서울대·성신여대·중앙대·한예종 강사로 나가고 있다.

김복진·정현웅·하인두·이경성 선생을 기리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한국근대사회미술론』『한국현대미술운동사』『민족미술의 이론과 실천』『한국근대미술의 역사』『한국현대미술의 역사』『한국근대미술비평사』『한국현대미술비평사』『한국근현대미술사학』『미술과 사회』『한국만화의 역사』『근대수묵채색화 감상법』『사군자 감상법』『화전』『옛그림 따라 걷는 서울길』『옛그림 따라 걷는 제주길』이 있고, 특히 미술가 전기로『김복진』『권진규』『박수근 평전』을 썼다. 이러한 저작들은 대한민국학술원·문예진흥원·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고, 한국미술저작상·간행물문화대상을 받았으며 그 밖에 월간미술대상·정현웅연구기금을 수상했다.

평전인물: 이중섭(李仲燮, 1916. 9. 16.~1956. 9. 6.)

화가. 호는 대향(大鄕). 평안남도 평원군 출생. 평양 종로보통학교, 오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일본으로 건너가 제국미술학교, 문화학원에서 공부했다. 18살 때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람회에서〈원산시가〉로 입선한 이후 1943년 일본에서 돌아올 때까지 일본과 조선에서 열린 다수의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 신인으로서 인정을 받았다. 1945년 일본인이자 도쿄 문화학원 후배인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와 원산에서 결혼, 두 아들을 두었고 해방 이후 원산미술동맹·원산신미술가협회를 결성, 활동했다. 1950년 12월 아내와 두 아이를 데리고 월남, 제주도에 머물다 부산에 정착했다. 1952년 7월 아내와 두 아들을 일본으로 보낸 뒤 홀로 남은 그는 1953년 잠시 일본에 가서 가족들을 만났으나 홀로 돌아왔고, 이후 통영·진주를 거쳐 1954년 6월 서울로 이주했다. 1955년 1월 서울 미도파화랑, 4월 대구 미국공보원에서 개인전을 연 뒤 병을 얻어 대구 성가병원, 서울 수도육군병원을 거쳐 성베드로신경정신과병원에서 회복하여 6개월의 정릉 시절을 보냈으나 재발하여 청량리 뇌병원을 거쳐 서대문 서울적십자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

Who's 이근완

?

안녕하세요. 한남대학교 졸업생 이근완입니다. 자주 찾아 뵐 수 있도록 하겟습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40 41 처음 만나던 때 file 관리자 2004.02.26 3903 김광규 문학과 지성사 최종후 2004-03-09
439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438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437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3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436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69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435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7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434 47 유인원과의 산책 file 관리자 2004.05.25 3831 사이 몽고메리 르네상스 심정자 교수 2004-06-08
433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3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432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431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430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1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429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428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427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426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425 56 영조와 정조의 나라 file 관리자 2004.10.11 3742 박광용 푸른역사 박문호 2004-10-26
424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599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423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1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422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421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420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75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419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18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417 64 뮤지킹 음악하기 file 관리자 2005.01.31 3604 크리스토퍼 스몰 효형출판 전정임 2005-02-15
416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5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415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414 67 양자역학의 모험 관리자 2005.03.21 4402 T.C of LEX 과학과문화 (science culture) 강성열 2005-04-13
413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412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411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2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410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409 72 CEO 박정희 file 관리자 2005.06.14 3824 홍하상 국일미디어 이석봉 2005-06-28
408 73 나비효과 디지털 마케팅 file 관리자 2005.06.28 3741 안종배 미래의 창 이은석 2005-07-12
407 7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2 file 관리자 2005.07.11 3554 공병호 해냄 이규상 2005-07-26
406 75 대화 file 관리자 2005.07.26 3706 이영희 한길사 이진석 2005-08-09
405 76 영교시 수업 file 관리자 2005.08.08 4018 박성일 어드북스 박성일 2005-08-23
404 77 돈, 섹스, 권력 file 관리자 2005.08.24 4407 리차드 포스터 두란노 이재흥 2005-09-13
403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0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402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401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69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