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6.06.03 05:45

플라톤의 카메라

조회 수 99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3
저자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출판사 철학과 현실사
발표자 박제윤 교수
일자 2016-06-24
장소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30분

?

크기변환_플라톤의 카메라.jpg

?

책 소 개

(?'교수신문'에 실린?박제윤교수의 "인지신경생물학, 철학적 인식론의 의문에 답하다" 참고하기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2240 )

?

이 책은 신경과학과 새로운 인공지능의 관점에서 전통 철학의 여러 의문들에 대해 도발적으로 대답한다. 안구가 그러하듯이, 뇌는 일종의 카메라이다. 이런 유비적 관점에서 뇌는 성장기의 경험을 통해서 우주의 범주 체계와 그 동역학적 구조를 찍는다. 그러한 과정에서 뇌는 인지의 개념 체계를 형성하며, 그 체계에 의존하여 뇌는 이 세계를 해석해낸다. 플라톤이 말했듯이, 추상적 개념을 가지고서야 비로소 우리는 세계를 지각할 수 있다. 뇌가 그런 추상적 개념을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지의 의문에 이 책은 현대 과학의 눈으로 대답한다.

?

목 차

1장 개요: 간단히 살펴보기

1. 칸트와 비교하여 대조해보기

2. 뇌의 표상: 단명한 것과 영구적인 것

3. 개인의 학습: 느리고 구조적인

4. 개인의 학습: 빠르고 동역학적인

5. 집단의 학습과 문화 전달

6. 지식: 참이며, 정당화된 믿음인가?

?

2장 1단계 학습[1부]: 뇌 내부의 구조적 변화와 영구적 개념 체계의 발달

1. 정보처리 뇌의 기초 조직

2. 인공 신경망 연구에서 나온 몇 가지 교훈

3. 운동 조절

4. 색깔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항상성과 압축

5.얼굴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벡터 완성, 가추, 그리고 전체를 고려한 추론의 능력

6. 신경의미론: 뇌가 세계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7.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1단계 객관-유사성에 대하여

8.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지시자 의미론에 대하여

9. 서로 다른 개인들이 공유하는 개념 체계의 동일성/유사성에 대하여

?

3장 1단계 학습[2부]: 대응도의 평가와 헤브 학습에 의한 대응도 형성

1. 개념 체계의 평가에서: 첫째 평결

2. 시간적으로 펼쳐지는 구조적 신경 표상

3.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공간적 구조

4.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시간적 구조의 특별한 경우

5. 조금 더 실제적인 경우

6. 훨씬 더 큰 실재론에 대한 탐색

7. 몇 가지 자기중심 공간에서 타자중심 공간으로 올라서기

?

4장 2단계 학습: 뇌 내부의 동역학적 변화와 개념의 영역-전환 재전개

1. 설명적 이해의 성취

2.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둘째 평결(개념 재전개)

3.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셋째 평결(이론 간 환원)

4. 과학적 실재론과, 증거에 의한 이론의 미결정성

5. 미결정성 다시 이해하기

?

5장 3단계 학습: 성장하는 문화제도의 그물망을 통해 1단계와 2단계 학습을 통제하고 확대하기

1. 인간의 인지 작용에서 언어의 역할

2. 창발성과 통제 메커니즘의 의미

3. 이러한 대뇌의 과정에 대해 몇 가지 선취점

4. 사회적 수준의 제도가 어떻게 2단계 학습을 조정하는가?

5. 상황 인지와 인지 이론

?

?

저 자 : 폴 처칠랜드 (Paul M. Churchlan)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이성의 엔진, 영혼의 자리(The Engine of Reason, the Seat of the Soul)」(MIT Press, 1996), 「신경철학 연구(Neurophilosophy at W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등이 있다. 저서로 <브레인트러스트>, <뇌처럼 현명하게>, <뇌과학과 철학>, <신경 건드려보기> 등이 있다.

?

역 자 : 박제윤

현재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저서 「뇌과학과 철학(Neurophilosophy)」(1986), 「신경 건드려보기(Touching a Nerve)」(2013), 「뇌처럼 현명하게(Brain-Wise)」(2002)를 번역하였다. 논문으로 처칠랜드의 표상 이론과 의미론적 유사성 (인지과학회, 2012),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과학교육학회, 2013) 등이 있다. 저서로 <최신 의학용어 (홍준현 외)>, <철학의 나무 2>, <철학의 나무> 등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4920698

?

?

입장비^^ 일반인 만원 학생 : 오천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자연과학 마이크로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1.06.25 10315 3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김영사 홍욱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 2011-07-29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7시30분
37 나는 누구인가 file 송윤호 2010.11.29 10955 26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21세기북스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2010-12-1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저녁 7시
36 이기적 유전자 file 홍경화 2011.09.02 8950 36 리처드 도킨스 을유문화사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9-30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7시30분
35 에덴의 강 : 유전자와 진화의 진실 2 file 송윤호 2011.12.04 6596 39 리처드 도킨스 사이언스북스 이일준, 한정규 회원 2011-12-22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30분
34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8 file 송윤호 2012.02.02 7577 41 리언 레더먼,크리스토퍼 힐 공저 승산 이종필 박사 2012-02-24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33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7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32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7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31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9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0 無로부터의 우주 file 홍경화 2014.06.04 7615 70 로렌스 크라우스 ( Lawrence M. Krauss) 승산 이종필 박사 2014-06-27 템플스테이 교육관 저녁 7시 30분
29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87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28 자연과학 블랙홀 전쟁 file 송윤호 2011.11.01 9593 38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 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 30분
27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46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26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6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25 미토콘드리아 3 file 박용태 2009.06.29 10047 9 닉 레인 뿌리와 이파리 박문호 박사 2009-07-31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저녁 7시
24 자연과학 빨강 보기- 의식의 기원 file 한정규 2014.07.01 7305 71 니콜러스 험프리 이음 한정규 회원 2014-07-25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 30분
23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22 자연과학 생명의화학, 삶의화학 6 file 박용태 2009.04.29 8618 7 김희준 자유아카데미 김희준 교수 2009-05-29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21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77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20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8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19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file 홍경화 2018.09.07 2216 118 김홍표 위즈덤하우스 김홍표 2018-09-28 한국인성개발원(고영빌딩 7층. 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나오자 마자 왼쪽에 보임) 저녁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