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6.06.03 05:45

플라톤의 카메라

조회 수 99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3
저자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출판사 철학과 현실사
발표자 박제윤 교수
일자 2016-06-24
장소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30분

?

크기변환_플라톤의 카메라.jpg

?

책 소 개

(?'교수신문'에 실린?박제윤교수의 "인지신경생물학, 철학적 인식론의 의문에 답하다" 참고하기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2240 )

?

이 책은 신경과학과 새로운 인공지능의 관점에서 전통 철학의 여러 의문들에 대해 도발적으로 대답한다. 안구가 그러하듯이, 뇌는 일종의 카메라이다. 이런 유비적 관점에서 뇌는 성장기의 경험을 통해서 우주의 범주 체계와 그 동역학적 구조를 찍는다. 그러한 과정에서 뇌는 인지의 개념 체계를 형성하며, 그 체계에 의존하여 뇌는 이 세계를 해석해낸다. 플라톤이 말했듯이, 추상적 개념을 가지고서야 비로소 우리는 세계를 지각할 수 있다. 뇌가 그런 추상적 개념을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지의 의문에 이 책은 현대 과학의 눈으로 대답한다.

?

목 차

1장 개요: 간단히 살펴보기

1. 칸트와 비교하여 대조해보기

2. 뇌의 표상: 단명한 것과 영구적인 것

3. 개인의 학습: 느리고 구조적인

4. 개인의 학습: 빠르고 동역학적인

5. 집단의 학습과 문화 전달

6. 지식: 참이며, 정당화된 믿음인가?

?

2장 1단계 학습[1부]: 뇌 내부의 구조적 변화와 영구적 개념 체계의 발달

1. 정보처리 뇌의 기초 조직

2. 인공 신경망 연구에서 나온 몇 가지 교훈

3. 운동 조절

4. 색깔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항상성과 압축

5.얼굴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벡터 완성, 가추, 그리고 전체를 고려한 추론의 능력

6. 신경의미론: 뇌가 세계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7.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1단계 객관-유사성에 대하여

8.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지시자 의미론에 대하여

9. 서로 다른 개인들이 공유하는 개념 체계의 동일성/유사성에 대하여

?

3장 1단계 학습[2부]: 대응도의 평가와 헤브 학습에 의한 대응도 형성

1. 개념 체계의 평가에서: 첫째 평결

2. 시간적으로 펼쳐지는 구조적 신경 표상

3.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공간적 구조

4.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시간적 구조의 특별한 경우

5. 조금 더 실제적인 경우

6. 훨씬 더 큰 실재론에 대한 탐색

7. 몇 가지 자기중심 공간에서 타자중심 공간으로 올라서기

?

4장 2단계 학습: 뇌 내부의 동역학적 변화와 개념의 영역-전환 재전개

1. 설명적 이해의 성취

2.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둘째 평결(개념 재전개)

3.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셋째 평결(이론 간 환원)

4. 과학적 실재론과, 증거에 의한 이론의 미결정성

5. 미결정성 다시 이해하기

?

5장 3단계 학습: 성장하는 문화제도의 그물망을 통해 1단계와 2단계 학습을 통제하고 확대하기

1. 인간의 인지 작용에서 언어의 역할

2. 창발성과 통제 메커니즘의 의미

3. 이러한 대뇌의 과정에 대해 몇 가지 선취점

4. 사회적 수준의 제도가 어떻게 2단계 학습을 조정하는가?

5. 상황 인지와 인지 이론

?

?

저 자 : 폴 처칠랜드 (Paul M. Churchlan)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이성의 엔진, 영혼의 자리(The Engine of Reason, the Seat of the Soul)」(MIT Press, 1996), 「신경철학 연구(Neurophilosophy at W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등이 있다. 저서로 <브레인트러스트>, <뇌처럼 현명하게>, <뇌과학과 철학>, <신경 건드려보기> 등이 있다.

?

역 자 : 박제윤

현재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저서 「뇌과학과 철학(Neurophilosophy)」(1986), 「신경 건드려보기(Touching a Nerve)」(2013), 「뇌처럼 현명하게(Brain-Wise)」(2002)를 번역하였다. 논문으로 처칠랜드의 표상 이론과 의미론적 유사성 (인지과학회, 2012),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과학교육학회, 2013) 등이 있다. 저서로 <최신 의학용어 (홍준현 외)>, <철학의 나무 2>, <철학의 나무> 등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4920698

?

?

입장비^^ 일반인 만원 학생 : 오천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퀀텀스토리 file 홍경화 2014.02.02 6565 66 짐 배것 (Jim Baggott) 반니 이강영(경상대 물리학과 교수) 2014-02-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7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36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2 file 홍경화 2014.04.02 6462 68 호아킨 M. 푸스테르 휴먼사이언스 한정규 회원 2014-04-25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5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4 자연과학 생명의화학, 삶의화학 6 file 박용태 2009.04.29 8615 7 김희준 자유아카데미 김희준 교수 2009-05-29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33 無로부터의 우주 file 홍경화 2014.06.04 7615 70 로렌스 크라우스 ( Lawrence M. Krauss) 승산 이종필 박사 2014-06-27 템플스테이 교육관 저녁 7시 30분
32 자연과학 빨강 보기- 의식의 기원 file 한정규 2014.07.01 7304 71 니콜러스 험프리 이음 한정규 회원 2014-07-25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 30분
31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30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29 불멸의 이론 file 홍경화 2014.10.02 5323 7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4-10-31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30분
28 의식 file 한정규 2014.11.03 5625 75 크리스토프 코흐 알마 한정규 2014-11-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27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홍경화 2014.12.05 5567 76 이종필 동아시아 이종필 교수 (저자) 2014-12-23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년 7시 30분
26 김대식의 빅퀘스천 file 홍경화 2014.12.26 3682 77 김대식 교수 동아시아 김대식 교수 2015-02-06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저녁7시 30분
25 자연과학 뇌처럼 현명하게 file 홍경화 2015.02.08 1831 78 패트리샤 처질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5-02-27 템플스테이 3층( 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24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23 자연과학 홍성욱의 과학에세이 file 박용태 2009.06.03 8474 8 홍성욱 동아시아 홍성욱 교수 2009-06-26 서울 조계사(맞은편) 템플스테이센터 3층 교육관 오후 7시
22 자연과학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file 한정규 2015.04.02 1985 80 Gerhard Roth 시그마프레스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2015-04-24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21 자연과학 생물학 산책 file 홍경화 2015.04.28 1813 81 이일하 궁리 이일하 교수(서울대 생물학) 2015-05-29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20 자연과학 칼세이건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5.06.05 1846 82 칼세이건 사이언스북스 이명현(천문학 박사) 2015-06-26 템플스테이(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19 자연과학 이종필의 아주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 4 file 홍경화 2015.06.30 2441 83 이종필 동아사이언스 이종필 (물리학 박사) 2015-07-17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