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6.06.03 05:45

플라톤의 카메라

조회 수 99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3
저자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출판사 철학과 현실사
발표자 박제윤 교수
일자 2016-06-24
장소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30분

?

크기변환_플라톤의 카메라.jpg

?

책 소 개

(?'교수신문'에 실린?박제윤교수의 "인지신경생물학, 철학적 인식론의 의문에 답하다" 참고하기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2240 )

?

이 책은 신경과학과 새로운 인공지능의 관점에서 전통 철학의 여러 의문들에 대해 도발적으로 대답한다. 안구가 그러하듯이, 뇌는 일종의 카메라이다. 이런 유비적 관점에서 뇌는 성장기의 경험을 통해서 우주의 범주 체계와 그 동역학적 구조를 찍는다. 그러한 과정에서 뇌는 인지의 개념 체계를 형성하며, 그 체계에 의존하여 뇌는 이 세계를 해석해낸다. 플라톤이 말했듯이, 추상적 개념을 가지고서야 비로소 우리는 세계를 지각할 수 있다. 뇌가 그런 추상적 개념을 어떻게 습득할 수 있을지의 의문에 이 책은 현대 과학의 눈으로 대답한다.

?

목 차

1장 개요: 간단히 살펴보기

1. 칸트와 비교하여 대조해보기

2. 뇌의 표상: 단명한 것과 영구적인 것

3. 개인의 학습: 느리고 구조적인

4. 개인의 학습: 빠르고 동역학적인

5. 집단의 학습과 문화 전달

6. 지식: 참이며, 정당화된 믿음인가?

?

2장 1단계 학습[1부]: 뇌 내부의 구조적 변화와 영구적 개념 체계의 발달

1. 정보처리 뇌의 기초 조직

2. 인공 신경망 연구에서 나온 몇 가지 교훈

3. 운동 조절

4. 색깔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항상성과 압축

5.얼굴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 벡터 완성, 가추, 그리고 전체를 고려한 추론의 능력

6. 신경의미론: 뇌가 세계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7.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1단계 객관-유사성에 대하여

8. 뇌는 어떤 방식으로 표상하지 않는가?: 지시자 의미론에 대하여

9. 서로 다른 개인들이 공유하는 개념 체계의 동일성/유사성에 대하여

?

3장 1단계 학습[2부]: 대응도의 평가와 헤브 학습에 의한 대응도 형성

1. 개념 체계의 평가에서: 첫째 평결

2. 시간적으로 펼쳐지는 구조적 신경 표상

3.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공간적 구조

4. 헤브 학습에 의한 개념 형성: 시간적 구조의 특별한 경우

5. 조금 더 실제적인 경우

6. 훨씬 더 큰 실재론에 대한 탐색

7. 몇 가지 자기중심 공간에서 타자중심 공간으로 올라서기

?

4장 2단계 학습: 뇌 내부의 동역학적 변화와 개념의 영역-전환 재전개

1. 설명적 이해의 성취

2.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둘째 평결(개념 재전개)

3. 개념 체계의 평가에 대해서: 셋째 평결(이론 간 환원)

4. 과학적 실재론과, 증거에 의한 이론의 미결정성

5. 미결정성 다시 이해하기

?

5장 3단계 학습: 성장하는 문화제도의 그물망을 통해 1단계와 2단계 학습을 통제하고 확대하기

1. 인간의 인지 작용에서 언어의 역할

2. 창발성과 통제 메커니즘의 의미

3. 이러한 대뇌의 과정에 대해 몇 가지 선취점

4. 사회적 수준의 제도가 어떻게 2단계 학습을 조정하는가?

5. 상황 인지와 인지 이론

?

?

저 자 : 폴 처칠랜드 (Paul M. Churchlan)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이성의 엔진, 영혼의 자리(The Engine of Reason, the Seat of the Soul)」(MIT Press, 1996), 「신경철학 연구(Neurophilosophy at W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등이 있다. 저서로 <브레인트러스트>, <뇌처럼 현명하게>, <뇌과학과 철학>, <신경 건드려보기> 등이 있다.

?

역 자 : 박제윤

현재 인천국립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이다. 처칠랜드 부부의 신경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저서 「뇌과학과 철학(Neurophilosophy)」(1986), 「신경 건드려보기(Touching a Nerve)」(2013), 「뇌처럼 현명하게(Brain-Wise)」(2002)를 번역하였다. 논문으로 처칠랜드의 표상 이론과 의미론적 유사성 (인지과학회, 2012),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과학교육학회, 2013) 등이 있다. 저서로 <최신 의학용어 (홍준현 외)>, <철학의 나무 2>, <철학의 나무> 등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4920698

?

?

입장비^^ 일반인 만원 학생 : 오천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8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57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56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20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55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54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61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53 자연과학 시간연대기 2 file 홍경화 2015.03.02 1973 79 애덤 프랭크 에이도스 김상욱 교수(물리학) 2015-03-27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52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51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2 file 홍경화 2014.04.02 6463 68 호아킨 M. 푸스테르 휴먼사이언스 한정규 회원 2014-04-25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50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49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30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48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47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46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45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44 자연과학 어메이징 그래비티 file 한정규 2015.08.06 1735 84 조진호 궁리 조진호 2015-08-28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43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2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9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41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40 에덴의 강 : 유전자와 진화의 진실 2 file 송윤호 2011.12.04 6589 39 리처드 도킨스 사이언스북스 이일준, 한정규 회원 2011-12-22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30분
39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