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6.05.01 17:36

중력파

조회 수 10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2
저자 오정근
출판사 동아시아
발표자 오정근 박사
일자 2016-05-27
장소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30분

중력파2.jpg

?

?

책소개

중력파에 관해 가장 알기 쉽게 쓴 과학교양서이자

중력파를 찾는 인류의 눈물겨운 탐험과정을 담아낸 최초의 기록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은 라이고 과학협력단에 참여하며 중력파 검출 실험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기여했던 현장의 과학자가 지난 55년간의 중력파 검출의 역사와 함께 오늘날 그 과학적 성공을 이루어낸 눈물겨운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낸 중력파 검출 실험의 역사서이다. 저자 오정근 박사는 그 고단하고 지루한 도전의 시기 동안 시대를 풍미했던 선구자들의 눈물겨운 이야기들을 책에 담아냈다.

아울러 저자가 “사초(史草)를 작성하는 사관(史官)과 같은 마음”이라고 말했듯이, 이 책은 중력파 검출 발표 전후 몇 주간 동안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역사적 발견의 뒷이야기들을 시간에 따라 생생하게 담아낸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기록이다. 향후 100년간 회자될 위대한 발견의 기록을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의 해에 독자들과 나눌 수 있는 것은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큰 행운일 것이다.

?

제1장 시공간의 물결

1. 중력, 뉴턴과 아인슈타인

2. 일반상대성이론의 영광의 순간들

3. 중력파의 존재와 일반상대성이론

4. 중력파란 무엇인가?

5. 발견, 그리고 존재의 확인

6. 중력파는 어디에서 오는가?

제2장 중력파, 마지막 유산을 찾아서

1. 역사의 시작: 웨버 검출기

2. 선구자적인 실험과 발견

3. 비판, 논란, 그리고 제국의 몰락

4. 치유와 기회: 차세대 아이스 바

5. 초신성

6. 몰락한 제국의 유산

7. 수많은 도전들

제3장 레이저 전쟁

1. 새로운 시작의 준비: 바를 넘어서

2. 준비된 기술과 야심 찬 도전

3. 비판을 넘어서

4. 건설, 과학을 위한 비과학

제4장 끝나지 않은 도전, 라이고

1. 레이저 간섭계라면 가능할까?

2. 건초 더미에서 바늘 찾기

3. 10년, 그리고 조금만 더

4. 전 지구적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5. 두 번의 흥분

6. 자, 이제 준비가 되었다

제5장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1.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

2. 발견의 공식 선언

3. 과연 진짜 중력파인가?

4. 100주년 이벤트와 제1 관측가동

5. 마지막 선물, 새로운 시작

제6장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

1. 역사의 교훈

2. 새로운 천문학과 물리학의 시작

3. 차세대 중력파천문대로

4. 한국의 중력파 연구

?

저자 : 오정근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밤마다 마당이나 뒷산에 올라 육안으로 별과 성단 등을 찾고 관찰하곤 했다. 개기월식을 밤새 직접 손으로 스케치하며 그 일지를 시간에 따라 손수 기록하는 등 별을 관측하는 흥미로 천문학에 대한 꿈을 꾸었고, 이 천체를 지배하는 이론에 대한 호기심에 매료되었다.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천체물리학과 일반상대성이론에 흥미를 가졌으며, 2004년 서강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일반상대성이론과 블랙홀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물리천문학과,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중력파 검출 실험의 데이터 분석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 Korean Gravitational-Wave Group)의 총무간사를 맡고 있으며 라이고 과학협력단(LSC, LIGO Scientific Collaboration)과 카그라 협력단(KAGRA Collaboration)의 중력파 검출 국제 연구단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블랙홀과 중력파 검출 실험 분야에 약 60여 편 이상의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출간했다. 결국 어린 시절의 꿈이었던 새로운 천문학의 가능성을 여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

http://www.yes24.com/24/goods/24465038?scode=032&OzSrank=1

?

?

?

입장비^^ 일반인 : 만원, 학생 : 오천원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8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57 진화의 키, 산소의 농도 file 홍경화 2013.12.03 6811 64 피터 워드 뿌리와 이파리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2013-12-20 템플스테이 ( 종각역 3번 출구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56 비극의 비밀 file 홍경화 2013.08.01 6820 60 강대진 문학동네 강대진 박사 2013-08-30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55 법정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file 홍경화 2012.12.03 6851 51 문학의 숲 편집부 문학의숲 백북스 회원 2012-12-1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출구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 30분
54 자연과학 물리학 클래식 : 물리학 원전을 순례하다 5 file 박용태 2012.09.05 7014 48 이종필 박사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박사(물리학 박사/입자물리학 전공) 2012-09-2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53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52 인간 우리는 누구인가 6 file 박인순 2013.02.04 7283 53 헤닝 엥겔른 을유문화사 이정모 2013-02-22 서울 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19~21시
51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4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50 자연과학 빨강 보기- 의식의 기원 file 한정규 2014.07.01 7304 71 니콜러스 험프리 이음 한정규 회원 2014-07-25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 30분
49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1 file 홍경화 2013.10.01 7350 62 한스 크리스티안 폰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13-10-25 템플스테이(조계사 맞은 편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8 언어의 탄생 file 홍경화 2014.04.29 7418 69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김형엽 교수 2014-05-30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종각역 3번 혹은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7 멀티 유니버스 (원제 : The Hidden Reality, 2011) 8 file 홍경화 2012.02.29 7446 42 브라이언 그린 김영사 이종필 박사(물리학) 2012-03-30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30분
46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39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45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8 file 송윤호 2012.02.02 7574 41 리언 레더먼,크리스토퍼 힐 공저 승산 이종필 박사 2012-02-24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44 無로부터의 우주 file 홍경화 2014.06.04 7615 70 로렌스 크라우스 ( Lawrence M. Krauss) 승산 이종필 박사 2014-06-27 템플스테이 교육관 저녁 7시 30분
43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42 다윈 이후 file 홍경화 2011.10.05 7641 37 스티븐 제이 굴드 사이언스북스 홍욱희 박사(세민환경연구소 소장) 2011-10-28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 30분
41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40 위대한 설계 11 file 홍경화 2012.01.02 7784 40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까치 이명현(천문학 박사/세티코리아 조직위원회 사무국장) 2012-01-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오후 7시 30분
39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