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6.03.31 21:24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조회 수 16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1
저자 최덕근
출판사 휴머니스트
발표자 최덕근 교수
일자 2016-04-29
장소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 30분

크기변환_10억년 전으로의 시간여행.jpg

?

?

책소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인 저자의 한반도 형성사와 관련한 지난 40여 년 간의 연구를 담아낸 책이다. <내가 사랑한 지구>가 지질학의 역사와 지질학의 핵심 이론인 판구조론을 다뤘다면, 이 책은 그 후속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의 땅덩어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담고 있다. 한 지질학자의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역사는 물론, 지질학이란 무엇이며,?지질학자의 역할과 고뇌까지 함께 들여다볼 수 있다.

?

목차

1장 나는 지질학자다: 1억 년 전으로 가는 시간 여행

2장 삼엽충이 알려 준 것들: 5억 년 전 세계로의 불시착

3장 눈덩이 지구: 7억 년 전으로 가는 길목에서

4장 우리 땅의 역사를 찾아서: 한반도의 역사와 미래

?

저자 : 최덕근?

지질학자로 살아오면서 우리나라의 많은 산에 올랐지만, 나는 산이 아름답다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었다. 내가 산을 오른 것은 연구 대상을 찾기 위해서였지, 경치를 즐기고 감탄하기 위함이 아니었다. 2009년 3월, 관악산에 오르며 3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산의 아름다움을 보았다. 예로부터 삼천리금수강산이라 했던가. 나이 60이 넘어서야 그 말의 뜻을 이해하게 되었다. 나는 삼엽충이라는 화석을 연구하는 지질학자로 스스로 “삼엽충을 요리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지질학자는 암석과 화석을 요리하는 셰프이기도 하고, 과거를 기록한 암석 속 증거를 찾아내어 지구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밝히는 탐정이기도 하다. 우리는 땅덩어리에 기록된 지구의 역사를 해독하여 예전에 일어났던 일들을 그려본다. 아주 오래전 지구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지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내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의도했던 바는 아니지만, 내가 한반도 암석을 연구한 순서를 보면 1억 년 전, 5억 년 전 그리고 2011년 이후는 7억 년 전 암석이었다. 글을 쓰면서 내가 살아왔던 과정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더 과거로 …… 시간 여행을 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록이 없는 시대, 10억 년 전의 한반도로 가는 여행을 함께 떠나 보자.

?

삼엽충 화석을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다. 서울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공부했으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일했고, 2014년 퇴임 후 현재 명예교수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2005년 서울대학교 교육상과 2013년 운암지질학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내가 사랑한 지구》, 《한반도 형성사》,《시간을 찾아서》, 《지구의 이해》 등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8056076

?

?

입장비^^ 일반인 : 만원, 학생 : 오천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인지과학혁명 file 홍경화 2010.12.20 12582 27 사에키 유타카 에이콘 출판사 이정모 교수 2011-01-26 광화문 교보문고 내 배움아카데미 오후 7시
37 나는 누구인가 file 송윤호 2010.11.29 10949 26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21세기북스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2010-12-1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저녁 7시
36 모바일 이노베이션 1 file 홍경화 2010.11.02 9863 25 김지현 21세기북스 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2010-11-28 용산역 4층 KTX 별실 회의실 오후 4시
35 지식의 대융합 1 file 송윤호 2010.10.04 8715 24 이인식 고즈윈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 2010-10-25 배움아카데미 저녁 7시
34 자연과학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file 박용태 2010.08.03 12350 23 제프 호킨스 멘토르 김대식 카이스트교수 2010-09-29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7시
33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32 자기와 자기실현 5 file 송윤호 2010.06.01 8873 20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한길사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2010-06-23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31 자연과학 최종이론의 꿈 관리자 2009.01.14 5948 2 스티븐 와인버그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2008-12-19
30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1 file 관리자 2010.05.07 8688 19 강신주 동녘 강신주 2010-05-31 교보문고 본사 빌딩 지하 1층 문화이벤트홀 저녁 7시
29 <철학vs철학> 4 file 박용태 2010.04.05 9254 18 강신주 그린비 강신주 2010-04-30 후빌딩3층 강연장 19:00
28 뇌.인지 과학 심포지움 6 file 박용태 2010.03.08 10667 17 참가신청 자유게시판 공지글에 신청하세요 조장희 박사 외5명 2010-03-27 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11:00~18:30
27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26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25 다윈의 식탁 file 박용태 2009.11.30 10815 14 장대익 김영사 장대익 교수 2009-12-18 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24 거의 모든것의 역사 7 file 박용태 2009.10.30 10548 13 빌 브라이슨 까치 역자 이덕환 교수 2009-11-27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 7시
23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1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22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file 홍경화 2018.09.07 2179 118 김홍표 위즈덤하우스 김홍표 2018-09-28 한국인성개발원(고영빌딩 7층. 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나오자 마자 왼쪽에 보임) 저녁 7시 30분
21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9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20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file 홍경화 2018.07.18 347 116 마쓰오 유카타 동아엠앤비 이정원( 전자통신연구원 선임 연구원) 2018-07-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19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31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