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6.03.31 21:24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조회 수 16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1
저자 최덕근
출판사 휴머니스트
발표자 최덕근 교수
일자 2016-04-29
장소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시간 저녁 7시 30분

크기변환_10억년 전으로의 시간여행.jpg

?

?

책소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인 저자의 한반도 형성사와 관련한 지난 40여 년 간의 연구를 담아낸 책이다. <내가 사랑한 지구>가 지질학의 역사와 지질학의 핵심 이론인 판구조론을 다뤘다면, 이 책은 그 후속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의 땅덩어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담고 있다. 한 지질학자의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역사는 물론, 지질학이란 무엇이며,?지질학자의 역할과 고뇌까지 함께 들여다볼 수 있다.

?

목차

1장 나는 지질학자다: 1억 년 전으로 가는 시간 여행

2장 삼엽충이 알려 준 것들: 5억 년 전 세계로의 불시착

3장 눈덩이 지구: 7억 년 전으로 가는 길목에서

4장 우리 땅의 역사를 찾아서: 한반도의 역사와 미래

?

저자 : 최덕근?

지질학자로 살아오면서 우리나라의 많은 산에 올랐지만, 나는 산이 아름답다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었다. 내가 산을 오른 것은 연구 대상을 찾기 위해서였지, 경치를 즐기고 감탄하기 위함이 아니었다. 2009년 3월, 관악산에 오르며 3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산의 아름다움을 보았다. 예로부터 삼천리금수강산이라 했던가. 나이 60이 넘어서야 그 말의 뜻을 이해하게 되었다. 나는 삼엽충이라는 화석을 연구하는 지질학자로 스스로 “삼엽충을 요리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지질학자는 암석과 화석을 요리하는 셰프이기도 하고, 과거를 기록한 암석 속 증거를 찾아내어 지구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밝히는 탐정이기도 하다. 우리는 땅덩어리에 기록된 지구의 역사를 해독하여 예전에 일어났던 일들을 그려본다. 아주 오래전 지구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지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내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의도했던 바는 아니지만, 내가 한반도 암석을 연구한 순서를 보면 1억 년 전, 5억 년 전 그리고 2011년 이후는 7억 년 전 암석이었다. 글을 쓰면서 내가 살아왔던 과정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더 과거로 …… 시간 여행을 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록이 없는 시대, 10억 년 전의 한반도로 가는 여행을 함께 떠나 보자.

?

삼엽충 화석을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다. 서울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공부했으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일했고, 2014년 퇴임 후 현재 명예교수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2005년 서울대학교 교육상과 2013년 운암지질학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내가 사랑한 지구》, 《한반도 형성사》,《시간을 찾아서》, 《지구의 이해》 등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78056076

?

?

입장비^^ 일반인 : 만원, 학생 : 오천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9 인문사회 인간존재의 의미 file 홍경화 2016.08.29 1185 96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한음 (역자) 2016-09-30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28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393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27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2 file 홍경화 2017.03.05 1535 102 제임스 글릭 (James Gleick) 동아시아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2017-03-31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26 자연과학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 (Our Mathematical Universe) file 홍경화 2017.05.08 358 104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동아시아 김낙우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2017-05-26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전성기 캠퍼스' 저녁 7시30분
25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file 홍경화 2017.06.01 359 105차 제랄드 폴락 지식을 만드는 지식 김홍표 (아주대 약학대 교수) 2017-06-30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저녁 7시30분
24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28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23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44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22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68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21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02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20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89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19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799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8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16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17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29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6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68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15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용태 2010.02.02 11099 16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10-02-26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7시
14 공감의 시대 5 file 홍경화 2011.02.15 12153 29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백북스 운영위원, 대전 한마음정신병원 원장) 2011-02-25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
13 김대식의 빅퀘스천 file 홍경화 2014.12.26 3682 77 김대식 교수 동아시아 김대식 교수 2015-02-06 템풀스테이3층교육관 저녁7시 30분
12 자연과학 리비트의 별 file 홍경화 2016.11.03 351 98 조지 존슨 (George Johnson) 궁리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2016-11-25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 30분
11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6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10 불멸의 이론 file 홍경화 2014.10.02 5323 7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4-10-31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