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44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3
저자 이종필
출판사 동아사이언스
발표자 이종필 (물리학 박사)
일자 2015-07-17
장소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시간 저녁7시30분

?

?

"응답하라 2009"

?

7월 17일 저녁 7시 30분 이종필 박사님의 < 이종필의 아주 특별한 상대성이론 강의> 책 출간 기념 서울백북스 강연회가 열립니다.

?

2009년도 서울 백북스 수학 아카데미를 기억하십니까?

2009년? 이종필박사님과 함께 시작한?? 일반 상대성 이론을 수식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학 아카데미

강좌내용이 ?드디어 책으로 나왔습니다.

교양과학도서로 일반상대성이론을 접했고, 수식으로 상대성이론 공부를 하다가 중도포기한 사람들, 다시 제대로 일반상대성이론을 수식으로 풀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희소식인 ?안내서입니다.

또한 처음부터 수식으로 일반상대성 이론에 도전하시고 싶은 분들에게도 좋은 안내서입니다.

많이 참가하셔서 즐거움을 함께 나누었으면 합니다.

https://100books.kr/index.php?document_srl=78144&mid=adminbbs

?

?

?

이종필의 아주특별한상대성이론 강의.jpg

?

?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62621037

bd_t50.gif

"아인슈타인도 상상하지 못한 특별한 강의"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당신 할머니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지 못한다면 진정으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아인슈타인이 남긴 유명한 말이다. 반면 아인슈타인이 남긴 상대성이론에는 이런 물음이 끊이지 않는다. “지금 세상에서 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사람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이 책은 앞선 물음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는 동시에 두 번째 물음에 수십 명, 아니 이제는 수백, 수천을 더하려는 시도다.

때는 2009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멀게는 20년이 훌쩍 지난 평범한 직장인을 비롯하여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2015년)이 오기 전에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을 직접 유도하고 이해해보려는 이들 수십 명이 모여 1년에 걸친 수학 아카데미를 열었다. 이 책의 저자이자 아카데미 강사로 나선 이종필 박사는 고등학교 수학, 그러니까 미적분부터 시작해 일반물리학, 뉴턴역학을 거쳐 일반상대성이론까지, 한 달에 한 번, 열두 번에 걸쳐 ‘말도 안 되는(?)’ 강의를 주도했는데, 이 책은 칠판에 적힌 수식, 그보다 복잡한 수강생의 머릿속, 그보다도 복잡했을 강사의 마음 속을 바탕으로 그 강의가 어떻게 말이 되어갔는지를 정리한 기록이다. 아인슈타인도 상상하지 못했을 이 특별한 강의에서 과학의 맛, 함께 배우는 일의 멋을 만끽하기 바란다.
- 과학 MD 박태근 (2015.06.23)
?

?

bd_t05.gif

미적분은 고사하고 고등학교 수학도 가물가물한 일반인들이 현대물리학의 정수이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정식으로 손꼽히는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 풀기 도전에 나선다. 학생에서 회사원 그리고 노신사와 할머니에 이르기까지 수학과 물리학에는 거의 문외한에 가까운 이들은 과연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이 되는 2015년까지 장 방정식을 풀 수 있을까?

수학이라면 고등학교 이후로 공부해본 적 없는 사람들이 모여 토요일 오후 3시부터 다섯 시간 동안 수업을 듣는다. 내용은 고등학교 수학부터 미적분 그리고 대학 수학과 물리학을 거쳐 일반상대성이론의 장 방정식까지 푸는 것. 한 달에 한 번씩 1년 동안 총 12번의 강의를 들어야 한다. 만약 이런 강의 프로그램이 있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을까?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다.

2009년 이 책의 지은이와 한 독서모임 회원들이 한 달에 한 번 토요일에 모여 다섯 시간씩 1년간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을 풀기 위해 고등학교 수학부터 장 방정식의 해인 프리드만 방정식까지 공부했다. 대강만을 봐도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프로젝트다. 이 책은 강사나 수강생에게 무모하기 그지없는 프로젝트의 전말과 강의 내용을 담았다.

?

?

?

bd_t06.gif

지금 이 세상에서 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사람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_김승환
머리말

제1회 만남
제2회 “미적분을 알면 세상이 달라 보입니다.”
제3회 결심
제4회 일반상대성이론
제5회 모두를 위한 ‘수학아카데미’
제6회 아인슈타인 만들기 프로젝트
제7회 세밑의 기적
제8회 첫 강의
제9회 고등학교 수학의 기본
제10회 인수분해부터 로그까지
제11회 함수의 극한
제12회 대망의 미분
제13회 삼각함수와 지수 · 로그함수
제14회 벡터
제15회 무한급수와 행렬
제16회 편미분에서 측량텐서까지
제17회 한 학기의 마무리

  • ?
    레인맨 2015.07.04 17:16
    오늘 조선일보에 백북스 기사 보았습니다.
    저도 책을 좋아합니다만 이런 좋은 클럽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바로 회원 가입했습니다.
    강의참석은 그날 그냥가면 되나요?
  • ?
    임석희 2015.07.06 03:31
    반갑습니다. 입장료(1만원) 지참하시고, 참석하시면 됩니다.
    백북스와 함께 좋은 시간 되세요~
  • ?
    세르세 2015.07.11 20:52
    모임에 관심있습니다. 따로 신청은 안받나요?
  • ?
    JKH 2015.07.18 10:50
    17일(금)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강의 발표자료를 올리신다고 하셨던것 같은데요. 어디서 받을 수 있는 건가요? 이 사이트는 처음인데,... 잘 못 찾겠네요... 아, 아직 안 올라온 건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53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6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52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2 file 홍경화 2012.05.02 7620 44 이덕일 저 옥당 이덕일 2012-05-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51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45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50 현대예술 5 file 홍경화 2012.07.02 20471 4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7-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49 이보디보 file 홍경화 2011.05.04 8959 32 Sean B. Carroll 저/김명남 역 지호 엄준호 박사(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5-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 30분
48 위대한 설계 11 file 홍경화 2012.01.02 7784 40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까치 이명현(천문학 박사/세티코리아 조직위원회 사무국장) 2012-01-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오후 7시 30분
47 자기와 자기실현 5 file 송윤호 2010.06.01 8873 20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한길사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2010-06-23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46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45 자연과학 마이크로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1.06.25 10315 3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김영사 홍욱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 2011-07-29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7시30분
44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8 file 송윤호 2012.02.02 7577 41 리언 레더먼,크리스토퍼 힐 공저 승산 이종필 박사 2012-02-24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43 나는 누구인가 file 송윤호 2010.11.29 10955 26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21세기북스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2010-12-1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저녁 7시
42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44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41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41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40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7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39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52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38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71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37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815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36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83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35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75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34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36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