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5.06.05 08:39

칼세이건 코스모스

조회 수 18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2
저자 칼세이건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표자 이명현(천문학 박사)
일자 2015-06-26
장소 템플스테이(종각역3번 혹은 안국역6번출구)
시간 저녁7시30분

http://www.yes24.com/24/goods/2312211?scode=029

?

입장비^^ 일반인 만원, 학생 오천원

?

책소개

전 세계 60개국에 방송되어 6억 시청자를 감동시킨 텔레비전 교양 프로그램을 책으로 옮긴 칼 세이건(Carl Sagan)의 『코스모스(Cosmos)』. 현대 천문학을 대표하는 저명한 과학자인 칼 세이건은 이 책에서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난해한 개념을 명쾌하게 해설하는 놀라운 능력을 마음껏 발휘한다. 그는 에라토스테네스, 데모크리토스, 히파티아, 케플러, 갈릴레오, 뉴턴, 다윈 같은 과학의 탐험가들이 개척해 놓은 길을 따라가며 과거, 현재, 미래의 과학이 이뤘고, 이루고 있으며, 앞으로 이룰 성과들을 알기 쉽게 풀이해 들려준다.

이 책은 모두 13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 세이건은 이 책에서 10조 개의 별들을 품고 있는 은하가 10조 개 있는 광막한 대우주의 세계에서 은하수 은하의 변방, 자그마한 노란색 별 태양이 이끄는 태양계의 한구석에서 창백하게 빛나는 지구에 이르기까지 코스모스에 대해 우리 인류가 알게 된 것들, 알게 된 과정들, 그리고 알아 갈 것들을 소개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우리 자신을 알기 위한 것임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코스모스 특별판은 수록 이미지가 흑백으로 실려 있다.

?

ImgBook_Preview.gifBtn_PreviewDetail.gif

?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관심작가알림 신청 저 : 칼 세이건

Carl Edward Sagan 우주 과학의 대중화를 선도한 세계적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미국 우주 계획의 시초부터 지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1950년대부터 NASA의 자문 조언자로서, 여러 행성 탐사 계획에서 실험관으로 활동했으며, 최초의 행성 탐험 성공(마리너 2호)을 목격했다. 또한 핵전쟁의 전 지구적 영향에 대한 이해, 우주선에 의한 다른 행성의 생물 탐색, 생명의 기원으로 이끄는 과정에 대한 실험 연구 등에서 선구적 역할을 했다.

그는 1975년 인류 복지에 대한 공헌으로 성 조셉 상, 1978년 『에덴의 공룡 The Dragons of Eden』으로 문학부문 퓰리처상, 미국우주항공협회의 존 F. 케네디 우주항공상, 소련우주항공가연맹의 치올코프스키 메달, 미국천문학회의 마수르스키 상 등 일일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상을 수상했다. 또한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수많은 책과 논문,기고문을 남겼는데, 그 중 『코스모스 Cosmos』는 지금까지 영어로 출판된 과학 서적 중 가장 널리 읽힌 책으로, TV시리즈로 방영되어 현재까지 60개국 5억의 시청자를 매료시켰으며, "까다로운 우주의 신비를 안방에 쉽고도 생생하게 전달했다"라는 평가를 받아 에미 상 및 피보디 상을 수상했다. 대중적
... 우주 과학의 대중화를 선도한 세계적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미국 우주 계획의 시초부터 지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1950년대부터 NASA의 자문 조언자로서, 여러 행성 탐사 계획에서 실험관으로 활동했으며, 최초의 행성 탐험 성공(마리너 2호)을 목격했다. 또한 핵전쟁의 전 지구적 영향에 대한 이해, 우주선에 의한 다른 행성의 생물 탐색, 생명의 기원으로 이끄는 과정에 대한 실험 연구 등에서 선구적 역할을 했다.

그는 1975년 인류 복지에 대한 공헌으로 성 조셉 상, 1978년 『에덴의 공룡 The Dragons of Eden』으로 문학부문 퓰리처상, 미국우주항공협회의 존 F. 케네디 우주항공상, 소련우주항공가연맹의 치올코프스키 메달, 미국천문학회의 마수르스키 상 등 일일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상을 수상했다. 또한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수많은 책과 논문,기고문을 남겼는데, 그 중 『코스모스 Cosmos』는 지금까지 영어로 출판된 과학 서적 중 가장 널리 읽힌 책으로, TV시리즈로 방영되어 현재까지 60개국 5억의 시청자를 매료시켰으며, "까다로운 우주의 신비를 안방에 쉽고도 생생하게 전달했다"라는 평가를 받아 에미 상 및 피보디 상을 수상했다. 대중적이면서도 문학적인 칼 세이건 특유의 문체는 온갖 과학지식과 인문학적 상식을 종횡으로 엮어 우주라는 거대한 주제를 명쾌하면서도 알기 쉽게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그는 코넬 대학교의 데이비드 던컨 천문학 및 우주과학 교수, 행성연구실험실의 소장,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제트추진실험실의 초빙교수, 세계 최대 우주 애호가 단체인 행성협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회장을 역임하였고, 1996년 12월 골수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는 『창백한 푸른 점 Pale Blue Dot 』『우주의 지적인 생명체 Intelligent Life in the Universe 』『대지의 속삭임 Murmurs of Earth 』『브로카의 두뇌 Broca's Brain 』『우주의 관계 Cosmic Connection 』등이 있으며 소설 『접촉 Contact』는 영화화되어 국내에 상영된 바 있다.
펼처보기닫기

?

목차

Chapter 1 코스모스의 바닷가에서
Chapter 2 우주 생명의 푸가
Chapter 3 지상과 천상의 하모니
Chapter 4 천국과 지옥
Chapter 5 붉은 행성을 위한 블루스
Chapter 6 여행자가 들려준 이야기
Chapter 7 밤하늘의 등뼈
Chapter 8 시간과 공간을 가르는 여행
Chapter 9 별들의 삶과 죽음
Chapter 10 영원의 벼랑 끝
Chapter 11 미래로 띄운 편지
Chapter 12 은하 대백과사전
Chapter 13 누가 우리 지구를 대변해 줄까?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18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117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2 file 홍경화 2014.04.02 6463 68 호아킨 M. 푸스테르 휴먼사이언스 한정규 회원 2014-04-25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o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116 불멸의 이론 file 홍경화 2014.10.02 5324 7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4-10-31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30분
115 자연과학 뇌 생각의 출현 관리자 2009.01.14 5974 1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1-14
114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1 file 홍경화 2011.01.29 12649 28 김용규 박사 휴머니스트 김용규 박사 2011-02-11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시
113 자연과학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file 홍경화 2016.03.31 1641 91 최덕근 휴머니스트 최덕근 교수 2016-04-29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 30분
112 기타 빛과 우주 1 관리자 2009.03.02 10265 5 김형진 화산문화 김형진 박사 2009-03-27
111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110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52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109 자기와 자기실현 5 file 송윤호 2010.06.01 8873 20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한길사 이부영 서울대 명예교수 2010-06-23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108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30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107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106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17 file 홍경화 2013.02.25 8416 54 윌리엄 데이먼 한국경제신문 한혜민(공역자,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2013-03-19 하자센터(5호선 영등포시장역 1번 출구 or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저녁 7시
105 자연과학 느끼는 뇌 1 file 송윤호 2011.03.04 12855 30 조셉 르두 (최준식 역) 학지사 최준식 교수 2011-03-25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104 유레카 E=mc² 3 file 홍경화 2013.06.05 6228 58 고중숙 텔림 고중숙 교수 2013-06-28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 저녁 7시30분
103 자연과학 우주, 시공간과 물질 file 홍경화 2017.04.08 545 103 김항배 컬처룩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2017-04-28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오후 7시30분
102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101 자연과학 뇌처럼 현명하게 file 홍경화 2015.02.08 1833 78 패트리샤 처질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5-02-27 템플스테이 3층( 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100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7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99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