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인문사회
2015.05.24 01:15

[307회차] 모델링을 듣고

조회 수 10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처음에 이 책을 접했을 때도 굉장히 난해하고 쉽지 않은 내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백북스 모임을 다녀오면서 모델링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제가 지금 수강하고 있는 경영프리젠테이션 과목의 교수님이자 모델링의 저자 강신철 교수님께 수업시간 외 어떠한 시간의 압박 없이 모델링에 대해 디테일한 정보와 구조를 가감 없이 들을 수 있었습니다.

?

먼저 모델링은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그리고 문제해결과 같은 실용적 목적이나 정신적 만족을 위한 순수한 목적으로, 인간이 사물과 현상을 인식하여 또는 상상력을 통해, 사물의 외양, 속성, 속성들 간의 관계와 구조, 사물의 상태가 변해나가는 과정을 물질, 언어, 시각도구, 수식 프로그램 등의 매체를 통해 표현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 입니다.

모델링의 목적은 의사소통과 사물의 핵심을 파악,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교육 또는 훈련, 연구개발과 실험과 같은 타인을 주체로 하는 의도가 있으며 온전한 정신적 만족에 의의를 두는 자신을 주체로 하는 의도로 분류됩니다. 여기서 모델링의 주체는 개인,집단,조직,사회,국가 그리고 세계(문화권)으로 점층적 분류가 가능합니다.

모델링은 우리의 삶에 많은 부분에 녹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모델링에 대한 훈련을 받으면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각을 활용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사물을 관찰하고 사물간의 상관관계를 자신만의 생각으로 구성 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더 불어, 조작 및 전달이 용이하고 가상세계의 현시화가 가능합니다. 특히나 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되며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는 등 교육효과의 제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모델링이라는 개념은 오랜 시간 전부터 우리의 삶에 깊게 인식되어 왔으며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모든 행동이나 그 행동에 타당한 결과에 관여되어 왔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는 우리만의 모델링 기법을 터득하여 우리의 삶을 좀 더 윤택하게 꾸밀 수 있어야 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즉 창조적인 방법으로 자신만의 삶을 꾸려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6 [문학일기 5] 아파야 산다/ 샤론 모알렘/ 김영사 2 정광모 2010.11.19 4514
1415 공지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몰입" 2 최윤배 2008.06.21 4489
1414 문학예술 개밥바라기별 (황석영) 2 최윤배 2009.08.09 4484
1413 공지 나스타샤를 읽고 3 최선희 2009.01.05 4446
1412 공지 음악이 인생에게 주는 선물- 리처드 용재오닐의 ‘공감’ 3 김세영 2008.06.02 4411
1411 공지 빵장수 야곱 3 강신철 2003.04.20 4400
1410 공지 춤추는 뇌 -김종성- 2 이재우 2008.05.13 4398
1409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 요약정리 4 file 박용태 2014.02.03 4397
1408 공지 홍보스캔들(051225) 최병관 2005.12.25 4378
1407 공지 안철수 자서전 "영혼이 있는 승부"를 읽고...... 송윤호 2003.06.25 4298
1406 자연과학 <최초의3분>을 읽고. 박희경 2009.02.27 4194
1405 공지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Googler의 편지 4 승건 2008.05.11 4151
1404 기타 우동 한 그릇을 읽고.... 최유현 2009.12.07 4059
1403 공지 '우주의 구조'를 읽고 4 엄준호 2007.05.02 4035
1402 공지 "생각의 탄생" 독후감 4 김미희 2007.11.14 4004
1401 공지 기적의 두뇌 2 전동주 2008.10.29 3968
1400 공지 <경영학의 진리체계> 윤석철 지음, 경문사 펴냄 1 현영석 2002.12.30 3901
1399 공지 "뇌와 내부세계"를 읽고 1 엄준호 2007.09.27 3882
1398 신은 없다? 위대한 설계(스티븐 호킹 저)를 읽고 든 느낌... 7 정길호 2010.10.19 3828
1397 공지 '스피노자의 뇌'를 읽고 2 엄준호 2007.07.24 38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