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5.05.23 08:33

그림자 여행

조회 수 13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08
저자 정여울
출판사 추수밭
발표자 저자 정여울
일자 2015-05-26
장소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시 15분

 

308회.jpg

 

 

scxnLcnooqr8QWVOTeqpJHCd4SaDBxDy.jpg

장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 한의원 건물 6층) 입니다. 
 
1층에 커피빈(카페), 2층에 리챠드프로헤어(미용실)가 있는 건물입니다.
 
 

 입장료 ^^ 

일반인 : 일만원
학   생 : 오천원
 
 
 
 장소 및 기타 문의 연락처

 

백북스 대전지역간사 이근완 : 010 4538 7435
 

bd_t18.gif

베스트셀러 ‘내가 사랑한 유럽 TOP 10’ 작가
정여울의 포토 에세이 ‘그림자 여행’

혼자라도 외롭더라도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더라도
“나는 여기 존재하고 있어”


누구든 자신의 그림자를 마지막으로 바라본 적이 과연 언제인지, 그때를 기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어릴 적 자신의 그림자를 보며 신기해했던 소년 소녀는 이제 어른이 되어 세상에서 존재감을 잃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러나 때론 가장 최선을 다했던 곳에서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때론 가장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쓰라린 상처를 받는다. 외면당하고 무시당하는 자신이 초라해 보일지라도 내 안에 빛나는 그 무엇이 있음을, 나를 지켜주는 건 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임을 깨닫는 순간, 우리는 더욱 강인한 자기를 만날 수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베스트셀러 저자인 정여울은 작가로서 살아온 지난 10여 년의 시간을 되돌아보며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한 번뿐인 이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사색과 성찰을 통해 깊은 울림의 메시지를 전한다. 분명 ‘나’이지만 나도 몰랐던 내 모습, 겉으로 보이진 않지만 상처와 아픔을 지닌 나의 일부, 의식의 자아가 아닌 무의식의 자기, 그리하여 진정한 ‘나 자신’이 곧 ‘그림자’이다. 이 책 《그림자 여행》에는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인생길에서 나 자신과 마주하고 내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삶과 사람, 세상을 다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정여울 저자의 에세이 50편과 그 풍경을 담은 50장의 사진, 그 속에서 다채로운 빛깔을 지닌 우리 모두의 그림자가 담겨 있다.

삶은, 내가 나를
데리고 가는 그림자 여행

누군가는 나를 응원하지만 누군가를 나를 미워한다. 행운이 찾아드는가 하면 불운이 겹치기도 한다. 내가 잘하는 일이 있는 반면 정말 못하는 일도 있다. 내 옆에 누가 있을 때도 있고 아무도 없을 때가 있다. 아픔, 불행, 무능력, 우울, 이러한 경험과 감정은 우리를 절망시킨다. 그럼에도 정여울 저자는 피하고 싶고 숨기고 싶은 그 모든 것이 내 일부이며 나의 그림자임을, 그것으로 인해 나라는 존재가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슴속에 묻어두고 시간에 내맡겼던 자신의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꺼내놓는다.
정여울 저자는 학창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 자신을 아는 일’이란, 어쩌면 ‘부끄럽고 수치심을 느끼면서 자존감에 상처를 입는 과정’이 아닌가라고 묻는다. 왜 우리는 주소, 성적, 신용카드, 주민등록번호 등의 숫자를 통해 존재를 증명하길 요구받으며, 나 자신의 다름을 인정받기가 왜 그리 어려운 걸까. 저자는 이러한 자기 증명 시간의 괴로움은 어른이 된 후에도 끊이지 않는다면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해답은 “뼈아픈 자극” 없이 얻지 못하지만 세상이 원하는 기준에 맞추지 않아도 나 자신을 증명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오늘의 일상이 나를 천천히 만들어가는 과정임을, 어떤 대단한 ...
베스트셀러 ‘내가 사랑한 유럽 TOP 10’ 작가
정여울의 포토 에세이 ‘그림자 여행’

혼자라도 외롭더라도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더라도
“나는 여기 존재하고 있어”


누구든 자신의 그림자를 마지막으로 바라본 적이 과연 언제인지, 그때를 기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어릴 적 자신의 그림자를 보며 신기해했던 소년 소녀는 이제 어른이 되어 세상에서 존재감을 잃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러나 때론 가장 최선을 다했던 곳에서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때론 가장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쓰라린 상처를 받는다. 외면당하고 무시당하는 자신이 초라해 보일지라도 내 안에 빛나는 그 무엇이 있음을, 나를 지켜주는 건 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임을 깨닫는 순간, 우리는 더욱 강인한 자기를 만날 수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베스트셀러 저자인 정여울은 작가로서 살아온 지난 10여 년의 시간을 되돌아보며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한 번뿐인 이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사색과 성찰을 통해 깊은 울림의 메시지를 전한다. 분명 ‘나’이지만 나도 몰랐던 내 모습, 겉으로 보이진 않지만 상처와 아픔을 지닌 나의 일부, 의식의 자아가 아닌 무의식의 자기, 그리하여 진정한 ‘나 자신’이 곧 ‘그림자’이다. 이 책 《그림자 여행》에는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인생길에서 나 자신과 마주하고 내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삶과 사람, 세상을 다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정여울 저자의 에세이 50편과 그 풍경을 담은 50장의 사진, 그 속에서 다채로운 빛깔을 지닌 우리 모두의 그림자가 담겨 있다.

삶은, 내가 나를
데리고 가는 그림자 여행

누군가는 나를 응원하지만 누군가를 나를 미워한다. 행운이 찾아드는가 하면 불운이 겹치기도 한다. 내가 잘하는 일이 있는 반면 정말 못하는 일도 있다. 내 옆에 누가 있을 때도 있고 아무도 없을 때가 있다. 아픔, 불행, 무능력, 우울, 이러한 경험과 감정은 우리를 절망시킨다. 그럼에도 정여울 저자는 피하고 싶고 숨기고 싶은 그 모든 것이 내 일부이며 나의 그림자임을, 그것으로 인해 나라는 존재가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슴속에 묻어두고 시간에 내맡겼던 자신의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꺼내놓는다.
정여울 저자는 학창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 자신을 아는 일’이란, 어쩌면 ‘부끄럽고 수치심을 느끼면서 자존감에 상처를 입는 과정’이 아닌가라고 묻는다. 왜 우리는 주소, 성적, 신용카드, 주민등록번호 등의 숫자를 통해 존재를 증명하길 요구받으며, 나 자신의 다름을 인정받기가 왜 그리 어려운 걸까. 저자는 이러한 자기 증명 시간의 괴로움은 어른이 된 후에도 끊이지 않는다면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해답은 “뼈아픈 자극” 없이 얻지 못하지만 세상이 원하는 기준에 맞추지 않아도 나 자신을 증명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오늘의 일상이 나를 천천히 만들어가는 과정임을, 어떤 대단한 선택이 아닌 사소한 선택이 모여 나를 만들고 있음을, 그리하여 저자는 “나의 성격은 아직 제조 중이고, 나의 재능은 아직 연마 중이며, 나의 인연 또한 늘 새롭게 생성 중”이라고 밝힌다.
이렇듯 나 자신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 우리는 언제고 다시 변화할 수 있다는 메시지는 인생의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멈춰버린 사람들의 적막한 정신을 일깨운다. 정여울 저자는 자신이 잘하지 못하는 세 가지를 고백하면서 그것은 자신의 무능이자 성격의 치명적인 결함을 상징한다고 말하지만, 그러한 결핍이 자신을 넘어뜨리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시 일어서도록 만든 원동력임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내 안의 결핍과 콤플렉스는 오히려 저자에게 “내가 사랑하지만 여전히 잘 모르는 것들 때문에 세상에 대한 내 사랑이 더욱 끈질기게 유지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그러므로 만일 누군가 지금의 성공 또는 불만족으로 자신을 규정한다면, 단지 어느 학교를 선택한 순간 내가 규정되거나 어느 회사, 연봉 수준에 따라 내 가치가 평가된다고 믿는다면 그것에서 자유로워지기를, 그리고 상처 입은 자존감에 숨겨진 내면의 그림자를 쓰다듬어주기를, 삶이라는 ‘그림자 여행’에서 내가 내 손을 잡아주길. 정여울 저자는 나와 내가 마주하는 고독한 시간이 무엇보다 소중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누구도 아닌 바로 내가 여기 있음”을 느끼고, “항상 더 나은 나를 꿈꾸느라 이미 지칠 대로 지쳐버린 나를 쓰다”듬으며 이렇게 속삭인다. “괜찮아, 지금의 너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행복한걸.”

그럼에도 반드시
떠나야 하는 순간이 있다

존재에 대한 소중한 자각을 이야기하는 정여울 저자는 지난 10여 년간 한순간도 게을리 하지 않은 습관들, 즉 ‘읽고, 쓰고, 떠나온’ 것이 이제는 단순히 좋아하는 수준을 넘어 자신이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증거”라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사소해 보일지라도 열정을 쏟을 수 있는 나만의 습관을 찾는 것, 이러한 순간의 선택을 통해 우리는 “삶을 구원할 수 있는 보석 같은 열쇠”를 찾을 수 있다. 나를 만드는 습관은 화려하거나 거창하지 않아도, 누구에게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더불어 정여울 저자는 소소한 일상에서 발견하는 인생의 소중한 가치들 역시 우리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고 말한다. 수많은 상념 속에 모든 것을 내려놓은 밤 산책길에서 고민의 실타래가 풀리고 일상이 축제가 되었던 경험, 바쁜 일정을 가까스로 끝내고 친구들과 떠난 제주도에서 장엄한 일몰을 바라보며 가슴 벅차올랐던 기억, 어린 시절 한 사찰에서 나누었던 큰스님과 마음의 빗장을 연 대화, 그리고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먹은 비빔밥 한 그릇에 담긴 믿음의 의미, 그리운 옛 추억이 고스란히 담긴 엄마의 텃밭, 여동생과 처음 나선 꽃구경에서 깨달은 아름다움의 찰나성, 다른 존재와 말없이 소통하는 법을 알려준 강아지와의 추억 등, 이러한 삶의 풍경이 저자의 말처럼 “우리 인생의 커다란 그림을 천천히 만들어”가는 것이 아닐까.
더불어 정여울 저자의 여행 예찬은 우리 삶과 더욱 맞닿아 있어 그 울림이 깊고 진하다. 여행은 저자에게 “건강보험보다 확실한 마음의 보험”이며 “영혼의 비상식량”이다. 나는 원래 그런 사람이 아닌데 점점 이상해진다고 느낄 때, 어떤 역할에 얽매여 자기를 잃어갈 때, 우리는 극심한 불안을 겪고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처럼 위험하다. “이대로라면 미쳐버릴 것 같은 상황에서 탈출하고” 싶은, “나라고 불려온 지긋지긋한 정체성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마음”에서 떠난 저자의 여행은 좋은 약이 몸의 원기를 회복시키듯 고갈된 마음을 치유하는 힘을 발휘했다. 그리하여 저자는 진중히 묻는다. “오늘이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면, 나는 과연 어디로 떠나야 하는가.”

피터팬의 웬디처럼,
내 영혼의 강인한 성장기

그러므로 단지 먼 곳으로, 유명 관광지의 멋진 풍경을 보기 위해,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 어디 대단한 곳으로 떠나지 않아도 된다. 남들에게 이해받지 못해도 “오직 자신의 열망”과 “알 수 없는 대상을 향한 막연한 그리움”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단단한 의식 속에 갇힌 무의식의 열망, 자아의 힘으로 억압된 자기를 해방시키는 진정한 자유를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저자는 말한다. “더 이상 예전의 삶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안전한 퇴로를 찾을 수 없다 해도, 그럼에도 반드시 떠나야 하는 순간이 있다.”
물론 누군가에게는 하루하루의 밥벌이가 중하여 떠날 수 있는 기회마저 사치인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러지 않음으로써 스스로를 죄인처럼 가두고 점점 괴물로 변하는 자신을 목격한다면, 그리하여 몸과 마음의 병을 얻는다면 과연 그 삶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어쩌면 떠날 때를 아는 것이야말로 나 자신을 지키는 일이 아닐까.
정여울 저자는 그림자가 우리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나의 또 다른 모습이며, “빛의 대가인 그림자를 온전히 끌어안을 때 우리의 영혼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이 책 《그림자 여행》은 내 안의 어두운 모습조차 포용하는 “강인한 영혼의 성장기”이다. 그러나 저자는 어떤 그럴 듯한 성공담을 들려주지 않으며, 자신의 삶을 포장하지도 않는다. 단순히 삶을 긍정하거나 응원하는 메시지가 아니라, 오히려 혼자만의 일기에 적어두고 보여주기 싫었을 자신의 아픈 기억까지 한 자 한 자 용기 내듯 적었다.
잡을 수 없었기에 더욱 아련한 상실의 그림자들, 사라질 것을 알기에 더욱 아련한 추억의 그림자들, 남들보다 더 강하지 못해 뒤처진 안쓰러운 사람들의 흐느끼는 그림자들, 자기 자신의 나약하고 부끄러운 내면의 그림자들. 저자는 이러한 아픔에 대해 단지 ‘연민’이 아닌 ‘공감’의 마음으로 피터팬의 그림자를 어루만진 웬디처럼 따스한 손길을 전한다. 아픔 속에서도 자기를 찾는 길, 영혼의 순례와 같은 내면의 강인한 성장기를 통해 진정한 ‘나다움’의 성찰로 이끈다.

내 그림자까지
사랑할 수 있는 사람

하지만 트라우마와 콤플렉스가 감춰져 있는 그림자는 너무 어두워서 다가가기가 두렵다. 누군가와 사랑에 빠질 때, 우리는 상대의 눈부신 매력에 눈이 멀지만 그의 그림자를 보는 순간 도망가고 싶은 갈등을 겪는다. 나 자신에 대한 사랑도 마찬가지다. 자만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쉽게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는가 하면, 심지어 ‘갑질의 횡포’를 일삼기도 한다. 반대로 나조차 나를 외면하면 비뚤어진 욕망, 잘못된 환상에 사로잡혀 내가 나를 파괴하는 선택을 한다. 그렇다면 나 자신과 다른 사람을 향한 진정한 사랑이란 과연 무엇일까.
정여울 저자는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이 결코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그의 아픈 그림자까지 사랑하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이해한다는 것 역시 상대가 숨긴 그림자를 이해하는 일에서 시작된다. 그러므로 강인한 사람은 “자신의 그림자와 홀로 씨름하며 자기만의 길을 개척하는 사람”이다. 즉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는 빛나는 지성”, “타인의 그림자를 보듬어주는 따스한 감성”을 모두 지닌 사람이다.
그러므로 능력의 한계에 부딪혀 주저앉았더라도, 어린 시절 받았던 상처가 아직 아물지 않았더라도 자기 내면을 똑똑히 바라보고, 다른 사람의 아픔을 살피는 것이야말로 강인한 정신의 발로이다. 나에 대한 내 사랑은, 다른 존재를 향한 내 사랑은 그럼으로써 더욱 공고해진다. “당신의 빛을 넘어 당신의 그림자까지 사랑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내 사랑은 완전해질 것이다.”
그렇다고 그림자가 무조건 경계해야 할 대상만은 아니다. 정여울 저자는 그림자가 “때로는 어둡고 슬픈 모습으로 웅크리고 있지만, 때로는 그 어둠과 슬픔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다면서, 그림자를 그저 온전히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숨기고 싶은 마음의 빈틈이 있기에 우리는 “친구가 되고, 연인이 되고, 마침내 인생을 끝까지 함께할 동지”를 만난다는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삶,
내가 꿈꾸는 강인함

그림자의 또 다른 이름이 ‘내면의 목소리’, ‘내 안의 무의식’이라는 사실은 칼 융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 이론을 떠올리게 만든다. 특히 정여울 저자는 융의 무의식 개념을 이 책의 근간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저자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법을 잊어버린 현대인은 내면 작업에 더욱 서툴다”면서,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은 자기 마음의 그림자를 돌볼 줄 안다”고 말한다. 시간에 쫓겨 앞만 보고 가는 사람들, 자신을 성찰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 누구의 마음도 헤아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누군가의 생명이나 마찬가지인 자존감이 짓밟히는 사례들이 연신 뉴스를 장식하며, 사회적으로 개인의 존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여울 저자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내면의 성찰에 그치지 말고 사회에 대한 성찰로까지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우리 사회의 그림자를 함께 바라보고 함께 아픔을 나눠야 한다는 것이다. “내 한 몸의 자존감을 지키기가 너무 어려운 세상”에서 “갑의 파렴치함과 을의 소심함을 뛰어넘어, 정의와 자유, 평등의 편에서 세상을 바꿔”나가기를, 저자는 그렇게 바라고 있다.
그리하여 《그림자 여행》은 그동안 알지 못했던 내 안의 나를 발견하는 ‘내면의 여정’이자, 어른이 된 후에도 계속되어야 할 ‘성장 일기’이며, 깨어나면 잊어버리는 꿈과 만나는 ‘무의식의 기록’이고, 당신의 그림자에게 보내는 ‘공감의 편지’이다. 또한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아픔을 외면하지 말자는 ‘강인한 다짐의 선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누구의 갑도 누구의 을도 되지 않고, 내 운명의 별자리를 찾아갈 수 있는 단 한 번의 눈부신 삶”이 우리 앞에 펼쳐지기를, “자기 안의 진정한 힘을 발견해내는, 자기 삶의 진짜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를, 나이를 먹는 것이 두렵더라도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삶의 우연을 견뎌내는” 진짜 지혜를 갖기를, 저자는 보석처럼 반짝이는 성찰의 메시지를 당신의 그림자에게 전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 마음에 드리운 수많은 그림자들을 생각”하면서, 아프고 지쳐도 다시 일어선 사람들의 그림자를 “돌보고 다독이고 쓰다듬는 글을 쓰고 싶었다”는 저자의 바람은 ‘아픔을 두려워하지 않고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함께 웃고, 함께 울고, 함께 살자’는 의지로 확대된다. 이 책 《그림자 여행》은 어떤 가치가 옳은 것인지 혼란스러운 시대, 상처받는 개인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 시대에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길 원하는 사람들, 진정 중요한 것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 지성과 감성에 목마른 사람들, 인생의 별자리 같은 책을 만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마음이 통하는 친구와 같은 책이 될 것이다.

Who's 이근완

?

안녕하세요. 한남대학교 졸업생 이근완입니다. 자주 찾아 뵐 수 있도록 하겟습니다.^^

Atachment
첨부 '3'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40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239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7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238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3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237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236 76 영교시 수업 file 관리자 2005.08.08 4018 박성일 어드북스 박성일 2005-08-23
235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234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49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233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69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232 87 알기쉬운 요가 file 관리자 2006.01.24 4086 안지용 도서출판 그린 안지용 2006-02-14
231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1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30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098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229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099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228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099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7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226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225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5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4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79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3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3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222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4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221 13 최신유럽연합론 file 관리자 2003.06.21 4223 이원종 해남 2002-12-10
220 106 인문사회 탐라기행 file 관리자 2006.11.15 4232 시바 료타로 학고재 이석봉 대표 2006-11-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9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218 11 링크 (원제: Linked;) file 관리자 2003.06.21 4237 바라바시 동아시아 2002-11-12
217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216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15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5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14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213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26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212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211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3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210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2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209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88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208 67 양자역학의 모험 관리자 2005.03.21 4402 T.C of LEX 과학과문화 (science culture) 강성열 2005-04-13
207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206 77 돈, 섹스, 권력 file 관리자 2005.08.24 4408 리차드 포스터 두란노 이재흥 2005-09-13
205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204 8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file 관리자 2003.06.21 4465 네그로폰테 박영율 2002-09-28
203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5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 21 경영경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4470 짐 콜린스 김영사 2003-04-22
201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6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