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0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일단 누구보다도 내가 지금 듣고 있는 수업의 교수님이 하는 강연이라 다른 강연보다 기대감이 더 높았다. 모델링이라는 책도 처음 보는 책이 아니어서 강연을 듣기 전에 예습을 한 느낌이라 내가 알고 있는 지식에서 덧붙임 할 수 있는 시간이 됐다.

?모델링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어렵게 느낄 수도 있지만 모델링을 이해하면 정말 재밌는 이론이다.? 강연자인 강신철 교수님도 이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10여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고 하셨다. 나도 당연히 이 이론을 다 이해하진 못했지만 책을 읽고 강연을 들으면서 흥미를 가지고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나 현상은 다 모델링이라고 할 수 있다.?우리가?학교에서 읽고 배우는 교과서도?누군가의 모델이다.?이렇게 모델링이라는 책을 읽고 이해하는 것도 다른 사람의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다른 사람의 모델을 보고 배우기도 한다. 하지만 학생의 입장으로 볼 때 누군가의 모델을 배우는 것 자체는 좋은 일이지만 거기에서 안주하는 것은 모델링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이다.

강신철 교수님께서는 수업시간에 누군가의 모델을 보고 배우는 것으로 멈추지 않고 창의적으로 자신만의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셨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을 그저 그렇게 생각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어렵다. 어떤 것이든 모델링을 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시도 조차 하지 않는다면 발전할 수 없다.?

?강연을 듣고 조금 더 자신을 개발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한번 더 생각하고 느끼는 시간이 됐던 것 같고

앞으로 모델링을 더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6 공지 달콤짭자름한 비스킷 2 이영명 2004.04.04 2003
1435 공지 마시멜로 이야기 3 김춘수 2006.08.22 2815
1434 공지 색채 심리 1 이혜영 2003.07.15 2833
1433 공지 전략적 공부기술이란 책을 읽고 30 th 송근호 2005.06.09 1958
1432 공지 한국의 부자들. 송근호 2003.12.28 2069
1431 공지 "The Present" 1 인윤숙 2006.08.23 2388
1430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강연을 듣고 권남용 2015.04.06 1196
1429 공지 "괭이부리말 아이들" 박종두 2004.02.08 2330
1428 공지 "굿바이 마이 프렌드" 박종두 2004.02.08 2154
1427 공지 "나 노 테 크 놀 로 지"[과 학] 박종두 2004.02.08 1972
1426 공지 "놀라운 가설"을 읽고 3 엄준호 2006.11.22 2745
1425 공지 "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를 읽고 4 엄준호 2007.01.22 2875
1424 공지 "뇌와 내부세계"를 읽고 1 엄준호 2007.09.27 3882
1423 공지 "다 이 고 로 야 고 마 워" 박종두 2004.02.08 2158
1422 "당신과 지구와 우주"(크리스토퍼 포터;전대호;까치 2010) 1 고원용 2012.10.28 2676
1421 공지 "마 음 을 열 어 주 는 101 가 지" 박종두 2004.02.08 2056
1420 공지 "몽 실 언 니" 박종두 2004.02.08 1939
1419 공지 "법 정 스 님 의 오 두 막" 박종두 2004.02.08 1857
1418 공지 "부의 미래"를 읽고 1 엄준호 2006.11.12 2958
1417 "블랙홀 전쟁"(레너드 서스킨드;이종필 옮김;사이언스북스, 2011) 4 고원용 2012.07.14 25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