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2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50428_203624.jpg?

?

?

?대전시립미술관을 가끔 갈 때, 전시 된 현대미술들을 볼 때마다 나는 '이 괴상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번 강연은 그 현대미술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키워드를 통한 이해였다. 강연을 듣기에 앞서 예전에 어떤 사람한테서 들은 이야기가 문득 떠올랐었다. '현대미술을 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해괴하고 어려운 작품을 만들면 잘 만든 것이라 생각한다. 이건 현대미술을 하는 사람이 생각하는 것 중 가장 잘못된 것'. 해석하기 어려운 정도를 예술성이 있다고 착각하는 작가는 분명이 있을 테지만, 이 점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현대미술은 나에게 해괴하고 어렵고 이해 불가능한 존재다. 이번 강의가 나의 관점을 얼마나 변화시킬지 궁금했다.

?

?현대미술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키워드는 7개다. Art, Pop, Emotion, Time, Matrix, Space, Code. 시간상 이 중 Time, Space, Code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림이 정적일 필요가 있는가? 누가 그렇게 강요를 한 적이 있는가? 그리고 꼭 정해진 틀 안에 갇혀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가? 아마도 이러한 물음으로부터 현대미술이 생각되었을 것이다. 회화의 틀과 시간을 깨버린 잭슨 폴록부터 자신의 지난 작품들을 코드로 해 하나의 작품으로 만든 마르셀 뒤샹까지, 각 키워드의 맞게 작품을 보며 설명을 들었다. 어느 정도 현대미술에 대한 이유 없는 반발심이 사그라졌다. 어렵기만 했던 현대미술이 작가님의 말처럼 이해할 수 있었다.

?

?Ceci n'est pas une pipe. 난 이와 같이 작품을 전시해놓고 말장난을 하던 작품들을 싫어했었다. 강연 후에 이 작품이 진짜 말장난임을 알았지만, 왠지 모르게 계속 기억에 남았다. 내가 어떤 사람이라고 말을 하고 다니지만 막상 정말 그런 게 아니고 포장하고 다니는 거라면 어떻게 되는 걸까? 어쩌면, 이런 작품들은 허상과 실상을 구분하라는 심오한 뜻이 담겨있는 게 아닐까. 어느 정도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심을 기르게 해 주고?여러모로 여운을 남긴 좋은 강연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체 게바라 평전 005 2 한창희 2004.07.21 2022
1275 공지 체 게바라 - 죽어서도 말하는 영웅 1 file 강신철 2005.02.04 1605
1274 청춘의 독서 028 1 한창희 2012.01.30 3251
1273 공지 청바지 돌려입기.... 심지영 2003.06.25 2403
1272 공지 철학을 위한 물리학 손기원 2003.06.25 2190
1271 공지 철학 삶을 만나다 김미 2006.12.25 2137
1270 공지 천사와 악마 -댄브라운 서희정 2006.03.15 1410
1269 공지 천국의 책방 열씨미 2003.06.25 2214
1268 공지 천개의 공감 1 김미순 2007.12.18 2870
1267 책에서 답찾기- If의 심리학 4 윤보미 2009.05.01 2292
1266 공지 책에게 경제를 묻다 김미순 2006.12.15 1992
1265 공지 책속에 담겨 있는 지혜를 캐기 위한 방법 이재철 2006.11.07 1858
1264 공지 책과 영화-오만과 편견, 그리고 브리짓존스 고명한 2006.09.30 2180
1263 공지 책, 세상을 훔치다 김미순 2006.12.15 2051
1262 공지 책 읽는 소리 2 박동신 2004.09.22 1690
1261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3 지석연 2010.04.26 2538
1260 공지 채식주의자에 대한 자료 이효원 2003.06.25 2520
1259 공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김미순 2006.10.16 2311
1258 공지 착한 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를 읽고,,, 박선희 2008.11.11 3200
1257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김동일 2012.12.02 19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