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조회 수 17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년 4월 18

공간이야기 1 - 용어의 정의, 개념

1. 건축의 이름

[용어의 정의] - 건축/공간/형태/장소/스케일

: 용어는 그저 명칭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생각의 범주와 방식을 의미한다. 건축은 공간 과 형태를 통해 장소를 현상화 하지만, 그 구축 이전에 보편적 인간으로서 의 인 격적 절대 가치와 존엄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자존을 증명하는 자아의 공간화 과정이 다. 그 과정을 전진시키는 이름들의 의미를 집어본다.

?

?

2015년 4월 15일

공간이야기 2 - 사고 전개와 디자

2. 공간의 인식

[생각의 공간] - 공간의 전개와 디자인 역사.

: 장소의 구축에 있어 개인적 재능과 재주의 능력보다 선행하는 것이 생각의 발현이다. 이는 독보적인 개인의 놀랍고 기묘한 감흥의 구현보다, 보편 타당한 가치로서의 대지, 바로 그곳과 항상 특별한 각개의 또는 그녀의 결합이기 때문이다. 특별하면서 도 보편적으로 인간화된 공간, 그 모순과 정합의 치열한 투쟁이 장소 만들기 이다.

?

?

2015년 4월 22일

공간이야기 3 - 일상으로서의 디자인과 공간

3. 일상으로서의 공간

[공간의 일반적 경험] - 신체와 공간인식, 시간과 공간

: 일상은 경험의 연속성과 지속성이 담보될 때 가능한 상태이다. 비록 그것이 반복적 무료함의 함정과 일상 스스로가 그 자체로 부터 일탈을 자극하는 아이러니일지라도 말 이다. 일상은 우리의 몸을 통한 공간의 구체적 기억이며, 순간적 존재가 꿈꾸는 영원한 시간의 경험이다.

?

?

?

2015년 4월 29일

공간이야기 4 - 공간의 원형과 변

4. 예술로서의 공간

[공간의 예술적 경험] - 공간의 논리적 경험과 정서적 지각

: 예술은 보이지 않는 자연과 우주 속 음률에 인간이 공진할 수 있는 접속 대상을 표 현 함으로서 실현한다. 그것이 경험의 재생이든, 상상의 창조물이든 우리의 자각 을 깨우치는 이곳과 저곳, 이때와 그때, 이것과 저것의 관계를 통해 나와 우리를 대신 하는 인문적 가치를 드러낸다. 일상을 넘어서는 가치가 담긴 물리적 공간경험의 실체 와 의미를 살펴볼 이유가 여기에 있다.

?

?

?

강사: 지산건축연구소 이양훈 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7 공지 창디모임에서 강의해 주시는 이왕기 교수님 기사 이혜영 2009.02.04 2049
486 창디모임-추사고택 답사 회원사진 2 이병설 2008.12.16 2266
485 자료 창디모임 필독서적 목록 공지(1차) 7 김억중 2008.05.16 4442
484 공지 창디모임 강연자 이왕기 교수님 기사. 2 이혜영 2009.02.04 2528
483 공지 창디7차 모임 후기 (3) 1 전광준 2009.01.21 2535
482 공지 창디 추사고택 동영상 보기 9 전재홍 2008.12.15 2432
481 공지 창디 워크샵 1/3 참석자 후기.(후기?) 쓰고 나니 고민 됨 5 윤현식 2008.06.16 2769
480 후기 창디 워크샵 1/3 참석자 후기.(후기?) 쓰고 나니 고민 됨 5 윤현식 2008.06.16 3368
479 창디 만나서 반갑습니다^^ 5 양초순 2010.03.29 2116
478 후기 창디 2차 워크숍 "그 자리 그런 집" 9 현영석 2008.07.14 3162
477 공지 창디 2차 워크숍 "그 자리 그런 집" 9 현영석 2008.07.14 2655
476 칼럼 창디 2차 워크샵을 마치며 3 김억중 2008.07.17 3594
475 후기 창디 2차 워크샵을 마치며 3 김억중 2008.07.17 2716
474 후기 창디 12월 모임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단상 7 이명의 2009.12.20 2131
473 후기 창.디. 3차 워크샾을 참여하고나서... 3 이병설 2008.09.22 2351
472 지의류畵 - 김순선展/ 1월 22일 오후 2시 오픈 김억중 2015.01.21 1573
471 후기 지식사회의 화두 창의성 디자인 3 마삼선 2008.09.23 2379
470 공지 지식사회의 화두 창의성 디자인 3 마삼선 2008.09.23 2465
469 공지 지난해 사진배우기 회비 처리와 관련하여 2 전광준 2011.03.11 2372
468 칼럼 전망에 대한 전망 5 김억중 2010.03.15 28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