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5.04.02 07:45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조회 수 198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0
저자 Gerhard Roth
출판사 시그마프레스
발표자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일자 2015-04-24
장소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시간 저녁 7시30분
http://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68664048

bd_t05.gif

진화생물학과 행동생물학, 신경과학, 인류학 지식을 기초로, 신경계와 뇌의 진화뿐만 아니라 정신-인지 능력, 한마디로 ‘지능’의 진화를 어느 정도나 복원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둘을 어느 정도나 관련시킬 수 있는지 살펴본다. 중심 질문은 인간에게 진정으로 유일무이한 능력이 있는가, 아니면 인간 마음의 진화는 점진적 과정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정확히 어떤 신경 특성 덕분에 동물과 인간이 영리하고 창의적이 될까? 뇌의 절대 크기 또는 상대 크기일까, 아니면 뇌에 들어 있는 ‘지능 중추’의 크기일까? 지능, 마음, 궁극적으로 의식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뇌에 들어 있는 뉴런의 총수일까 아니면 그러한 ‘지능 중추’에 들어 있는 뉴런의 수일까? 이 과정을 뒤에서 몰아가는 것은 어떤 힘일까?

bd_t06.gif

1. 들어가며:마음과 뇌는 하나일까?
2. 마음과 지능
3. 진화란 무엇인가?
4. 마음은 생명과 함께 시작된다
5. 뉴런의 언어
6. 세균, 고세균, 원생동물:신경계 없이 성공한 생명체
7. 무척추동물과 이들의 신경계
8. 무척추동물의 인지와 지능
9. 후구동물
10. 척추동물의 뇌
11. 감각계:뇌와 환경의 결합
12. 척추동물은 얼마나 영리할까?
13. 동물에게도 의식이 있을까?
14. 척추동물 뇌의 비교
15. 인간은 유일무이할까?
16. 뇌와 마음의 진화를 결정짓는 요인들
17. 뇌와 마음

bd_t09.gif

p_dot.gif?최근작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총 17종?(모두보기)
p_dot.gif?최근작 :… 총 48종?(모두보기)
p_dot.gif?소개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대덕연구단지 내 LG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숙명여대 TESOL 과정을 수료한 뒤 영어강사로 일했다. 특히 뇌과학에 관심이 많아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생각의 한계》, 《신경과학으로 보는 마음의 지도》, 《이매진》, 《뇌 과학의 함정》, 《미러링 피플》,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감정의 분자》, 《의식의 탐구》 등을 옮겼다.

bd_t18.gif

마음과 지능을 자연과학의 틀 안에서 설명할 수 있을까,?
아니면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마음과 지능은 자연을 초월하는 것일까??


이 책은 진화생물학과 행동생물학, 신경과학, 인류학 지식을 기초로, 신경계와 뇌의 진화뿐만 아니라 정신-인지 능력, 한마디로 ‘지능’의 진화를 어느 정도나 복원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둘을 어느 정도나 관련시킬 수 있는지 살펴본다. 중심 질문은 인간에게 진정으로 유일무이한 능력이 있는가, 아니면 인간 마음의 진화는 점진적 과정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정확히 어떤 신경 특성 덕분에 동물과 인간이 영리하고 창의적이 될까? 뇌의 절대 크기 또는 상대 크기일까, 아니면 뇌에 들어 있는 ‘지능 중추’의 크기일까? 지능, 마음, 궁극적으로 의식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뇌에 들어 있는 뉴런의 총수일까 아니면 그러한 ‘지능 중추’에 들어 있는 뉴런의 수일까? 이 과정을 뒤에서 몰아가는 것은 어떤 힘일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답이 있다. 어떤 전문가들은 생물이 생존하기 위한 조건이 그 원동력이라고 본다. 이것이 생태적 지능 가설이다. 다른 저자들은 동물의 사회생활에서 비롯되는 난관이 진정한 원동력이라고 믿는다. 이것이 사회적 지능 가설이다. 또 다른 저자들은 도구의 사용 및 제작, 작동 원리 이해와 가장 관계가 깊은 물리적 지능을 세 번째 형태의 인지 기능으로 구분한다. 마지막으로, 어떤 전문가들은 뇌와 마음을 진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은 인지의 뇌 중추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의 속도와 효능의 증가라고 믿는다. 이것이 일반적 지능 가설 또는 정보처리 가설이다. 이 가운데 어떤 가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는지 논의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8 인문사회 플라톤의 카메라 file 홍경화 2016.06.03 992 93 폴 처칠랜드 저/ 박제윤 역 철학과 현실사 박제윤 교수 2016-06-2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77 신경 건드려보기 2 file 홍경화 2014.03.04 7920 67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S. Churchland) 철학과현실사 박제윤 박사 2014-03-28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30분
76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한정규 2014.09.02 5885 73 이강환 현암사 배현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박사수료) 2014-09-26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오후 7시 30분
75 법정스님의 내가 사랑한 책들 file 홍경화 2012.12.03 6851 51 문학의 숲 편집부 문학의숲 백북스 회원 2012-12-14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출구 or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 30분
74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file 홍경화 2017.07.07 517 106 오구리 히로시 바다출판사 서혜숙(역자) 2017-07-28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저녁 7시 30분
73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44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72 최초의3분 2 file 관리자 2009.04.02 6494 6 스티븐와인버그 양문 신상진 교수 2009-04-24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71 자연과학 Cartoon College 분자세포생물학 file 홍경화 2015.11.02 1698 87 신인철 마리기획 신인철(한양대 교수) 2015-11-27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70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file 홍경화 2018.04.03 416 114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04-27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69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1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68 이보디보 file 홍경화 2011.05.04 8959 32 Sean B. Carroll 저/김명남 역 지호 엄준호 박사(식품의약품안전청) 2011-05-2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3호선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 30분
67 거의 모든것의 역사 7 file 박용태 2009.10.30 10548 13 빌 브라이슨 까치 역자 이덕환 교수 2009-11-27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문화이벤트홀(예정) 저녁 7시
66 종교란 무엇인가? 4 file 박용태 2012.10.03 6282 49 오강남 교수 김영사 오강남 교수 2012-10-26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 7시30분
65 자연과학 중력파 file 홍경화 2016.05.01 1097 92 오정근 동아시아 오정근 박사 2016-05-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저녁 7시30분
64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02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63 얼음의 나이 file 홍경화 2013.11.03 7047 63 오코우치 나오히코 계단 우경식 교수 2013-11-29 템플스테이( 조계사 맞은 편. 종각역 3번 츌구 or 안국역 6번 츌구) 저녁 7시 30분
62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file 홍경화 2017.02.02 393 101 유재준 계단 유재준(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2017-02-24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61 보이지 않는 세계 3 file 홍경화 2012.12.29 9898 52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1-25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세종문화회관 건너편 교보생명 지하 1층. 5호선 광화문역 3,4번출구와 교보문고 통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60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6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59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2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