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강연정 기자님의 강연



?강연정 기자님은 거창고 학생들을 주제로 '직업 선택 10계명' 이라는 강연을 듣고 왔습니다. 이러한 상호간의 활발한 의사 소통을 하는 강연은 처음 경험하여 새롭고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제가 이 강연을 들으며 기자님이 가장 하고 싶은 말은 "성공이 아닌 행복에 주요해라" 라는 것입니다. 또한 거창고를 계속 얘기하시고 토픽으로 정하신 이유가 기존 저희가 알던 교육 방식이 아닌 서로 간의 얘기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이며, 학생들도 수동적이지 않은 능동적인 자세로 임하고 직업 선택에 있어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택합니다. 이런 거창고의 얘기는 기자님이 추구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생각입니다.

?직업, 돈, 행복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저의 생각을 말씀드려보자면, 기자님의 말씀 중에 이상한(반듯하지 않은)?직업이라고 보람을 못 느끼지는 않는다고 하셨고 돈과 행복은 관계과 없다고 하셨는데 물론 반듯하지 않은 직업도 보람은 느낄 수 있지만 후자에 돈과 행복은 관계과 없다고 하신 말씀과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솔직히 저는 이제까지 돈과 행복의 상관 관계는 굉장히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돈과 행복의 상관 관계가 크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삶의 여유가 있다는 점입니다. 현실의 대한민국에서는 부익부 빈익빈 사회 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성공과 돈은 행복을 따르게 합니다. 예를 들어 여가 생활도 돈이 있어야 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도 돈이 있어야 하는 시대입니다. 현실은 나의 관심, 잘 할 수 있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것도 돈이 필요합니다. 행복이 있으려면 꼭 돈이 있어야 된다기보다는 그 행복을 시작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강연에서 강연에 대한 청중들과 의사소통하는 과정 중에 제가 가지고 있던 의문점을 강신철 교수님께서 코멘트 해주신 부분에서 이해를 하게 됬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던 의문점은 강연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졌었습니다. 코멘트는 행복과 돈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과 "성공이 아닌 행복에 주요해라"라는 말씀은 그러한 것을 긍정적이게 생각하되, 열심히 하지 않는게 아니라고 말씀하셨던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 강연에서 도출한 점과 배운 점은 행복만 찾아 목표를 세운다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행복을 쫓으며 거창고와 같은 교육 기관과 같이 가르치며 돈돈 하지 않는 세상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우리는 그런 사회와는 다른 현실적 사회에서 살고 있지만 개인이 노력하고 바뀐다면 집단도 바뀔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몇 시간에 걸쳐 좋은 말씀 많이 해주신 강연정 기자님,작가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공지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포리스 카터 윤석련 2003.06.25 3798
1395 자연과학 "아윈슈타인이 직접 쓴 물리이야기"를 읽고 6 표태수 2009.07.01 3797
1394 공지 '스피노자의 뇌'를 읽고 2 엄준호 2007.07.24 3797
1393 공지 제인 구달의 <희망의 밥상>을 읽고 김춘호 2007.02.13 3741
1392 공지 '불편한 진실'을 읽고 2 엄준호 2007.08.05 3736
1391 공지 탐독-이정우 2 장현도 2008.05.21 3734
1390 공지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장현도 2008.05.02 3710
1389 공지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임성빈 2005.10.27 3708
1388 공지 괴짜 경제학 1 김미순 2008.01.11 3690
1387 공지 [59] 자오선 여행 (쳇 레이모) 3 서윤경 2008.12.21 3676
1386 공지 개밥바라기 별 박경희 2008.11.13 3648
1385 공지 부여족의 이동과 기원 고깔모자를 쓴 단군 이병록 2007.01.01 3617
1384 공지 호텔왕 힐튼 자서전을 읽고.. (45th) 송근호 2007.06.25 3607
1383 기타 태양과 별자리 이야기 - 시대정신을 읽고 신동찬 2009.09.26 3606
1382 공지 박완서 산문집 [두부] 소개 : 한겨거레신문 전재 현영석 2002.12.15 3580
1381 자연과학 최초의 3분 1 조태윤 2009.02.13 3569
1380 자연과학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6 손진경 2009.07.19 3568
1379 문학예술 폼페이 3 조태윤 2009.02.03 3533
1378 공지 1월달의 나의 독서목록 안유선 2003.06.25 3528
1377 공지 '초파리의 기억'을 읽고 2 엄준호 2007.06.18 3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