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5.02.25 10:07

다시, 사람이다

조회 수 1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03
저자 고상만
출판사 책담
발표자 고상만
일자 2015-03-10
장소 백북스홀
시간 오후7시

38378965.jpg

<<저자소개>>

인권 운동가, '장준하' 선생 의문사 및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 조사위원회' 조사관 역임, 98년 판문점 김훈 중위 등 의문사한 이들의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한다. 저서- 장준하, 묻지 못한 진실(돌베개, 2012년), 다시, 사람이다(책담, 2014년) 외 다수. 2012년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 등 수상

31419_21348_394.jpeg

국민TV 고상만의 수사반장 http://www.podbbang.com/ch/7456


<<국민라디오 저자 초청 대담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CJqX3_GKFO0


<<오마이뉴스 책 서평>>


'다시 사람이다'는 시중에 없는 역사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봐왔던 교과서에 '한 문장', '한 단어'로 남아있거나 아니 어쩌면 단 '한 글자'도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담은 역사서다. 평화시장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던 '전태일', 1992년 부재자 부정투표를 고발했던 '이지문' 그리고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었던 '장준하'까지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교과서에 없거나 간과된 얘기가 이 책에 실려 있다.

우리는 그동안 수많은 역사를 읽어왔다. 대입을 위해 학창시절에는 졸린 눈 비벼가며 역사 교과서를 읽었다. 대학생 때는 취업을 위해 역사책을 읽었다. '역사 논란'이 우리사회에 대두되자 자격증 획득을 위해 값비싼 인터넷 역사강의를 봤다.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그어가며 동그라미를 쳤고 형광펜을 그었다. 우리의 역사가 '중요'해서가 아니라 '시험에 나온다'기에 우리 역사를 외우고 또 외웠다. 

그래서 놓쳤다. 문과생은 문과생대로 이과생은 이과생이라는 핑계로 역사를 편식했다. 역사적 배경과 맥락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렇게 역사를 편식하던 우리 세태는 한 쪽으로 비대해져만 갔다. 하지만 이 책의 필자는 놓치지 않았다. 자신의 인권활동 경험을 살려 한 줄 한 줄 써내려 갔다. 세상이라는 벽에 자신이 느꼈던 좌절과 희망을 썼다. 분신으로 인해 온 몸이 부풀어 오른 노동자에게 거짓말 할 수밖에 없었던 필자의 회고가 그러했다. 

우리가 모른 척 해온 우리 역사

따져보자. 현재 가판대에 진열되어 잇는 수많은 책들을 살펴보자. 대다수의 책들은 얘기한다. 노동자들의 얘기 대신 성공한 사업가들의 스토리를 강조한다. 가난한 자들의 삶 대신 부유한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자기계발서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자서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를 '신화'라고 말하며 그래서 봐야한다고 말한다. 책을 구매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성공한 사람'과 '있는 자'가 아님에도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다. '없는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에 박수를 치는 현실에서 없는 자들이 '국가권력'에 의해 받았던 손가락질에 대해 얘기한다. 단지 '없다'는 이유로 받았던 수모와 치욕을 전한다. 이소선 여사가 아들 전태일을 살리기 위해 근로감독관에게 "주사 한 대 만 맞게 보증 해달라"는 부탁했다가 거절당한 대목이 그랬다. 전태일 열사가 무엇 때문에 분신을 했던가. 

그 답이 기득권과 국가권력에 있었다. 노동자를 착취하는 사용주와 이를 묵인하는 정부에 있었다. 결국 '있는 자'들은 '전태일'씨가 죽음의 문턱을 넘어가는 그 순간에도 끝까지 외면했다. 모르쇠로 일관했다. 전태일 씨가 '있는 자'였대도 그럴 수 있었을까? 

시대의 외면. 이웃의 무시와 냉대 속에서 "이 순간의 나를 영원히 잊지 말아주게"라고 말한 전태일 씨의 얘기는 그렇게 지금 우리 세대에도 적용된다. 오늘도 탑 꼭대기에 오르는 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옥상위에서 공권력에 구타당하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겹친다. 그래서 이 책은 말한다. 필자가 현장에서 본 생생한 경험담은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모른 척 해왔던 역사가 '과거완료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임을 말해준다. 

뉘우침 없는 국가권력을 용서할 수 없는 피해자

또한 이 책은 국가권력이 '인권'을 어떻게 유린해왔는지를 고발한다. 사학재단의 비리에 맞서 싸웠던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국가권력이 국민에게 행했던 폭력을 얘기한다. 1998년 5월에 사망한 김훈 중위의 얘기에서 현재 군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군의 가혹행위와 폭력이 그렇다. 너무나도 많이 들어온 얘기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애써 외면해왔던 무거운 얘기를 필자는 무겁지 않게 담담하게 전달해준다. 

특히 '김근태' 씨를 부분은 국가권력의 폭력성을 여실 없이 보여준다. '이근안'이라는 이름으로 행했던 국가권력은 겉으로는 상처를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김근태'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치유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상처를 남겼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고인을 기억하며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수많은 국가권력을 이용한 가해자들을 고발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호의호식하고 있는 자들을 꼬집는다.

김근태씨는 결국 이근안을 용서하지 못했다. 그의 뉘우침 없는 사죄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 뒤로 누가 더 괴로워했을까? 이근안이 아니다. 김근태였다. 김근태는 용서하지 못한 자신을 자책하며 결국 눈을 감았다. 진심어린 사과와 용서를 구하지 않는 국가권력은 끝까지 고인을 조롱한 것이다. 그래서 용서할 수 없다. 현재를 살아가는 국가권력의 피해자들은 결국 죽는 순간까지 가해자들을 용서하지 못한다. 비단 과거뿐이랴. 국가는 국가가 저지른 잘못을 단 한 번도 진정어린 사과를 한 적이 없다. 

그렇게 군사정권시절 국가가 저질렀던 폭력은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이어진다. 평생 지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5.18 때 광주에서 그러했지만 현재에도 국가권력의 폭력은 멈추지 않고 행해지고 있다. 국가라는 이름 앞에 인권이 무시되기 일쑤였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죽는 순간까지 당사자들을 수치심에 떨게 하고 치욕에서 살게 했다. 필자는 그러한 사람들을 목격했다. '김근태'는 가고 없지만 아직도 세상엔 수많은 '김근태'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몸으로 느꼈다. 

'다시 사람이다'가 건네는 메시지 

이 책은 우리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전면으로 등장하지 않았던 내용을 언급했다. '시민'을 얘기하며 '인권'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렇게 필자는 자신의 인권활동가의 경험을 살려 우리 공동체의 엄연한 일원이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치부된 부분을 짚었다. 앞으로 해야 될 일이 '사람'에 있다며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았다. 

책을 덮고 다시 맨 앞으로 돌아와 생각했다. 매일매일 다른 얼굴을 하며 찾아오는 '인권유린'의 현실에 이 땅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를 고민했다. 답은 간단했다. 겉표지에 있었다. '사람'에 있었다. '전태일'은 부당한 현실을 고발했다. '이지문' 중위는 부정선거를 폭로했다. '장준하' 선생은 독재정권에 맞서 싸웠다. 이들은 다 함께 같이 살자고 외쳤다. 부조리한 현실 앞에 '함께' 싸우자고 목소리를 냈다.

하수상한 요즈음 이 책을 보며 생각하게 된다. 밀양에서 국가권력 앞에 한 평생을 살아온 터전을 잃어버린 우리 이웃을 외면하지 말아야 함을 기억하게 된다. 자본논리로 인해 '안전'이 무시된 우리사회에서 자식을 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함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사람'이다. 결국 '사람'이다.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책은 그래서 생명을 경시하는 우리 사회에 울림을 준다. 목소리를 낸다. '다시 사람이다'고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86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4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5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4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3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2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1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0 344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이근완 2016.12.20 290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9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3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8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7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6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5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4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74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3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72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1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70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69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8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2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7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6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5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4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3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2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1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1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0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9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8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7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6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29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5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88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4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1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3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2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51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150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14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148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7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47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