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5.02.25 10:07

다시, 사람이다

조회 수 1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03
저자 고상만
출판사 책담
발표자 고상만
일자 2015-03-10
장소 백북스홀
시간 오후7시

38378965.jpg

<<저자소개>>

인권 운동가, '장준하' 선생 의문사 및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 조사위원회' 조사관 역임, 98년 판문점 김훈 중위 등 의문사한 이들의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한다. 저서- 장준하, 묻지 못한 진실(돌베개, 2012년), 다시, 사람이다(책담, 2014년) 외 다수. 2012년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 등 수상

31419_21348_394.jpeg

국민TV 고상만의 수사반장 http://www.podbbang.com/ch/7456


<<국민라디오 저자 초청 대담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CJqX3_GKFO0


<<오마이뉴스 책 서평>>


'다시 사람이다'는 시중에 없는 역사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봐왔던 교과서에 '한 문장', '한 단어'로 남아있거나 아니 어쩌면 단 '한 글자'도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담은 역사서다. 평화시장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던 '전태일', 1992년 부재자 부정투표를 고발했던 '이지문' 그리고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었던 '장준하'까지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교과서에 없거나 간과된 얘기가 이 책에 실려 있다.

우리는 그동안 수많은 역사를 읽어왔다. 대입을 위해 학창시절에는 졸린 눈 비벼가며 역사 교과서를 읽었다. 대학생 때는 취업을 위해 역사책을 읽었다. '역사 논란'이 우리사회에 대두되자 자격증 획득을 위해 값비싼 인터넷 역사강의를 봤다.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그어가며 동그라미를 쳤고 형광펜을 그었다. 우리의 역사가 '중요'해서가 아니라 '시험에 나온다'기에 우리 역사를 외우고 또 외웠다. 

그래서 놓쳤다. 문과생은 문과생대로 이과생은 이과생이라는 핑계로 역사를 편식했다. 역사적 배경과 맥락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렇게 역사를 편식하던 우리 세태는 한 쪽으로 비대해져만 갔다. 하지만 이 책의 필자는 놓치지 않았다. 자신의 인권활동 경험을 살려 한 줄 한 줄 써내려 갔다. 세상이라는 벽에 자신이 느꼈던 좌절과 희망을 썼다. 분신으로 인해 온 몸이 부풀어 오른 노동자에게 거짓말 할 수밖에 없었던 필자의 회고가 그러했다. 

우리가 모른 척 해온 우리 역사

따져보자. 현재 가판대에 진열되어 잇는 수많은 책들을 살펴보자. 대다수의 책들은 얘기한다. 노동자들의 얘기 대신 성공한 사업가들의 스토리를 강조한다. 가난한 자들의 삶 대신 부유한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자기계발서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자서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를 '신화'라고 말하며 그래서 봐야한다고 말한다. 책을 구매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성공한 사람'과 '있는 자'가 아님에도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다. '없는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에 박수를 치는 현실에서 없는 자들이 '국가권력'에 의해 받았던 손가락질에 대해 얘기한다. 단지 '없다'는 이유로 받았던 수모와 치욕을 전한다. 이소선 여사가 아들 전태일을 살리기 위해 근로감독관에게 "주사 한 대 만 맞게 보증 해달라"는 부탁했다가 거절당한 대목이 그랬다. 전태일 열사가 무엇 때문에 분신을 했던가. 

그 답이 기득권과 국가권력에 있었다. 노동자를 착취하는 사용주와 이를 묵인하는 정부에 있었다. 결국 '있는 자'들은 '전태일'씨가 죽음의 문턱을 넘어가는 그 순간에도 끝까지 외면했다. 모르쇠로 일관했다. 전태일 씨가 '있는 자'였대도 그럴 수 있었을까? 

시대의 외면. 이웃의 무시와 냉대 속에서 "이 순간의 나를 영원히 잊지 말아주게"라고 말한 전태일 씨의 얘기는 그렇게 지금 우리 세대에도 적용된다. 오늘도 탑 꼭대기에 오르는 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옥상위에서 공권력에 구타당하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겹친다. 그래서 이 책은 말한다. 필자가 현장에서 본 생생한 경험담은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모른 척 해왔던 역사가 '과거완료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임을 말해준다. 

뉘우침 없는 국가권력을 용서할 수 없는 피해자

또한 이 책은 국가권력이 '인권'을 어떻게 유린해왔는지를 고발한다. 사학재단의 비리에 맞서 싸웠던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국가권력이 국민에게 행했던 폭력을 얘기한다. 1998년 5월에 사망한 김훈 중위의 얘기에서 현재 군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군의 가혹행위와 폭력이 그렇다. 너무나도 많이 들어온 얘기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애써 외면해왔던 무거운 얘기를 필자는 무겁지 않게 담담하게 전달해준다. 

특히 '김근태' 씨를 부분은 국가권력의 폭력성을 여실 없이 보여준다. '이근안'이라는 이름으로 행했던 국가권력은 겉으로는 상처를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김근태'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치유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상처를 남겼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고인을 기억하며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수많은 국가권력을 이용한 가해자들을 고발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호의호식하고 있는 자들을 꼬집는다.

김근태씨는 결국 이근안을 용서하지 못했다. 그의 뉘우침 없는 사죄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 뒤로 누가 더 괴로워했을까? 이근안이 아니다. 김근태였다. 김근태는 용서하지 못한 자신을 자책하며 결국 눈을 감았다. 진심어린 사과와 용서를 구하지 않는 국가권력은 끝까지 고인을 조롱한 것이다. 그래서 용서할 수 없다. 현재를 살아가는 국가권력의 피해자들은 결국 죽는 순간까지 가해자들을 용서하지 못한다. 비단 과거뿐이랴. 국가는 국가가 저지른 잘못을 단 한 번도 진정어린 사과를 한 적이 없다. 

그렇게 군사정권시절 국가가 저질렀던 폭력은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이어진다. 평생 지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5.18 때 광주에서 그러했지만 현재에도 국가권력의 폭력은 멈추지 않고 행해지고 있다. 국가라는 이름 앞에 인권이 무시되기 일쑤였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죽는 순간까지 당사자들을 수치심에 떨게 하고 치욕에서 살게 했다. 필자는 그러한 사람들을 목격했다. '김근태'는 가고 없지만 아직도 세상엔 수많은 '김근태'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몸으로 느꼈다. 

'다시 사람이다'가 건네는 메시지 

이 책은 우리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전면으로 등장하지 않았던 내용을 언급했다. '시민'을 얘기하며 '인권'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렇게 필자는 자신의 인권활동가의 경험을 살려 우리 공동체의 엄연한 일원이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치부된 부분을 짚었다. 앞으로 해야 될 일이 '사람'에 있다며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았다. 

책을 덮고 다시 맨 앞으로 돌아와 생각했다. 매일매일 다른 얼굴을 하며 찾아오는 '인권유린'의 현실에 이 땅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를 고민했다. 답은 간단했다. 겉표지에 있었다. '사람'에 있었다. '전태일'은 부당한 현실을 고발했다. '이지문' 중위는 부정선거를 폭로했다. '장준하' 선생은 독재정권에 맞서 싸웠다. 이들은 다 함께 같이 살자고 외쳤다. 부조리한 현실 앞에 '함께' 싸우자고 목소리를 냈다.

하수상한 요즈음 이 책을 보며 생각하게 된다. 밀양에서 국가권력 앞에 한 평생을 살아온 터전을 잃어버린 우리 이웃을 외면하지 말아야 함을 기억하게 된다. 자본논리로 인해 '안전'이 무시된 우리사회에서 자식을 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함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사람'이다. 결국 '사람'이다.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책은 그래서 생명을 경시하는 우리 사회에 울림을 준다. 목소리를 낸다. '다시 사람이다'고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40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1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39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38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598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37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236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235 158 사라진 손바닥 file 박문호 2009.01.14 5111 나희덕 문학과지성사 나희덕 시인 2009-01-30
234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48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233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2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72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231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230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9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28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227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26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57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5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4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3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2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2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3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221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20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9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218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71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217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16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5 36 생각이 솔솔 file 관리자 2003.12.09 3881 애드워드 드 보노 (주)한언 문경수 2003-12-20
214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13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12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69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1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1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10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09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208 83 샤갈의 미술세계 file 관리자 2005.11.26 3733 이재흥 100 이재흥 2005-12-13
207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3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6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05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1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204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6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203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202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599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201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