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5.02.25 10:07

다시, 사람이다

조회 수 1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03
저자 고상만
출판사 책담
발표자 고상만
일자 2015-03-10
장소 백북스홀
시간 오후7시

38378965.jpg

<<저자소개>>

인권 운동가, '장준하' 선생 의문사 및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 조사위원회' 조사관 역임, 98년 판문점 김훈 중위 등 의문사한 이들의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한다. 저서- 장준하, 묻지 못한 진실(돌베개, 2012년), 다시, 사람이다(책담, 2014년) 외 다수. 2012년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 등 수상

31419_21348_394.jpeg

국민TV 고상만의 수사반장 http://www.podbbang.com/ch/7456


<<국민라디오 저자 초청 대담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CJqX3_GKFO0


<<오마이뉴스 책 서평>>


'다시 사람이다'는 시중에 없는 역사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봐왔던 교과서에 '한 문장', '한 단어'로 남아있거나 아니 어쩌면 단 '한 글자'도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담은 역사서다. 평화시장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던 '전태일', 1992년 부재자 부정투표를 고발했던 '이지문' 그리고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었던 '장준하'까지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교과서에 없거나 간과된 얘기가 이 책에 실려 있다.

우리는 그동안 수많은 역사를 읽어왔다. 대입을 위해 학창시절에는 졸린 눈 비벼가며 역사 교과서를 읽었다. 대학생 때는 취업을 위해 역사책을 읽었다. '역사 논란'이 우리사회에 대두되자 자격증 획득을 위해 값비싼 인터넷 역사강의를 봤다.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그어가며 동그라미를 쳤고 형광펜을 그었다. 우리의 역사가 '중요'해서가 아니라 '시험에 나온다'기에 우리 역사를 외우고 또 외웠다. 

그래서 놓쳤다. 문과생은 문과생대로 이과생은 이과생이라는 핑계로 역사를 편식했다. 역사적 배경과 맥락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렇게 역사를 편식하던 우리 세태는 한 쪽으로 비대해져만 갔다. 하지만 이 책의 필자는 놓치지 않았다. 자신의 인권활동 경험을 살려 한 줄 한 줄 써내려 갔다. 세상이라는 벽에 자신이 느꼈던 좌절과 희망을 썼다. 분신으로 인해 온 몸이 부풀어 오른 노동자에게 거짓말 할 수밖에 없었던 필자의 회고가 그러했다. 

우리가 모른 척 해온 우리 역사

따져보자. 현재 가판대에 진열되어 잇는 수많은 책들을 살펴보자. 대다수의 책들은 얘기한다. 노동자들의 얘기 대신 성공한 사업가들의 스토리를 강조한다. 가난한 자들의 삶 대신 부유한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자기계발서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자서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를 '신화'라고 말하며 그래서 봐야한다고 말한다. 책을 구매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성공한 사람'과 '있는 자'가 아님에도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다. '없는 자'들의 삶을 노래한다. 있는 자들의 얘기에 박수를 치는 현실에서 없는 자들이 '국가권력'에 의해 받았던 손가락질에 대해 얘기한다. 단지 '없다'는 이유로 받았던 수모와 치욕을 전한다. 이소선 여사가 아들 전태일을 살리기 위해 근로감독관에게 "주사 한 대 만 맞게 보증 해달라"는 부탁했다가 거절당한 대목이 그랬다. 전태일 열사가 무엇 때문에 분신을 했던가. 

그 답이 기득권과 국가권력에 있었다. 노동자를 착취하는 사용주와 이를 묵인하는 정부에 있었다. 결국 '있는 자'들은 '전태일'씨가 죽음의 문턱을 넘어가는 그 순간에도 끝까지 외면했다. 모르쇠로 일관했다. 전태일 씨가 '있는 자'였대도 그럴 수 있었을까? 

시대의 외면. 이웃의 무시와 냉대 속에서 "이 순간의 나를 영원히 잊지 말아주게"라고 말한 전태일 씨의 얘기는 그렇게 지금 우리 세대에도 적용된다. 오늘도 탑 꼭대기에 오르는 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옥상위에서 공권력에 구타당하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겹친다. 그래서 이 책은 말한다. 필자가 현장에서 본 생생한 경험담은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으면서도 모른 척 해왔던 역사가 '과거완료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임을 말해준다. 

뉘우침 없는 국가권력을 용서할 수 없는 피해자

또한 이 책은 국가권력이 '인권'을 어떻게 유린해왔는지를 고발한다. 사학재단의 비리에 맞서 싸웠던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국가권력이 국민에게 행했던 폭력을 얘기한다. 1998년 5월에 사망한 김훈 중위의 얘기에서 현재 군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군의 가혹행위와 폭력이 그렇다. 너무나도 많이 들어온 얘기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애써 외면해왔던 무거운 얘기를 필자는 무겁지 않게 담담하게 전달해준다. 

특히 '김근태' 씨를 부분은 국가권력의 폭력성을 여실 없이 보여준다. '이근안'이라는 이름으로 행했던 국가권력은 겉으로는 상처를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김근태'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치유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상처를 남겼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고인을 기억하며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수많은 국가권력을 이용한 가해자들을 고발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호의호식하고 있는 자들을 꼬집는다.

김근태씨는 결국 이근안을 용서하지 못했다. 그의 뉘우침 없는 사죄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 뒤로 누가 더 괴로워했을까? 이근안이 아니다. 김근태였다. 김근태는 용서하지 못한 자신을 자책하며 결국 눈을 감았다. 진심어린 사과와 용서를 구하지 않는 국가권력은 끝까지 고인을 조롱한 것이다. 그래서 용서할 수 없다. 현재를 살아가는 국가권력의 피해자들은 결국 죽는 순간까지 가해자들을 용서하지 못한다. 비단 과거뿐이랴. 국가는 국가가 저지른 잘못을 단 한 번도 진정어린 사과를 한 적이 없다. 

그렇게 군사정권시절 국가가 저질렀던 폭력은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이어진다. 평생 지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5.18 때 광주에서 그러했지만 현재에도 국가권력의 폭력은 멈추지 않고 행해지고 있다. 국가라는 이름 앞에 인권이 무시되기 일쑤였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죽는 순간까지 당사자들을 수치심에 떨게 하고 치욕에서 살게 했다. 필자는 그러한 사람들을 목격했다. '김근태'는 가고 없지만 아직도 세상엔 수많은 '김근태'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몸으로 느꼈다. 

'다시 사람이다'가 건네는 메시지 

이 책은 우리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전면으로 등장하지 않았던 내용을 언급했다. '시민'을 얘기하며 '인권'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렇게 필자는 자신의 인권활동가의 경험을 살려 우리 공동체의 엄연한 일원이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치부된 부분을 짚었다. 앞으로 해야 될 일이 '사람'에 있다며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았다. 

책을 덮고 다시 맨 앞으로 돌아와 생각했다. 매일매일 다른 얼굴을 하며 찾아오는 '인권유린'의 현실에 이 땅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를 고민했다. 답은 간단했다. 겉표지에 있었다. '사람'에 있었다. '전태일'은 부당한 현실을 고발했다. '이지문' 중위는 부정선거를 폭로했다. '장준하' 선생은 독재정권에 맞서 싸웠다. 이들은 다 함께 같이 살자고 외쳤다. 부조리한 현실 앞에 '함께' 싸우자고 목소리를 냈다.

하수상한 요즈음 이 책을 보며 생각하게 된다. 밀양에서 국가권력 앞에 한 평생을 살아온 터전을 잃어버린 우리 이웃을 외면하지 말아야 함을 기억하게 된다. 자본논리로 인해 '안전'이 무시된 우리사회에서 자식을 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함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사람'이다. 결국 '사람'이다.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 책은 그래서 생명을 경시하는 우리 사회에 울림을 준다. 목소리를 낸다. '다시 사람이다'고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0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7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99 7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2 file 관리자 2005.07.11 3554 공병호 해냄 이규상 2005-07-26
398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97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5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6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0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5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493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94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88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3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2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1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390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2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89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88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7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387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6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6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5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1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84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383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2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381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19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0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9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8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7 5 금산적병강 야유회 file 관리자 2003.06.21 4784 2002-08-15
376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3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375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2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4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2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73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0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372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6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1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370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52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9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68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3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367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366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3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365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098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364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363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2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2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3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1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5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