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모임

조회 수 29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전공 공부 안 시킨다며 왜 학기 중에 사원 뽑나"
대학도 기업에 할 말 있다… 장하성 교수의 반론

기업이 획일적 채용하니 획일적 학생이 나오는 것
경쟁 포기하면 안 된다는 윤종용씨 의견 100%공감 



 
 

 
▲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장. /조선일보DB대학이 전공·기초학문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인성과 전공 교육 모두 부족하다는 기업들 불만에 대해 30일 고려대 장하성(56) 경영대학장이 대학 입장에서 반론을 해왔다. 장 학장은 "(조선일보에 보도된) 윤종용 공학한림원 회장이나 기업 인사 담당 임원들 지적에 충분히 공감하지만 우리도 할 말이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전공·기초 제대로 안 가르친다고?

"공대가 전공이나 기초학문을 충분히 가르치지 않는다"는 윤종용 회장 지적에 대해 장 학장은 "인문학과 달리 공대처럼 전문 기술이 중요한 분야에서 기초 학문과 전공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 학장은 "그렇게 전공 공부 중요하다는 기업들은 왜 졸업도 하기 전에 채용전형을 시작해 대학의 4학년 2학기를 무력화시키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졸업 전에 취직해 회사로 출근해야 하니 학점을 대충 달라는 학생을 만나면 말문이 탁 막힌다"면서 "이건 전공 공부 더 해야 한다는 차원을 넘어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학생들에게 마무리는 제대로 안 해도 사는 데 아무 문제 없다는 왜곡된 믿음을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획일적 인재 양성이 대학만의 잘못이라고?

장 학장은 "(기업 인사담당 임원이 지적한) '대학이 비슷한 스펙(조건)의 획일적 학생들만 배출해 기업은 도리어 비슷한 인재들을 변별하느라 생고생하고 있다'는 말에 참 공감이 간다"면서 "하지만 그렇게 된 이유가 뭐냐"고 되물었다. 그는 "기업들이 우수 인재 안 뺏기겠다면서 일년에 한두 번 비슷한 시기에 대량으로 획일적 채용을 하고 있으니, 대학 교육도 어쩔 수 없이 학점 잘 줘가면서 획일적으로 흐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의 순서상 채용하는 기업에서 먼저 다양한 인재를 뽑겠다는 채용 기준을 제시해야 대학 교육도 그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그는 "기업이 진정 다양한 인재를 진정 뽑고 있다면 왜 서울대나 지방대가 동일하게 교육시키겠는가"라고 말했다.

 

◆대학이 맞춤형 인재를 공급하지 않는다고?

장 학장은 "기업은 '신입사원 뽑은 뒤 재교육에 1억원씩 쏟아붓는다'고 푸념하는데 과연 기업들이 대학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계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면서 "기업과 대학 간 연계만 잘된다면 1억원의 절반 이하 비용으로도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적기에 공급받을 수 있는데 왜 그 방법엔 소극적이면서 대학 탓만 하는가"라고 말했다.

 

장 학장은 "맞춤형 교육도 좋지만 기업이 대학을 하나의 잣대로 요구하지 말라"면서 "기업 입장에서는 당장 실무 중심의 '메모리형 인재'도 필요하겠지만 결국 미래 경쟁력을 위해서는 '리더형 인재'를 키우는 대학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성 교육이 취약한 점은 아쉽다

"대학 교육이 전공도, 인성도 모두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장 학장도 "개인의 미래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교육의 사명인데, 그 부분에 미약한 것은 정말 아쉬운 부분"이라며 공감한다고 했다. 그는 "교양 수업을 1, 2학년에 배울 게 아니라 반대로 1, 2학년 때 전공 배우고 난 뒤 3학년 이후 가치 판단의 차원에서 교양을 배우게 하는 것도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몇 년 전 참여연대에서 소액주주 운동을 주도할 당시 장 학장은 윤종용 당시 삼성전자 부회장과 주총장 등에서 날카롭게 맞섰다. 하지만 장 학장은 "교육에 있어 평준화와 특성화는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할 수 있다는 윤 회장의 논리나, 교육에서 경쟁을 포기해선 안 된다는 신념 등에 대해 100% 공감한다"고 말했다. 경제 영역에서 맞서던 두 사람이 교육에선 생각보다 많은 부분에 대해 공감을 하고 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 교차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김홍섭 2007.08.28 2595
65 교차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황보영 2007.08.28 2566
64 교차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문경목 2007.08.29 2717
63 교차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이재우 2007.09.01 2557
62 교차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못다한 이야기 김주현 2007.09.04 2798
61 교차로 오는 12월 29일까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독서서평을 받습니다. 김주현 2007.12.20 2771
60 교차로 오는 13일(토) 마감. 교차로 추천서적 '해상시계' 김주현 2007.10.01 2579
59 교차로 오는 15일(토) 책 ''헬리코박터를 위한 변명'' 독서서평을 받습니다. 김주현 2007.12.04 2664
58 교차로 오는 15일(토)책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독서서평 마감 김주현 2008.03.03 2626
57 교차로 오는 19일까지, 책'희망의 인문학' 서평을 받습니다. 김주현 2007.07.10 2382
56 교차로 오는 29(토), 책 '얼굴, 한국인의 낯' 독서서평 마감 김주현 2008.03.16 2791
55 교차로 오는 29일(토) '니체~, 차라투스트라 이렇게 말했다'감상평을 받습니다. 김주현 2007.09.23 2533
54 교차로 오는 6월 19일(화) 책, 연금술사 스터디 공지합니다. 3 김주현 2007.06.16 2424
53 교차로 오늘 29일(화) 무탄트 메세지로 스터디 합니다. 장소변경 확인요망 김주현 2008.01.29 2582
52 교차로 오늘 5일(화) 교차로 19번째 스터디 ''창조적 디자인 경영" 김주현 2008.02.05 2615
51 교차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이재우 2007.12.29 2627
50 교차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이소연 2007.12.30 2708
49 교차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교차로 마감 김주현 2007.12.31 2718
48 공지 이런 사람이 돼보자 김주현 2009.02.10 2609
47 교차로 이보디보 이재우 2007.11.03 27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