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모임

조회 수 281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 과학이 다루는 것은 자연과 사실인가, 아니면 자연과 사실에 관한 정보인가?
  2. 정보는 객관적인가?
  3. 아인슈타인은 연필과 종이로 상대성이론을 연구했다. 현대의 물리학과 생물학이 컴퓨터 없이 연구를 할 수 없다면 아인슈타인 시절과 무엇이 달라진 것인가?
  4. 확률의 통계적인 정의와 합리적인 정의는 어떻게 다른가? 동전을 한 번 던져서 앞면이 나올 확률이 1/2이라고 말할 때의 '확률'과 오늘 오후에 비가 올 확률이 50%라는 일기예보의 '확률'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5. 정보, 엔트로피, 로그함수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
  6. 카레의 '수학적인 정보이론'에서 정보의 '효용성'이란 무엇인가?
  • ?
    김주현 2008.03.14 09:00
    감사합니다. 오는 토요일에 서평과 함께 정리해 보내겠습니다.

  1. 독서포인트-몰입의 즐거움

  2. 독서포인트-말랑말랑한 힘

  3. 독서포인트-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4. 독서포인트-고추장 책으로 말하다

  5. 독서포인트- 이보디보

  6. 독서포인트 - 항우와 유방

  7. 독서포인트 - 탐독

  8. 독서포인트 - 일류의 조건

  9. 독서포인트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10. 독서 포인트 - 시크릿

  11. 독서 포인트 - 부의 미래

  12. 대학생활에만 할 수 있는 일 모음 사이트

  13. 대학도 기업에 할 말 있다… 장하성 교수의 반론

  14. 다음서적은 '꿈꾸는 기계의 진화' 입니다.

  15. 다음 주 서적은 항우와 유방 1,2,3 입니다.

  16. 다음 주 서적은 "부의 미래"입니다.

  17. 다음 서적은 말랑말랑한 힘 입니다.

  18. 다음 달 선정도서는 '미래기업의 조건' 입니다.

  19.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니체되기)

  20.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