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우주+뇌과학모임

2010.10.03 07:04

복잡계

조회 수 2682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Extra Form









복잡계에 관련된 자료를 모아 보았습니다.
  • ?
    이기두 2010.10.03 07:04
    아직 초기라고는 하지만 복잡계이론은 자연을 해석하는 물리학에서
    인지과학과 예술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경영학에서도 카오스이론이 이야기 되고 있는 것을 봅니다.

    왜일까?
  • ?
    이기두 2010.10.03 07:04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반드시 三은 세 개만은 아닐 것입니다.
    여기서 三은 단순한 구조로
    만물은 복잡계로 본다면
    여기서 말하려는 것은 단순한 구조에서
    어느순간 비약적으로 복잡계로 전환한다는 것을 말한 것일까요?

    三에서 atracter를 형성하여 복잡계로 전환되는 것을 본 것일까?

    과거의 사상에서
    만물이론의
    영감을 찾아올 수 있을까?
  • ?
    이기두 2010.10.03 07:04
    {그런데도 세계가 물리적으로 닫혀있다고 말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모순이 아닐까요? 물론 만일 물리적으로 우리와 완벽히 동일한 좀비를 상상한다면, 그 좀비조차 우리와 같은 물음을 품어야만 합니다. 우리가 물리적으로 닫혀있지만, 우리가 '우리는 왜 주관적인 경험을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좀비 역시 동일한 물음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즉 차머스에 의하면 비물리적일것이 분명한 우리의 이 지식조차 물리적 세계에 닫혀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차머스의 논지에 따르면 우리는 여전히 기능적으로 구별할 수 없지만 '경험'은 하지 않는 좀비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그의 논지가 쉽게 반박될 수 없는 이유이고, 철학이 어려운 이유입니다. -- 신효섭님의 의식의 어려운 문제에 쓰신 댓글}

    이런 좀비를 우리는 이미 경험하고 있습니다.
    공연예술에서
    배우는 위에 말씀하는 것처럼 좀비처럼
    자신이 경험하지 않는 것을 흉내냅니다.
    가끔 흉내내다가 진정으로 직접 경험한 것처럼
    배우가 자신을 극중인물과 동일시하는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바로 직접경험을 하는 것처럼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데,
    카오스이론과 관련해서
    의식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단서가 있는 것 아닐까요?
  • ?
    이기두 2010.10.03 07:04
    그런데 신효섭님이 썼던 의식의 어려운문제와 쉬운문제는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책이 나에게 한 권 주어젔을 때,
    이책이 어떤 잉크로 인쇄되었는지, 책의 재질은 무엇인지, 어디서 가져왔는지 등을 아는 것는 쉬운 문제이고,
    그책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일 것입니다.

    환원주의자들은 과학으로 모든 것을 알수 있다고 하는 것은
    쉬운 문제에 관한 것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정작 그책이 어떤 내용인지는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쪽 계통의 대표적인 과학자들이 한결같이 도저히
    어려운 문제는 모르겠다고 실토하고 있습니다.



    왜일까?

    .
  • ?
    이기두 2010.10.03 07:04
    .


    위에 사진에서

    애기가 민들레 홀씨 다발을

    처음 보고

    만면의 웃음을 짓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 ..*
  • ?
    우성범 2010.10.03 07:04
    우엉.. 복잡..
    21세기는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가진 복잡계를 지배할 수 있는 나라가 세계의 초강대국이 될 것인가? 라는 첨부파일의 물음.. 잘 읽었습니다.

    Equation Model을 형성한다는 그 자체가 복잡계 과학의 한계이고 또한 단계가 아닌가 싶습니다.
    복잡계 과학이라는 영역은 영역이 없는 영역이겠네요.

    어쩜 기존 Equation Model의 Error term에 관한 연구라고 하는게 더 정확한 영역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렇지 않다면 관련된 책도 읽지 못하고 미쳐버릴거 같아요. ㅎㅎ
    복잡계 과학을 이해가능한 좋은 실예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 ?
    이기두 2010.10.03 07:04
    복잡계는 복잡한 듯 하면서
    매우 단순할 수도....

    애기가
    처음본 꽃에 함박웃음을 짓듯이....


    ^ ..*
  • ?
    우성범 2010.10.03 07:04
    공감합니다.

    인위적이겠지만
    자연을 노래한 한 수 시처럼
    화폭에 담긴 그림처럼

    모자란 것은 여백에 남겨두는 감흥, 흔들림 정도..

    그 정도를 모델로 만드는 거라 생각함
  • ?
    이기두 2010.10.03 07:04
    .


    동양의 예술이 그럴 수 있었던 것이
    우성범선생님 말씀처럼
    그랬기 때문이겠네요.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5 일반 "많이 건졌어요" 5 현영석 2008.08.04 2550
534 일반 "주의(attention)" 관련 자료 file 엄준호 2008.01.09 3232
533 일반 '과학적 사고' 발표 후기 16 이정원 2008.09.09 2747
532 '소립자를 찾아서' 책을 구하고 싶은 분은.. 10 조종암 2011.04.04 2437
531 (必) "특별한 뇌과학" 3강 안내와 특별공지 ~~ 8 홍종연 2011.01.27 2250
530 일반 (발표자료) 에필로그 file 박제윤 2008.02.22 3136
529 일반 (발표자료)브레인스토리 file 엄준호 2008.04.25 2883
528 일반 (발표자료)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8-10장 file 엄준호 2008.01.25 3279
527 일반 (발표자료)온지당모임 file 엄준호 2008.04.25 3212
526 일반 (예습안내) 다음 천문우주 소모임 공부를 위해서... 8 임석희 2008.03.04 2670
525 공지 (예습안내) 다음 천문우주 소모임 공부를 위해서... 5 임석희 2008.03.04 2793
524 일반 (제 7차 천문우주 발표 후기) 2주간의 기록 그리고 ... 4 file 류우정 2008.05.13 2773
523 공지 (제 7차 천문우주 발표 후기) 2주간의 기록 그리고 ... 4 file 류우정 2008.05.13 3788
522 일반 (필진)좌충우돌, 초짜회원의 천문우주 발표기 9 이혜로 2008.02.11 2522
521 공지 (필진)좌충우돌, 초짜회원의 천문우주 발표기 11 이혜로 2008.02.11 3058
520 공지 ** 긴급공지 (38회 천+뇌 모임) 3 홍종연 2011.02.15 2673
519 공지 0802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포스터 16 김영이 2008.07.21 3314
518 공지 10/4 (토) : 제12회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안내 2 문경목 2008.10.01 2575
517 공지 11월 1일 대전, 인상적이었던 장면들. 6 이지홍 2008.11.03 3211
516 공지 11월 1일 천문모임 서울지역 차량이용공지 5 김영이 2008.10.30 27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