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우주+뇌과학모임

조회 수 22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50광년 떨어진 백생왜성 내부 상상도 공개::)

지구만한 크기의 다이아몬드로 이뤄진 별을 미국 우주과학자들이 찾아냈다.

영국 BBC 인터넷판은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언 우주물리학센터 의 과학자들이 지구로부터 50광년 떨어진 켄타우루스 별자리의 ‘백색 왜성(矮星·white dwarf)’ 내부(핵부분)가 사실상 다이 아몬드로 이뤄져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해냈다고 16일 보도했다.

이 별의 크기를 다이아몬드 단위로 환산하면 최소 수백경 캐럿.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3100캐럿의 원석을 깎아 만든 530캐럿짜리 ‘아프리카의 별’이다. 다이아몬드 별의 정식 호칭은 BPM 37093. 그러나 과학자들이 비틀스의 히트곡 ‘루시 인 더 스카이 위드 다이아몬드’에서 따와 ‘루시’란 애칭을 붙였다. 백색왜성은 일종의 죽은 별로, 중심부가 식으면서 탄소 등 무거운 원소들로 이뤄진 고밀도 상태(다이아몬드)가 된다.트 래비스 메트카프 박사는 “태양도 50억년 뒤 쯤 죽어서 백색왜성 이 되고 그 후 20억년이 지나 내부의 결정화 과정을 거쳐 태양계 최대의 다이아몬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보석 감정 가가 루시를 감정하려면 태양 만한 크기의 확대경이 필요할 것” 이라고 밝혔다. 우주에는 약 500억개의 백색왜성이 존재하는 것 으로 추정된다.

  1. 3강 '뇌와 운동'을 듣고서

  2. No Image 30Jan
    by 한정규
    2011/01/30 by 한정규
    Views 2232 

    대기 불안정과 그 밖의 슬픈 기상현상들

  3. [단편 천문소식]다이아몬드 별...우리 태양도?

  4. (必) "특별한 뇌과학" 3강 안내와 특별공지 ~~

  5. 科學과 通察을 아우르는 學問 마련을 위한 공부 현장

  6. 바탕화면용 선물

  7. No Image 26Oct
    by 황문성
    2010/10/26 by 황문성
    Views 2261 

    34회 천문+뇌과학모임 여러분의 의견 사진 1차.

  8. 가입인사 드립니다."꾸뻑! 꾸뻑!"

  9. No Image 30Jun
    by 홍종연
    2010/06/30 by 홍종연
    Views 2268 

    30회 천문우주+뇌과학 회계보고

  10. [참조]2010.1 박문호박사의 특별한 뇌과학 강의_제2강

  11. 소모임 후기

  12. 들여다 보기

  13. 책 잘받았습니다.

  14. No Image 22Oct
    by 박문호
    2009/10/22 by 박문호
    Views 2281 

    제 24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15. 2008 8 2 천문우주 뇌과학 후기 입니다

  16. 서울지역 천문우주+뇌과학 차량이용공지

  17. 33회 천+뇌 모임(경기도 양평)-사진으로 보기

  18. No Image 08Mar
    by 홍종연
    2011/03/08 by 홍종연
    Views 2288 

    뇌.인지과학 심포지움 회계보고

  19. 4차 천문우주모임 후기

  20. 24차 천문우주+뇌과학 회계보고입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