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백북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타다토미오의 『면역의 의미론』




뇌과학의 발전과 그로 인한 대중적 지식의 확산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백북스의 활동을 보면 정말 대단하죠. 우리는 이제 인간의 의식에 대해 과학적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 속에 있습니다. 인간의 의식을 다루던 주체가 철학과 인문학에서 이제는 뇌과학과 그에 기반한 심리학 등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인간의 의식(기억, 정서, 의식, 정신)을 다루는 인식론은 이제 과학의 언어, 몸의 언어로 우리의 존재를 설명합니다.


여기 뇌-신경계가 아닌 다른 몸의 언어를 하나 더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면역免疫 입니다.



자기를 비자기로부터 구별해 내고 방어하는 몸의 시스템 즉 전염병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장치와 구조입니다.


그러나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의 발전으로(원인이기도 했고 결과이기도 한) 면역의 분자론적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자기와 비자기의 경계가 애매해 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나-자기-란 무엇일까요?


나는 나 아닌 모든 것(비자기)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순수한 존재일까요?




이 책의 첫 장을 볼까요?



제 1장 뇌腦와 면역계免疫系


自己와 非自己


뇌와 면역계, 어느 쪽이 우위인가?


이식에 대한 거부반응


이식편 대 숙주반응


이식과 뇌사



이 재미있는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


분명 있으실 거예요.^^



저자는


“면역학은 현대생물학 가운데에서도 가장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의 하나이다. 뇌신경계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아니면 그보다 더 많이 생명이라는 것의 전체성에 대해 시사해 주는 면역 현상...을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번역하고자...” 이 책을 썼다고 후기에 밝히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같이 이 책을 공부하실 분을 찾습니다.


저는 韓醫學者가 꿈인 한의사 권미자입니다. 원광대에서 운기학運氣學을 강의하고 있고, 韓醫學이 정신과 몸에 대해 하는 이야기에 푹 빠져 있죠.



주 하루씩( 월수금 중에서 )저녁시간에 모여 같이 공부할 분 댓글 달아주세요.



  • ?
    남대호 2010.04.10 06:42
    저도 수요일이면 참가 가능합니다....꼭 해요!!!
  • ?
    박창순 2010.04.10 06:42
    저는 면역과 연계된 인체의 반응과 운기에 대해서 관심이 공부하고 싶습니다만 기본지식과 소양의 부족이 걱정됩니다.
  • ?
    김가희 2010.04.10 06:42
    대 환영 환영 공부하자 백북스 하자
    파이팅.....
  • ?
    권미자 2010.04.10 06:42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공부모임은 면역학에 대한 것이구요,
    운기에 대한 것은 아니랍니다. 운기학은 한의학의 한 분야일뿐 제 소개를 하다보니.. 오해가 생겼네요^^;;
    이 책에 대한 호기심과 읽으실 시간만 있으시면 전혀 문외한이라도 상관 없답니다. 걱정말고 오셔요^^
    수요일 말고 다른 요일은 없으신가요?
  • ?
    남대호 2010.04.10 06:42
    저는 월수금 중에는 수요일만 됩니다...ㅠㅠ
  • ?
    권미자 2010.04.10 06:42
    수요일로 하죠. ^^

    면역의 의미론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주 4/21은 1-4장의 내용으로 공부를 할까합니다.
    정신적 자기와 신체적 자기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생각해보고 면역이라는 시스템이 어떻게 자기를 규정하는지를 살펴볼거예요.

    모임 장소로 시내에 있는 민들레영토가 어떨까 하는데 좋은 의견 있으시면 건의해주세요.

  1. 면역학적으로 나는 누구일까요? 같이 공부하실 분 찾습니다^^

    Date2010.04.10 By권미자 Views3535
    Read More
  2. 모임 촬영 협조 부탁

    Date2009.11.25 By문상혁 Views2381
    Read More
  3. 미래의 기억

    Date2009.06.30 By김수호 Views2529
    Read More
  4. 박테리아도 외로움 탄다

    Date2009.12.22 Category자료 By이형래 Views2967
    Read More
  5. 백북스삼행시

    Date2009.07.05 By최경희 Views2493
    Read More
  6. 벌써 2011년의 마무리 단계네요... 2012 대구 백북스의 활력을 준비해 봐요.

    Date2011.11.22 By김태훈 Views2763
    Read More
  7. 봄바람도 부는데 만나야죠^^

    Date2011.03.11 By표구철 Views3218
    Read More
  8. 부산항빛축제

    Date2010.12.30 By표구철 Views3357
    Read More
  9. 설치미술

    Date2009.08.14 By표구철 Views2304
    Read More
  10. 세계 최초 RNA세포내 수송복합체 입체구조해석 성공

    Date2009.11.27 By이형래 Views2354
    Read More
  11. 소 한 마리

    Date2009.07.25 Category후기 By김수호 Views3312
    Read More
  12.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시를 쓴다?

    Date2010.03.13 Category자료 By이형래 Views3311
    Read More
  13. 시인을 위한 물리학의 세계

    Date2010.03.05 Category자료 By이형래 Views3342
    Read More
  14. 신입인사

    Date2018.12.09 Category공지 BySOS Views138
    Read More
  15. 신입인사

    Date2010.03.02 By남대호 Views2698
    Read More
  16. 아들의 첫 면회를 다녀오며..

    Date2009.06.23 By홍종연 Views2833
    Read More
  17. 아름다운 날들을 위하여

    Date2009.06.26 By최경희 Views3251
    Read More
  18. 앞으로도 평회원으로 계속 남으며, 잠시 아니면 영원히 백북스 무대를 떠나며

    Date2010.04.22 By김수호 Views3326
    Read More
  19. 염색채의 방랑자 집시, 집의 춤 플라멩고 파이RNA

    Date2009.09.04 Category자료 By이형래 Views2935
    Read More
  20. 예술이 시도하는 전통학문의 재구성

    Date2010.01.20 Category자료 By이형래 Views281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