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백북스

조회 수 314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부 못하는 것은 정상 이지만, 공부 안하는 것은 병이다'
'인간이 마음을 가지게 된 것은 언어 떄문이다. 언어는 인간의 본성 중 하나이다.'
'그 무엇도 내가 아니다. 그것을 지켜보는 각성만이 眞我다.'
'모든 '나'의 행동의 집합이 '나'이다. 나의 시스템이 '나'이다.'

저번주 일요일날 강의를 들었을 때 책을 다 읽지 못하여 많이 들어오지는 못했지만, 그중에서도 마음에 와 닿았던 구절들을 적어 보았다.
지금에서야 후기를 올리는 이유는 오늘 책을 다 읽었기 때문이다.
강의를 듣고 난 후 책을 읽었는 데도 어려운 것은 내가 모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인것 같다.
나는 요즘 ''나'란 무엇인가.' '내가 진정으로 원한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빠져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살아 가고 있어다. 그래서 박성일 원장님의 강의를 통해 해답을 얻고 싶었다.
그래서 최대한 집중을 하여 들었고, 거기서 완벽한 해답은 아니지만, 가슴에 팍 와닿았던 구절이 있다.
'참된 자아에 대한 탐색에 빠져(즉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반복해서 판명되는 참된 자아를 추구하는데 빠져)무엇을 하는지(doing)이 아니라 무엇이 진짜인지(being)을 묻는 주문에 빠져 산다.'
'생명체의 현실적 작동에 모든 해답이 있다는 인식-탈신화적 사고'
'인간들이 '하고' 체험하는 모든 것은 자신의 삶을 생명체계들로 실현 하는 것 속에서 생길때 인간됨(humanness)이 된다.-being에서 doing으로.'
'움베르또 마뚜라나'가 한 말인데, 무슨 뜻인지는 잘 몰랐다.
원장님 께서 강의 하신 것들 중에서 이것보자 중요한 것은 많은것 같지만. 나는 그것들 보다도 이 구절이 더 와닿았다. 지금 나의 상태에 가장 알맞는 말이라는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확실히 이해는 못하였지만, 지금의 나의 상태는 '무엇이 진짜인지를 묻는 주문에 빠져 산다' 이다.
'모든 나의 행동의 집합이 나이다'......................

책을 읽었지만, 아직도 나의 질문에 대한 답을 얻지 못하였다. '진아'를 위해, '각성'을 위해 더욱더 내가 힘써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 ?
    이병은 2010.03.24 07:31
    being에서 doing으로 가는 길은,
    생각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
    내생각에 갇히게 되므로.
    생각이 아니라 '마음'이 원하는 것을 하면 좋아.
    그럼 생각이 명확해지지.
    현실이 그렇지 못할 때는 내 마음이 원하는 건 이것인데,
    지금 이렇게 하고 있어,
    하고 자기 마음을 안아 주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시] 다시 생각해보자 / 미안해... 2 권용대 2010.06.24 2485
24 [수필]'선'과 '악' 2 민경기 2010.07.15 2530
23 지금의 나 2 설시환 2010.07.29 2605
22 [시]대지로부터 피어나는 꽃 3 설시환 2010.08.30 2490
21 [후기] 안인희 교수님의 북유럽 신화 민경기 2010.09.28 3217
20 더나은 주니어 백북스를 기대하며 오늘의 이벤트! 3 설시환 2010.10.25 3467
19 후기 10월 24일 이 정원 강사님 강의 후기! 3 이서린 2010.10.25 4250
18 [수필] 달콤한 시스템 2 권용대 2010.10.29 3706
17 [시] 빛, 소년, 그림자 2 설시환 2010.10.30 3566
16 오랜만 1 설시환 2010.12.09 3209
15 장하준 참고자료 1 1 현영석 2010.12.11 9194
14 장하준 참고자료 2 1 현영석 2010.12.11 3563
13 장하준 참고자료 3 2 현영석 2010.12.11 3557
12 장하준 참고자료 4 현영석 2010.12.20 2960
11 장하준 참고자료 5 1 현영석 2010.12.23 3618
10 장하준 참고자료 6 3 현영석 2010.12.25 3553
9 [수상소감] 2010년 주니어 백북스를 마치며.. 4 권용대 2010.12.27 3767
8 12.26 장하준 교수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발표자료 file 현영석 2010.12.27 3800
7 현영석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2 민경기 2010.12.29 3920
6 12월 백북스 후기 1 설시환 2010.12.30 38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