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아카데미

2010.03.11 01:30

미적분 보충 3

조회 수 804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페르마와 배로

 


곡선의 접선을 그리는 문제와 함수의 최대, 최소값을 찾는 문제가 미분법의 발견을 유도했고, 이에 관해 17세기의 많은 수학자의 기여가 있다. 포물선의 접선을 두 운동의 합성으로 설명한 로베르발(1602-1675), 비슷한 견해로 그와 논쟁을 야기했던 토리첼리 등이 있다. 또 특정한 곡선에 대한 접선을 작도하는 다른 방법을 데카르트가 발견했다.


 그러나 진정한 미분법을 발견할 수 있는 최초의 내용은 페르마가 1629년에 설명한 발상에 나타난다. 페르마는 케플러가 관찰한 ‘함수의 증분은 통상적인 최대, 최소값의 근방에서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는 사실을 최대, 최소값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해석했다. 그렇지만 페르마는 f(x)의 도함수가 0이 되는 것은 통상적인 최대, 최소값이 되기 위한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또한 페르마의 방법은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했다. 그는 데카르트(직교좌표) 방정식이 주어진 곡선 위의 한 점을 지나는 접선을 찾는 일반적인 과정을 고안했다. 간단히 설명하면, 접선을 찾고자 하는 x보다 e만큼 떨어진 점에서의 점선을 구해서, 그 함수 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한 이후, e=0으로 두어 접선영(subtangent)을 찾는 방법이다.  페르마는 자신의 방법을 사용해서 타원, 굴렁쇠선(cycloid), 질주선(cissoid), 나사선(conchoid), 할원 곡선(quadratrix), 데카르트의 엽상곡선(folium) 등의 접선을 구했다.




 




 미적분을 예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또 다른 사람은 배로(Isaac Barrow)이다. 그의 방법은 '미분 삼각형(differential triangle)’을 사용했다.


 위 그림에서 삼각형 PTM과 PQR은 거의 닮은꼴이다.


따라서 RP/QR=MP/TM 이다.


QR=e, RP=a라 하고 P의 좌표가 (x, y)라 하면, Q의 좌표는 (x-e, y-a)이다. 이 값들을 주어진 곡선의 방정식에 대입하고 e와 a의 이차 이상의 거듭제곱을 무시하면, 비a/e를 얻는다(현대적인 표현으로 a와 e는 각각 Δy와 Δx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a/e는 e가  0으로 근접할 때 dy/dx가 된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하므로 접선이 결정된다.


OT=OM-TM=OM-MP*QR/RP=x-y*e/a


 페르마와 배로 및 당시 일부 학자들의 연구에 힘입어, 미분 과정이 발전했으며 많은 최대, 최소 문제와 많은 곡선에 대한 접선을 작도하는 데 적용됐다. 이후 미분법의 발전은 두 가지 면에서 여지를 남겼다. 첫 번째는 적합하고 실행 가능한 미분법의 발견인데, 이것은 뉴턴과 라이프니츠에 의해 독자적으로 이루어졌다. 두 번째는 받아들일 만한 엄밀한 기초에 근거해서 기본적인 개념들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코시(1789-1857)등 19세기 후계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 ?
    전승철 2010.03.11 01:30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잘보고 있습니다. 조만간 강남갈 일이 생기면 차마시러 들러야겠다는 비보를 전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4 하반기수강신청 어떻게 하나요? 2 최정수 2009.06.18 2437
413 하반기 수학 아카데미 운영에 대해 3 file 이종필 2009.05.23 4414
412 추가 질문 있습니다. 4 임석희 2010.10.14 2541
411 첨 뵙겠습니다.. 4 이인숙 2009.08.30 2484
410 차원을 생각함2 ----3차원 이상은? 그 이하는? 이기두 2013.11.04 1848
409 차원을 생각함---곡선은? 나선은? 2 이기두 2013.11.03 1971
408 차원론으로 본 에너지와 엔트로피 1 이기두 2014.07.05 1755
407 차원론으로 보는 시간의 불가사의 2 이기두 2014.07.26 2530
406 질문이요? 2 소권섭 2010.09.06 2534
405 진동과 발산의 무의미 2 이헌용 2009.05.22 2745
404 중력이란 시공간에 굴곡이 생긴 것이라는데, 굴곡만으로 물체가 움직이나요? 김제원 2013.09.10 1944
403 조카와 함께 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3 김제원 2010.03.14 2827
402 일반 제타함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기두. 2017.02.17 1924
401 제논의 역설은 깨졌다. 23 이기두 2012.08.24 3270
400 일반 제 2회 수학아카데미 모임 안내 - 2009년 2월 14일 김미경 2009.02.06 3347
399 정리되지 않은 생각 1 이헌용 2009.07.10 2666
398 전반기 종강 후기와 복습모임에 대해서 김양겸 2009.06.14 2423
397 전광준 회원님께 - DVD관련 문의드립니다. 1 형순호 2009.10.11 2413
396 공지 장회익 선생님 강연회 후기 박은경 2009.01.31 2729
395 작년 강의 dvd 구할 수 있을까요.. 1 임지순 2010.07.13 2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