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아카데미

조회 수 246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안준식입니다.
지난번 논의한 아인슈타인 논문 A파트 4장 번역 초안을 올립니다.
사실 내용도 이해가 안되는데다가 영어도 익숙하지 않아서 많은 부분에 오역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작성포맷은 한글에서 했으며 영문 한문단 + 한글 한문단 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많은 comment 부탁드립니다.
  • ?
    김제원 2009.08.02 23:47
    다운 받아서 앞부분 보았습니다.

    문장이 매끄럽네요. 매끄러운 번역이 쉽지 않은데요.

    첫 소제목이 쉽게 이해되지 않네요.
    나머지도 읽어보고, 제 의견을 제시하겠습니다.

    저도 조만간 제 분량 해서 올리겠습니다.
  • ?
    안준식 2009.08.02 23:47
    그러게 말입니다. 번역하면서 소제목부터 막히더군요. 여러 회원님들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전승철 2009.08.02 23:47
    잘 보겠습니다. 저도 금방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
    강문식 2009.08.02 23:47
    수고하셨습니다. 간단히 제 의견 comment 합니다.

    1. The Relation of the Four Co-ordinates to Measurement in Space and Time 은 본문의 내용과 'to' 가 가진 방향성을 생각할 때 '4개의 좌표축의 관계로부터 시공간의 측정' 이라고 하면 의미가 통하는 것 같습니다.

    2.rigid rod는 고민해 봤는데 강체봉(剛體棒)으로 하면 어떨까요. 물론 'is imagined' 로 기술된 것처럼 가상의 기본 측정자입니다.

    3. 민코프스키에 의해 도입된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space-like'와 'Time-like'는 유명한 개념이죠. 보통 '공간적', '시간적' 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 'point event' 는 '점사상(点事象)' 으로 번역하면 어떨까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건이라는 의미의 'event'는 우리가 평상시 갖고 있던 이미지때문에 혼란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화이트헤드의 『The Principle of Relativity』를 보면 이 'event'의 개념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철학자들은 '事象' 이라고 번역하더군요. 사전적인 의미는 '관찰(觀察)할 수 있는 형체(形體)로 나타나는 사물(事物)이나 현상(現象)' 입니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4차원 시공간내에서 지구가 태양의 운동에 따른 곡률에 따라 태양으로 낙하하는 운동을 3차원 공간으로 사영(寫影) 했을 때 태양을 중심으로한 지구의 공전 궤도가 얻어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상(事象)' 으로 번역하는 것이 오히려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사건(事件)'이라는 단어가 확률에서 사용될때는 '사상(事象)'과 같은 의미가 되겠습니다만, 그냥 제 생각입니다.... (이도 저도 아니면 그냥 '이벤트' 라고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5. These can be no longer be dependent on the orientation and the state of motion of the "local" system of co-ordinates, for ds^2 is a quantity ascertainable by rod-clock measurement of point event infinitely proximate in space-time, and defined independently of any particular choice of co-ordinates. 부분이 이 잘못 해석 된 것 같습니다. rigid-rod 라는 단위 측정자를 정의한 것 자체가 각각의 point-event 들을 마치 강체(rigid body) 처럼 다루겠다는 아인슈타인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미 잘 알고 있는 '강체역학'에 근사해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죠. 간단히 직역해 보겠습니다 : "이들로부터 좌표계의 "국소" 시스템의 운동 상태와 방향들은 더 이상 상호의존적이지 않다, ds^2는 시공간내에서 꽤 정확한 점사상들의 막대-시간 측정량으로 확인할 수 있고 어떤 특정 좌표계를 취한다고 해도 정의할 수 있다."

    6. The case of the ordinary theory of relativity arises out of the case here considered, 부분도 out이 '외에서' 로 번역되면서 내용에 오류가 있습니다. 'out of'는 묶어서 'from'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 "보통의 상대성이론의 사례(case)가 여기서 다루고 있는 상황(case)에서 일어난다."

    7. material point는 보통 '질점(質點)' 으로 번역합니다. 역학적으로는 질량은 있으나 크기와 부피가 없는 양이죠.

    8. 맨 마지막 문장 "the ten functions representing the gravitational field at the same time define the metrical properties of the space measured"는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중력이라는 것이 기하학으로 환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을 통해 규명할 수 있다는 뜻이겠지요. 그런 의미를 담아서 수정하면 이렇게는 어떨까요 : "중력장을 나타내는 10개의 함수들은 동시에 공간의 측량 가능한(metrical) 성질들을 명백하게(measured) 보여준다(defin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14차 모임 후기 & 회계] 느리면 어떠냐 함께 가자 7 김제원 2013.01.13 1809
353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2 file 서영석 2012.03.06 1819
352 엔트로피와 차원론 2 이기두 2014.06.28 1832
351 이번주는 금요일 토요일 모두 보는 걸로 합시다~~ 3 김제원 2012.09.17 1842
350 차원을 생각함2 ----3차원 이상은? 그 이하는? 이기두 2013.11.04 1848
349 [소개] 무료 수학교육용 프로그램 GeoGebra + 전세계 포럼 + 국내 카페 4 김제원 2014.02.15 1850
348 수학아카데미 하반기 출석부 결산 김주현 2009.12.15 1852
347 16차 모임 후기 및 회계. 텐서의 세계로... 2 김제원 2013.02.24 1854
346 빛이 날아가는걸 볼 수 있을까? 8 김제원 2013.06.28 1863
345 강의계획 궁금.. 배윤종 2012.01.16 1871
344 상반기 수학아카데미 출석현황 김주현 2009.06.15 1874
343 모임에 가보고 싶어요 3 김보현 2012.09.24 1875
342 4월11일(현재) 지출내역 2 김주현 2009.04.13 1882
341 5월9일 현재 수강료내역 2 김주현 2009.05.11 1885
340 일반 가입인사 드립니다 1 jazz 2016.05.02 1891
339 수학아카데미 모임 참가자격 문의 1 고민재 2013.03.02 1896
338 일반 가입인사 2 허당왕 2015.11.07 1902
337 10월 수강료 현황 김주현 2009.10.14 1906
336 수는 무엇- 연속체가설1 1 이기두 2014.06.19 1906
335 10차 모임은 서강대 마태오홀 203호에서 합니다. (10/13) 김제원 2012.10.10 19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