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에 관한...

by 이헌용 posted May 1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학 용어로서의 벡터는 천문학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18세기 천문학자들은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을 벡터라고 불렀는데, 사람이 돌을 실로 묶어 돌리듯 태양이 이 직선으로 행성을 '끌어 나르는'일을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일상적으로 뭔가를 나르려면 "어디로"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생기므로 벡터는 방향도 갖는 양이란 점도 수긍이 간다고 하겠습니다.
또 하나 속력/속도에 관한 스칼라/벡터의 정확지 않은 용어 사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온도, 밀도, 농도 등은 모두 스칼라량이며 이때 '도'는 '度'를 사용하며, 속도 또한 '速度'이므로 스칼라량을 말할 때 '속도'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합니다.
또 속력은 '速力'으로 힘(力)은 대표적인 벡터량이므로 벡터를 표현할 때는 '속력'을 쓰는 것이 더 낫다고 합니다.
실제로 영어에서도 speed와 velocity 중 speed가 일상적이며, 그래서 '제한속도'를 speed limit'으로 쓴다고 합니다. 전문적인 어감인 velocity는 벡터량에 쓰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상용례와 전문용례가 엇갈려 있어 때로 혼동스럽기도 합니다. 한자의 의미로 볼 때 기존의 용례가 수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동안 익숙해진 관습적 용례가 하루아침에 개선되기는 어렵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