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아카데미

조회 수 392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부하다 도움이 될까해서 올려봅니다.
흔히 dx를 '무한소(infinitesmal)'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dx는 x의 변화량이 0으로 접근하는 과정 각 단계에서의 실체적인 값으로, '무한대'와 반대개념인 '무한소'의 개념과 혼동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합니다. '무한소'는 '무한대'와 마찬가지로 수가 아닙니다.
17세기 이후 미적분학이 탄생된 이후 사람들은 'dx의 본질'에 대해 많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뉴턴과 라이프니츠를 비롯한 당시 수학자들은 이것을 "0보다는 크지만 어떤 실수보다 더 작은 수"라는 애매한 개념으로 이해했습니다. 이후 많은 비판을 받았고, 수학의 3대 위기 중 둘째 위기가 초래되었습니다. 이 위기는 나중에 코시와 바이어슈트라스(Karl Weierstrss, 1815-1897) 등의 수학자가 '극한'의 의미를 엄밀하게 가다듬어 적용함으로써 마침내 해소되었다고 합니다.

  • ?
    김제원 2009.05.14 23:14
    전혀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인데, 정말 사소하게 보이는 애매함으로 인해, 3대 위기중 두번째 위기가 왔다니 입이 안다물어 집니다.

    '무식한' 물리학자들(이분들이 무식하다면, 진정 유식한 인류는 어디서 찾아야 할지??? ㅎㅎㅎ)이라 할 정도니, 수학자들은 엄밀함에 한치도 용납이 없나보내요.

    이헌용 선생님과 제가 속해 있는, 생생히 살아 움직이는 사람을 다루는 분야에선 친숙하지 않은 분위기이기도 하죠.

    dx는 실체적인 수. 명심해야겠네요.
  • ?
    김원기 2009.05.14 23:14
    이 내용은 대학 수학에서 해석학(analysis)을 배울 때 공부합니다. 함수나 극한 등의 개념은 처음부터 엄밀하게 정의되지 않았기에 혼란을 가져왔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세기에 엄밀한 수학으로서의 해석학이 발전합니다. 말씀하신 것과 관계있는 것은 극한에서 "무한소"라는 개념을 쓰지 않기 위해 코쉬가 제안하고 바이어슈트라우스가 정리한 엡실론-델타 논법입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부등식과 임의의 수만을 도입해 "...일 때 ...인 수가 존재한다"는 식으로 접근함으로써 "무한소"라는 문제있는 개념을 아예 도입하지 않는 것이죠.

    무한소가 왜 애매하면 문제가 되느냐, 이건 0.99999999... = 1이라는 것을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0.33333... = 1/3이니까, (0.3333*3) = (1/3) * 3 = 1이라는 식의 설명 대신 다른 접근법을 취해보세요.

    1-0.9 = 0.1
    1-0.99 = 0.01
    ...
    1-0.999999999... = 0.000.............? 뭔가 남는 거 아닌가요?

    이렇게 보면 수열 0.9, 0.99, 0.999....의 극한이 1이라는 사실을 자명하게 받아들이기 힘들어 집니다.

    해석학은 이런 종류의 혼동을 없애기 위해 엄밀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함수, 극한, 연속, 미적분 등의 개념을 단단한 기반 위에 올려 놓았습니다.
  • ?
    정성례 2009.05.14 23:14
    댓글도 이해하기 쉽지 않지만 재미있습니다.아예 의심도 하지 않았던 부분인데 문제제기에 해답까지 친절히 가르쳐주시니...수학 아카데미 수업이 놀토라서 못가보는게 무척 아쉬운데 여기서 가끔 올려주시는 글을 보며 나름 갈증을 조금 해소해 봅니다.
    나이 40넘어서 수학공부 다시 하고 싶은 열망이 마구마구 샘솟습니다.

  1. The Foundation of the GTR - first page 초벌 번역

    Date2009.08.08 Category자료 By강문식 Views4046
    Read More
  2. [수학아카데미1기]2009년1월10일 강의노트입니다.

    Date2009.01.13 Category공지 By이종필 Views3980
    Read More
  3. [수학 아카데미] 2회(2월14일) 강의노트입니다.

    Date2009.02.17 Category공지 By이종필 Views3967
    Read More
  4. 2009년 10월10일 강의노트입니다.

    Date2009.10.12 By이종필 Views3958
    Read More
  5. 아인슈타인 논문번역 A part 1장 초벌구이 (제 의견을 내어 봅니다.)

    Date2009.08.05 By김제원 Views3938
    Read More
  6. dx는 '무한소'가 아니다

    Date2009.05.14 By이헌용 Views3923
    Read More
  7. 수학아카데미 강의실을 알려드립니다.

    Date2010.03.02 Category공지 By서영석 Views3867
    Read More
  8. 아인슈타인 논문 번역 A-prat 1장 수정

    Date2009.08.17 By전승철 Views3822
    Read More
  9. 손맛 김영철 선생님의 미적분학 강좌 2편 (4월)

    Date2010.04.11 Category현장스케치 By서영석 Views3803
    Read More
  10. 수정 "각도의 n 등분을 증명함---잘못을 바로 잡습니다.

    Date2013.07.14 By이기두 Views3779
    Read More
  11. 수학아카데미 2기, 시작합니다~~~~

    Date2010.02.19 Category자료 By김영철 Views3762
    Read More
  12. 손맛 김영철 선생님의 미적분학 강좌 1편 (3월)

    Date2010.03.14 Category현장스케치 By서영석 Views3723
    Read More
  13. 8월 8일 현재 회비 지출총액

    Date2009.08.11 By김주현 Views3692
    Read More
  14.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 강의가 취소되었습니다.

    Date2011.10.05 Category공지 By전승철 Views3685
    Read More
  15. 수학아카데미 2학기 접수받습니다.

    Date2009.06.16 By전승철 Views3609
    Read More
  16. 쉬운책 소개 "수학으로 배우는 파동의 법칙"

    Date2010.09.06 By전승철 Views3581
    Read More
  17. 수학 아카데미 상대성 복습 소모임 제안서

    Date2012.03.10 By김제원 Views3512
    Read More
  18. 각도의 n 등분의 일반화와 벡터의 합력

    Date2013.09.19 By이기두 Views3453
    Read More
  19. 수학아카데미 사진 후기입니다.

    Date2009.03.08 Category공지 By전승철 Views3427
    Read More
  20. 수학아카데미 복습모임, 1월 18일(일) 오후 2시 고려대입니다.

    Date2009.01.15 Category일반 By김영철 Views340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