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과철학

조회 수 236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 박사님의 5회의 걸친 글을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많은 부분 공간도 했고 저와 생각이 비슷한 부분에서는 매우 기뻤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글에서는 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전부는 아니겠지만 주 박사님의 깊은 사고의 단편들을 전해주셨기에 너무 감사한 마음입니다.
언젠가 어디에서 뵙고 이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부족하지만 제 생각의 일부도 올려봅니다.
이 단상은 이전에 제가 올린 글에 대한 한정규님의 지적에 대한 일부 답이 될 것도 같습니다.
그야말로 단상들입니다. 하지만 아마 "의식"에 대해 제가 갖고 있는 생각들이 많이 드러나 있을 것 같습니다.


- 외부 자극(신호) = 정보

- 정보의 묶음 = 변별력(해상도)이 높은 정보 (정보 또는 정보 묶음 중 생존 및 번식에 매우 중요한 것들은 감정)

- 매우 큰 정보 묶음 = 의식 경험, 주체 형성 
정보를 묶는 기준은 “적응도”. 기준이 적응도라는 의미는 정보 묶음의 형성이 물리법칙이 아니라 진화생물학법칙을 따른다는 것이고 이런 의미에서 행위를 야기하는 정보 묶음 즉 의식을 “진화생물학적 의미”라 함 

- 사회생활로 의식 경험의 일부가 묶여 “나”를 형성, 자아/비자아의 구분. 자아를 가져야 이기적인 자나 무임승차자에 대한 제제가 가능해짐. 도덕 출현  

- 사회생활은 언어 출현을 촉진. 언어는 의식 경험을 묶고(외부 세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 공유하는(집단의 결속력 강화) 좋은 수단 

- 언어를 사용한 정보의 묶음 기준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형성됨. 이와 같은 정보 묶음 즉 의식 경험(고차의식)은 “사회문화적 의미”가 됨

- (고차)의식하에 행위하는 인간은 이제 단순히 물리법칙을 따르는 존재가 아니라 진화생물학 법칙(욕망)과 사회문화적 법칙(도덕)을 따르는 존재가 됨. 즉 물리세계의 인과법칙을 벗어나 인간세계의 새로운 법칙을 따르는 존재가 됨. 따라서 이런 존재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에는 물리법칙 보다 사회심리법칙이 더 유용

- 의식의 세계는 물리법칙이 지배하는 자연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 = second nature 

-  마지막으로 의식 자체가 의식을 창출하는 단계에 이름. 즉 정보의 묶음인 의식이 스스로의 기준에 의해 정보를 묶게 됨 = “자유의지”의 출현
이 경우 자아는 때로 진화생물학 법칙이나 사회문화적 법칙마저 초월하여 자신의 행위를 선택할 수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오랜만에 글을 올리며... 6 엄준호 2014.02.21 2519
74 지각과정 김홍재 2014.01.04 2347
73 학술지에 실린 <몸학> 연구 논문 [첨부화일] 1 file 미선 2013.10.11 2397
72 (모임공지)현대과학과 철학 엄준호 2013.10.05 2185
71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2 고원용 2013.09.09 2176
70 모임에서의 발표를 마치고... 3 file 엄준호 2013.08.28 2335
69 생명을 이해하는 4가지 주요 모델 9 미선 2013.08.18 4354
68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강좌를 마무리하고... 1 엄준호 2013.08.07 2572
67 자연 법칙 자체도 진화한다! 질서와 무질서의 변주곡 미선 2013.08.07 2127
66 <물질 원자>에서 <유기체 원자>의 존재로 1 미선 2013.07.31 2019
65 편향 중의 편향 <형이상학적 편향> 미선 2013.07.29 2022
64 인천토요모임(7월20)에서 <뇌와 도덕성> 강의 장철순 2013.07.18 2029
63 물질의 꿈 (실재는 물질인가? 정신인가? 유기체인가?) 2 미선 2013.07.11 2523
62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4차 모임 후기 및 공지사항 알림 1 엄준호 2013.07.08 2014
61 "지식의 체계화 작업은 폐쇄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5 미선 2013.07.04 2348
60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3차 모임 후기 엄준호 2013.07.02 1894
59 철학의 목적과 한계 그러나 안할 수도 없는 필연 3 미선 2013.07.01 2218
58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2차 모임 후기 엄준호 2013.06.24 1902
57 철학과 과학의 차이 (Metaphysics & Physics) 1 미선 2013.06.21 3281
56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1차 모임 후기 및 공지 1 엄준호 2013.06.17 18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