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과철학

조회 수 236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 박사님의 5회의 걸친 글을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많은 부분 공간도 했고 저와 생각이 비슷한 부분에서는 매우 기뻤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글에서는 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전부는 아니겠지만 주 박사님의 깊은 사고의 단편들을 전해주셨기에 너무 감사한 마음입니다.
언젠가 어디에서 뵙고 이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부족하지만 제 생각의 일부도 올려봅니다.
이 단상은 이전에 제가 올린 글에 대한 한정규님의 지적에 대한 일부 답이 될 것도 같습니다.
그야말로 단상들입니다. 하지만 아마 "의식"에 대해 제가 갖고 있는 생각들이 많이 드러나 있을 것 같습니다.


- 외부 자극(신호) = 정보

- 정보의 묶음 = 변별력(해상도)이 높은 정보 (정보 또는 정보 묶음 중 생존 및 번식에 매우 중요한 것들은 감정)

- 매우 큰 정보 묶음 = 의식 경험, 주체 형성 
정보를 묶는 기준은 “적응도”. 기준이 적응도라는 의미는 정보 묶음의 형성이 물리법칙이 아니라 진화생물학법칙을 따른다는 것이고 이런 의미에서 행위를 야기하는 정보 묶음 즉 의식을 “진화생물학적 의미”라 함 

- 사회생활로 의식 경험의 일부가 묶여 “나”를 형성, 자아/비자아의 구분. 자아를 가져야 이기적인 자나 무임승차자에 대한 제제가 가능해짐. 도덕 출현  

- 사회생활은 언어 출현을 촉진. 언어는 의식 경험을 묶고(외부 세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 공유하는(집단의 결속력 강화) 좋은 수단 

- 언어를 사용한 정보의 묶음 기준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형성됨. 이와 같은 정보 묶음 즉 의식 경험(고차의식)은 “사회문화적 의미”가 됨

- (고차)의식하에 행위하는 인간은 이제 단순히 물리법칙을 따르는 존재가 아니라 진화생물학 법칙(욕망)과 사회문화적 법칙(도덕)을 따르는 존재가 됨. 즉 물리세계의 인과법칙을 벗어나 인간세계의 새로운 법칙을 따르는 존재가 됨. 따라서 이런 존재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에는 물리법칙 보다 사회심리법칙이 더 유용

- 의식의 세계는 물리법칙이 지배하는 자연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 = second nature 

-  마지막으로 의식 자체가 의식을 창출하는 단계에 이름. 즉 정보의 묶음인 의식이 스스로의 기준에 의해 정보를 묶게 됨 = “자유의지”의 출현
이 경우 자아는 때로 진화생물학 법칙이나 사회문화적 법칙마저 초월하여 자신의 행위를 선택할 수 있음

  1.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과정> 강좌를 마무리하고...

    Date2013.08.07 By엄준호 Views2572
    Read More
  2. 오늘(2월 17일) 첫모임, 도룡동 '리브리스'에서

    Date2012.02.17 By엄준호 Views2565
    Read More
  3. 슈뢰딩거의 고양이

    Date2012.04.15 By주민수 Views2532
    Read More
  4. 물질의 꿈 (실재는 물질인가? 정신인가? 유기체인가?)

    Date2013.07.11 By미선 Views2523
    Read More
  5. 오랜만에 글을 올리며...

    Date2014.02.21 By엄준호 Views2519
    Read More
  6. 도움부탁드립니다

    Date2014.05.09 By엄준호 Views2483
    Read More
  7. 첫모임 후기 및 3월 주제도서 알림

    Date2012.02.22 By엄준호 Views2478
    Read More
  8. 참고도서 소개

    Date2012.02.06 By엄준호 Views2443
    Read More
  9. David Chalmers의 "의식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Date2014.08.29 By미선 Views2436
    Read More
  10. 동물 신체, 정신, 인격, 의식에 대하여..

    Date2014.08.01 By미선 Views2408
    Read More
  11.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를 읽으면서-1

    Date2015.03.01 By주민수 Views2407
    Read More
  12. 합리주의의 모험과 초자연주의와 신비주의의 구분

    Date2013.06.17 By미선 Views2403
    Read More
  13. 학술지에 실린 <몸학> 연구 논문 [첨부화일]

    Date2013.10.11 By미선 Views2397
    Read More
  14. 3월 모임 후기

    Date2012.03.17 By엄준호 Views2390
    Read More
  15. "현대 과학과 철학" 소모임 게시판이 신설되었습니다.

    Date2012.01.12 By송윤호 Views2382
    Read More
  16. 뒤늦은 준비모임 결과정리

    Date2012.01.15 By엄준호 Views2379
    Read More
  17. 모든 존재에 깃든 환원과 비환원 그리고 과학과 철학의 관계

    Date2013.03.15 By미선 Views2376
    Read More
  18. "유물론과 진화론은 함께 갈 수 없다!"

    Date2013.05.28 By미선 Views2365
    Read More
  19. 심신문제에 대한 저의 단상_주민수 박사님의 글을 읽고...

    Date2014.10.07 By엄준호 Views2364
    Read More
  20. "지식의 체계화 작업은 폐쇄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Date2013.07.04 By미선 Views234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