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과철학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토요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분들과 드디어  <화이트헤드 철학 여행>을 떠났습니다.
아직 시작일 뿐이지만 재미있고 유익한 여행이 될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3시간 넘는 강의시간이 금방 흘러버렸네요...^^
첫시간에서 저는 화이트헤드 철학이 "큰 과학"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경험과 논리를 중시하고 비판에 대해 개방적인 것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나봅니다.  


그리고 전 궁금합니다. 화이트헤드 철학이 과학적 경험(설명)과 그 외 아직 신비로 남아있는 경험까지 어떻게 포괄하여 설명하고 있는지...
개인적으로 화이트헤드 철학이 현대 과학의 설명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거나 현대 과학이 주는 통찰에 비해 별반 새로울 것이 없는 통찰만을 주거나 아직 현대 과학에서는 미지로 남아 있는 영역에 대해 무언가 말해주는 것이 없다면 제겐 별 의미가 없는 철학입니다.

의식의 문제...
존재의 문제...
신의 문제...
삶의 의미...
........

이번 여행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 좀 다른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2차 모임(22일) 부터는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추신) 주차공간이 근처에 별로 없어 시청에 주차하시고 약간 걸어오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 ?
    엄준호 2013.06.17 19:04
    "무릇 모든 공부에는 일단 한 번 깊이 빠져보고서 이를 체득한 후에는, 다시 그것에서 빠져나와 이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비판자가 되어야만 하는 역설이 있습니다."

    참 좋은 말씀입니다.
    과학 이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과학 이론은 하나의 모형일 뿐입니다.
    모형일 뿐인 것을 계속 붙잡고 있다보면 정말 봐야할 것을 못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 모임에서의 발표를 마치고... 3 file 엄준호 2013.08.28 2335
54 모든 존재에 깃든 환원과 비환원 그리고 과학과 철학의 관계 16 미선 2013.03.15 2377
53 뒤늦은 준비모임 결과정리 5 엄준호 2012.01.15 2379
52 동물 신체, 정신, 인격, 의식에 대하여.. 1 미선 2014.08.01 2408
51 독서의 함정 8 엄준호 2012.08.27 2072
50 도움부탁드립니다 2 엄준호 2014.05.09 2483
49 데카르트의 시험문제 7 주민수 2012.05.11 2168
48 다시 시작하는 철학여행... 4 엄준호 2015.06.15 2001
47 늦은 회고와 올해 계획 13 엄준호 2013.01.16 2086
46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를 읽고... 엄준호 2015.04.14 1876
45 김재권박사의 물리주의 토론(3월16일) 8 엄준호 2012.03.14 2996
44 김재권 박사의 '물리주의'에 대하여 15 엄준호 2012.03.23 2933
43 근본에 대한 대담 3 이정해 2012.06.11 2005
42 근본에 대하여 2 이정해 2012.07.01 2121
41 과학자가 보는 세상 이기두 2012.06.22 2207
40 과학이라는 이름의 미신? 17 주민수 2012.03.27 2664
39 과학과 철학에 대한 단상 6 주민수 2012.03.18 2624
38 “백북스 학술제‘를 제안합니다 8 엄준호 2012.08.14 2009
37 [전재] 생명원리에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2 file 현영석 2012.05.05 1860
36 David Chalmers의 "의식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4 미선 2014.08.29 24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