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과철학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토요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분들과 드디어  <화이트헤드 철학 여행>을 떠났습니다.
아직 시작일 뿐이지만 재미있고 유익한 여행이 될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3시간 넘는 강의시간이 금방 흘러버렸네요...^^
첫시간에서 저는 화이트헤드 철학이 "큰 과학"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경험과 논리를 중시하고 비판에 대해 개방적인 것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나봅니다.  


그리고 전 궁금합니다. 화이트헤드 철학이 과학적 경험(설명)과 그 외 아직 신비로 남아있는 경험까지 어떻게 포괄하여 설명하고 있는지...
개인적으로 화이트헤드 철학이 현대 과학의 설명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거나 현대 과학이 주는 통찰에 비해 별반 새로울 것이 없는 통찰만을 주거나 아직 현대 과학에서는 미지로 남아 있는 영역에 대해 무언가 말해주는 것이 없다면 제겐 별 의미가 없는 철학입니다.

의식의 문제...
존재의 문제...
신의 문제...
삶의 의미...
........

이번 여행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 좀 다른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2차 모임(22일) 부터는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추신) 주차공간이 근처에 별로 없어 시청에 주차하시고 약간 걸어오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 ?
    엄준호 2013.06.17 19:04
    "무릇 모든 공부에는 일단 한 번 깊이 빠져보고서 이를 체득한 후에는, 다시 그것에서 빠져나와 이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비판자가 되어야만 하는 역설이 있습니다."

    참 좋은 말씀입니다.
    과학 이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과학 이론은 하나의 모형일 뿐입니다.
    모형일 뿐인 것을 계속 붙잡고 있다보면 정말 봐야할 것을 못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현대과학의 발견은 인생의 무의미함을 지지하는가? 2 엄준호 2016.08.05 379
94 백북스회원님들께 도움을 구합니다_현대과학과 철학 2 엄준호 2016.06.12 915
93 안녕하세요? 참여 문의합니다~ 운쥬 2016.05.20 1184
92 참여 가능한가요? 2 허당왕 2015.11.07 1870
91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를 읽으면서-2 2 주민수 2015.07.12 2037
90 다시 시작하는 철학여행... 4 엄준호 2015.06.15 2001
89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를 읽고... 엄준호 2015.04.14 1876
88 올리버 색스의 "나의 인생" 엄준호 2015.03.04 2318
87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를 읽으면서-1 10 주민수 2015.03.01 2407
86 심신문제에 대한 저의 단상_주민수 박사님의 글을 읽고... 5 엄준호 2014.10.07 2364
85 심신문제에 대한 단상-5: 맺는 말 - 의식과 마음의 정체 주민수 2014.09.30 2759
84 의식 관련 논문 몇편을 읽고 ... 6 엄준호 2014.09.25 2305
83 David Chalmers의 "의식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4 미선 2014.08.29 2436
82 주민수 박사님께 6 file 엄준호 2014.08.20 2597
81 심신문제에 대한 단상-4: 가상현실의 문제 3 주민수 2014.08.15 2829
80 심신문제에 대한 단상-3: 논리와 인과의 문제 주민수 2014.08.03 2887
79 동물 신체, 정신, 인격, 의식에 대하여.. 1 미선 2014.08.01 2408
78 심신문제에 대한 단상-2: 이유와 원인의 문제 2 주민수 2014.07.27 2978
77 심신문제에 대한 단상-1: 생존 전략의 문제 4 주민수 2014.07.26 2814
76 도움부탁드립니다 2 엄준호 2014.05.09 2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