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과철학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토요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분들과 드디어  <화이트헤드 철학 여행>을 떠났습니다.
아직 시작일 뿐이지만 재미있고 유익한 여행이 될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3시간 넘는 강의시간이 금방 흘러버렸네요...^^
첫시간에서 저는 화이트헤드 철학이 "큰 과학"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아마 경험과 논리를 중시하고 비판에 대해 개방적인 것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나봅니다.  


그리고 전 궁금합니다. 화이트헤드 철학이 과학적 경험(설명)과 그 외 아직 신비로 남아있는 경험까지 어떻게 포괄하여 설명하고 있는지...
개인적으로 화이트헤드 철학이 현대 과학의 설명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거나 현대 과학이 주는 통찰에 비해 별반 새로울 것이 없는 통찰만을 주거나 아직 현대 과학에서는 미지로 남아 있는 영역에 대해 무언가 말해주는 것이 없다면 제겐 별 의미가 없는 철학입니다.

의식의 문제...
존재의 문제...
신의 문제...
삶의 의미...
........

이번 여행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 좀 다른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2차 모임(22일) 부터는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추신) 주차공간이 근처에 별로 없어 시청에 주차하시고 약간 걸어오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 ?
    엄준호 2013.06.17 19:04
    "무릇 모든 공부에는 일단 한 번 깊이 빠져보고서 이를 체득한 후에는, 다시 그것에서 빠져나와 이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비판자가 되어야만 하는 역설이 있습니다."

    참 좋은 말씀입니다.
    과학 이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과학 이론은 하나의 모형일 뿐입니다.
    모형일 뿐인 것을 계속 붙잡고 있다보면 정말 봐야할 것을 못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 인간존재의 의미는 있는가 없는가? 1 김봉영 2012.06.18 2243
34 <과학철학의 역사>를 읽고-3 27 주민수 2012.06.16 2674
33 근본에 대한 대담 3 이정해 2012.06.11 2005
32 <과학철학의 역사>를 읽고-2 주민수 2012.06.05 2029
31 6월 주제도서 관련 9 엄준호 2012.06.05 2097
30 5월 모임 후기 1 엄준호 2012.05.28 1951
29 5월 모임 공지(5월 25일, 금) 6 엄준호 2012.05.23 2164
28 <과학철학의 역사>를 읽고-1 2 주민수 2012.05.21 2196
27 물리학을 전공한 멘토를 찾습니다 1 엄준호 2012.05.17 1932
26 데카르트의 시험문제 7 주민수 2012.05.11 2168
25 [전재] 생명원리에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2 file 현영석 2012.05.05 1860
24 4월 모임 후기 9 엄준호 2012.04.22 2066
23 발제자료 '경영에서 생명시스템사고 활용' 현영석 1 file 현영석 2012.04.20 1926
22 "현대과학과 철학" 4월 모임 공지 엄준호 2012.04.18 1977
21 슈뢰딩거의 고양이 22 주민수 2012.04.15 2532
20 현대과학과철학 소모임에 관심이 있습니다. 3 성병한 2012.03.28 2314
19 과학이라는 이름의 미신? 17 주민수 2012.03.27 2664
18 5월 주제와 관련하여 5 엄준호 2012.03.23 2238
17 김재권 박사의 '물리주의'에 대하여 15 엄준호 2012.03.23 2933
16 과학과 철학에 대한 단상 6 주민수 2012.03.18 26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