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조회 수 176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존재하는것 만으로
건재하다 착각했던 
대학로 XX책방이
생각 이상으로 재정적으로 힘들다는걸 알았습니다.

자본주의의 대부, 뉴욕시에는
고졸한 서점이 즐비하다 들었습니다.
서울엔, 불가능한 걸까요?

아껴 다녔던
많은 공간들이
하나 둘, 이미 사라진 걸 알았을 때의 하탈함.
이 곳 만은 그리 보내고 싶지 않은데...

요즘 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더군요.
보다 나은 삶, 나 그리고 우리.
오래된 이야기죠.

하지만, 좀 더 다른 관점의 우리도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나와 친한 우리이기도 하지만, 현재가 아닌 ''다음'이라 얘기해도 좋겠네요.

도시엔 도시만의 아름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아름다움은 현재로선 인간의 몫이 크겠죠.

위기에 처한 공간이 안타까워
책을 사랑하는 분들이 많은 이 곳에
무작정 들렸습니다. 

하지만,  쓰고 나도
답답함은 사라지지 않네요. ㅎ




  • ?
    장철순 2013.03.03 02:23
    강혜정님 반갑습니다.


    어디에선가 본 글귀하나

    작은 것에 대한 소중함
    일상적인 것의 소중함
    자연스러움의 소중함
    평범함의 소중함
    매순간의 소중함
    진실의 소중함

    이 모든 것이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의하여
    더 많이, 더 크게, 더 오래 의 지나친 이기심에 의하여
    덮여버릴 때
    소중함의 아름다움을 잃어버린다.

    우리가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는 것은
    우리들의 지나친 이기심에 의한 것이 아닐까요?


    우리 할머님 말씀
    지금 너 그대로가 소중한 것이여
    너무 욕심내지 말고 살어
  • ?
    임석희 2013.03.03 02:23
    좋은 글 감사드려요. 적어 갑니다. 꾸벅~
  • ?
    정남수 2013.03.03 02:23
    지인과 대화 중에 "다음"과 "나중"은 다르다는 얘기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의 "다음"에 대해서 시간이 흘러 나중이 아니라
    지금 이야기 나눌 필요도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시간이 너무 지나버리기 전에 나눌 이야기들이 그립습니다.

    (괜히 허한 마음 전해져와서 횡설수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지하생활자의 수기 1 박현숙 2009.03.29 3079
33 일반 개발자 파우스트 박현숙 2009.03.25 2913
32 공지 20090418 제 5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4 강혜정 2009.03.22 2895
31 일반 파리의 우울 中 박현숙 2009.03.17 3224
30 일반 Modernism in Art 2 이부원 2009.03.12 2829
29 일반 그날 무슨 이야기를 했냐 하면...... 1 김원기 2009.03.06 2891
28 공지 20090321 제 4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7 강혜정 2009.03.05 2774
27 일반 그날 무슨 이야기를 했더라.... 5 박현숙 2009.02.24 3011
26 일반 2009년 2월 twenty FIRST 한정규 2009.02.22 2887
25 일반 번개를 치고 싶었으나 ㅠ.ㅠ 강혜정 2009.02.21 2970
24 일반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읽는 방법 장종훈 2009.02.18 4164
23 일반 그리스인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박현숙 2009.02.17 3299
22 일반 그리스-로마인의 정치체제및 사고방식 1 이부원 2009.02.15 3395
21 일반 서양고전문명의 아프리카. 아시아적 뿌리: 블랙 아테나 2 이부원 2009.02.15 3382
20 공지 2월 21일 3시 30분 인문고전모임 참석 댓글을 달아주세요 1 강혜정 2009.02.14 2783
19 일반 정신의 발견-브르노 스넬-(요약) 2 김주희 2009.02.12 3457
18 공지 인문 고전 모임 소개 1 강혜정 2009.02.08 3107
17 일반 신화.. 이부원 2009.02.08 2957
16 일반 희랍적 사고방식 1 박현숙 2009.02.07 3830
15 일반 이성의 기능(요약) 2 김주희 2009.02.05 35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