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현장스케치
2013.01.15 20:01

연산군~인조, 무슨 일이?

조회 수 253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런 이런... 어쩌다 회원가입에 게시물까지 올리다니, 이거 저랑 참 안 맞네요 ㅠ.ㅡ
월요모임의 존폐 위협?에 하게 된 일이지만,  덕분에 오랫만에 역사 흐름 짚어보았네요.
역시 수동보다는 능동형이 남는 게 ^^

참, 어제 논제는 주로 '리더의 자질'을 주제로 많이 얘기를 나눴어요. 
<리더의 자질>
 열등의식이 없거나 극복한 사람,  학문적인 지식으로 열등감을 극복한 리더는 대단(정조..)
- 소외된 사람을 품는 사람
-
자기 것을 내려놓는 사람, 모든 면에서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서 타의 모범이 되는 사람
- 사심이 없는 사람(공과 사의 영역 분명하고 공의 영역에 비중을 두는 사람)
- 자기 조절, 절제, 분노 제어 능력
- 열린 시선, 다른 의견도 존중하는 태도
-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성향
  * 조광조와 중종 vs 세종 
   -> 반대파의 의견을 자기 발전 및 인격적으로 다듬 기회로 활용했던 세종의 인품을 엿보기도 했네요. 

<시스템이 먼저냐? 인격이 먼저냐?>
- 시스템보다는 인격이 먼저다. 시스템도 사람의 인격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인격이 제대로 된 사람들이 좋은 시스템을 만든다.
- 시스템 자체보다 시스템의 운영이 더 중요하다 -> 시스템도 사람이 움직이는 것이고, 결국 인격의 문제
VS 
-시스템이 먼저다. 인격은 사람마다 다르므로 보편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 경우 제대로 된 시스템과 해당 매뉴얼이 있다면 일이 굴러가는 데 문제가 없다. (유럽)

- 시스템 도입을 신중히 검토하고, 한 번 도입된 시스템은 오래 실시해야 한다.
  (ex, 독일의 경우 하나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린다. 여러 가지를 신중히 검토하기 때문 but 일단 도입된 시스템은 잘 정착해 장기적으로 시행된다.)
 *  정책 도입 및 실행하기 전 수용에 대한 철저한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정책 실현은 정치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 서울시 무상급식을 철회했으면 좋겠다 (두 분의 초등교사 및 학생에게 들은 의견)
      급식의 질이 무상급식 이전보다 너무 낮아 밥 먹기가 고역스럽다.
  * 학교에 필요한 학습,사무용품을 입찰로 변경하면서 동네 문방구가 사라짐,
    반면 최저가 낙찰이라 제품 질은 형편 없다. 
  *
국회의원, 대통령 후보자에 학력뿐만 아니라 했던 활동을 기재하자,


  시민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머 이런 얘기도 있었네요.


** 저는 과거제 vs 현량과에 대해 논의해 보고, 현재의 교육제도에 대한 의견도 얘기해 보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었어요.
다음 모임에 논제로 제시합니다.

  • ?
    이병록 2013.01.15 20:01
    중종이 사대외교의 최고봉이라 하더군요
  • ?
    정남수 2013.01.15 20:01
    혹시 제가 아는 이혜숙 언니님?ㅎㅎ
    인문고전읽기 모임은 정말 관심 많은데,
    월요일 서울이라는 한계가...OTL

    첨부자료 알차네요.
    잘 보겠습니다. (넙죽^^)
  • ?
    강혜정 2013.01.15 20:01
    후기와 자료 감사합니다 ^^
  • ?
    이혜숙 2013.01.15 20:01
    맞아요 남수씨! 월요모임 쌤이 자료를 첨부했다는데, 회원가입 없이는 안 보여서 부득이 하게 됐네요~ 담날 아뒤랑 비번을 싹 잊어서 한참 헤맸어요ㅋ 지금도 비번이 ㅜ,ㅡ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 가입인사~ ^^ 정지원 2011.11.21 1831
153 공지 [제70회] 4월 인문고전읽기 - 군중심리 이치욱 2015.03.29 2363
152 [제64회] 4월 인문고전읽기-위대한유산 이치욱 2014.04.15 1613
151 [제63회]3월 인문고전읽기-혁명의 시대 II 이치욱 2014.03.15 1582
150 [제62회]2월 인문고전읽기-혁명의 시대/에릭 홉스봄 이치욱 2014.02.18 1674
149 [제61회] 12월 인문고전읽기 - 프랑스 혁명 이치욱 2013.11.30 1787
148 [제5회] 9월 월요모임 - 조선왕조실록 : 세종실록 7 강혜정 2012.08.16 2322
147 [제58회] 9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이치욱 2013.09.06 1937
146 [제52회]3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아홉번째시간 1 이치욱 2013.02.19 1897
145 [제51회]2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여덟번째 시간 1 이치욱 2013.01.29 1826
144 [제50회] 1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일곱번째 시간 이치욱 2013.01.06 1731
143 [제49회] 12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여섯번째 시간 이치욱 2012.12.02 1736
142 [제48회] 11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다섯번째 시간 1 이치욱 2012.10.27 1979
141 [제47회] 10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네번째 시간 이치욱 2012.10.08 1797
140 [제46회] 9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세번째 시간 1 이치욱 2012.09.02 1960
139 [제45회] 8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두번째시간 1 이치욱 2012.08.12 1893
138 [제44회] 7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첫번째 1 이치욱 2012.07.05 2391
137 [제43회] 6월모임 인문고전읽기 - 군주론 : 마키아벨리 1 이치욱 2012.06.03 2203
136 [제42회] 5월 모임-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말했다: 니체 1 이치욱 2012.05.05 2233
135 [제41회] 4월 인문고전 모임안내 - 징비록:유성룡 15 이치욱 2012.03.29 25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