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현장스케치
2013.01.15 20:01

연산군~인조, 무슨 일이?

조회 수 253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런 이런... 어쩌다 회원가입에 게시물까지 올리다니, 이거 저랑 참 안 맞네요 ㅠ.ㅡ
월요모임의 존폐 위협?에 하게 된 일이지만,  덕분에 오랫만에 역사 흐름 짚어보았네요.
역시 수동보다는 능동형이 남는 게 ^^

참, 어제 논제는 주로 '리더의 자질'을 주제로 많이 얘기를 나눴어요. 
<리더의 자질>
 열등의식이 없거나 극복한 사람,  학문적인 지식으로 열등감을 극복한 리더는 대단(정조..)
- 소외된 사람을 품는 사람
-
자기 것을 내려놓는 사람, 모든 면에서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서 타의 모범이 되는 사람
- 사심이 없는 사람(공과 사의 영역 분명하고 공의 영역에 비중을 두는 사람)
- 자기 조절, 절제, 분노 제어 능력
- 열린 시선, 다른 의견도 존중하는 태도
-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성향
  * 조광조와 중종 vs 세종 
   -> 반대파의 의견을 자기 발전 및 인격적으로 다듬 기회로 활용했던 세종의 인품을 엿보기도 했네요. 

<시스템이 먼저냐? 인격이 먼저냐?>
- 시스템보다는 인격이 먼저다. 시스템도 사람의 인격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인격이 제대로 된 사람들이 좋은 시스템을 만든다.
- 시스템 자체보다 시스템의 운영이 더 중요하다 -> 시스템도 사람이 움직이는 것이고, 결국 인격의 문제
VS 
-시스템이 먼저다. 인격은 사람마다 다르므로 보편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 경우 제대로 된 시스템과 해당 매뉴얼이 있다면 일이 굴러가는 데 문제가 없다. (유럽)

- 시스템 도입을 신중히 검토하고, 한 번 도입된 시스템은 오래 실시해야 한다.
  (ex, 독일의 경우 하나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린다. 여러 가지를 신중히 검토하기 때문 but 일단 도입된 시스템은 잘 정착해 장기적으로 시행된다.)
 *  정책 도입 및 실행하기 전 수용에 대한 철저한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정책 실현은 정치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 서울시 무상급식을 철회했으면 좋겠다 (두 분의 초등교사 및 학생에게 들은 의견)
      급식의 질이 무상급식 이전보다 너무 낮아 밥 먹기가 고역스럽다.
  * 학교에 필요한 학습,사무용품을 입찰로 변경하면서 동네 문방구가 사라짐,
    반면 최저가 낙찰이라 제품 질은 형편 없다. 
  *
국회의원, 대통령 후보자에 학력뿐만 아니라 했던 활동을 기재하자,


  시민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머 이런 얘기도 있었네요.


** 저는 과거제 vs 현량과에 대해 논의해 보고, 현재의 교육제도에 대한 의견도 얘기해 보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었어요.
다음 모임에 논제로 제시합니다.

  • ?
    이병록 2013.01.15 20:01
    중종이 사대외교의 최고봉이라 하더군요
  • ?
    정남수 2013.01.15 20:01
    혹시 제가 아는 이혜숙 언니님?ㅎㅎ
    인문고전읽기 모임은 정말 관심 많은데,
    월요일 서울이라는 한계가...OTL

    첨부자료 알차네요.
    잘 보겠습니다. (넙죽^^)
  • ?
    강혜정 2013.01.15 20:01
    후기와 자료 감사합니다 ^^
  • ?
    이혜숙 2013.01.15 20:01
    맞아요 남수씨! 월요모임 쌤이 자료를 첨부했다는데, 회원가입 없이는 안 보여서 부득이 하게 됐네요~ 담날 아뒤랑 비번을 싹 잊어서 한참 헤맸어요ㅋ 지금도 비번이 ㅜ,ㅡ

  1. 자연과학읽기

    Date2010.01.17 By강혜정 Views2687
    Read More
  2. 벌써 1년입니다 ^^

    Date2009.11.25 By강혜정 Views2680
    Read More
  3.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고서,

    Date2012.05.26 Category후기 By조명주 Views2670
    Read More
  4. 제 10회 인문고전 후기

    Date2009.09.21 By김남욱 Views2665
    Read More
  5. 나는 왜 성서를 읽게 됬는가?

    Date2009.06.22 By전승철 Views2662
    Read More
  6. 요란한 인사

    Date2010.01.09 By김준기 Views2656
    Read More
  7. [제3회] 7월 월요모임 - 조선왕조실록 : 태조실록

    Date2012.06.05 By강혜정 Views2655
    Read More
  8. 부산에도

    Date2012.03.25 Category현장스케치 By황춘자 Views2651
    Read More
  9. 앞으로 읽고 싶은 책들 몇 가지

    Date2009.08.08 By강혜정 Views2641
    Read More
  10. 어제 잘 모이셨어요?

    Date2010.05.16 By김정미 Views2616
    Read More
  11. [제36회] 11월모임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Date2011.10.26 Category공지 By이치욱 Views2588
    Read More
  12. [제41회] 4월 인문고전 모임안내 - 징비록:유성룡

    Date2012.03.29 By이치욱 Views2585
    Read More
  13. 6월 인문고전모임 회계 내역

    Date2010.07.01 Category공지 By서정욱 Views2577
    Read More
  14. 8월 인문고전모임 회계내역

    Date2010.08.28 By서정욱 Views2554
    Read More
  15. 연산군~인조, 무슨 일이?

    Date2013.01.15 Category현장스케치 By이혜숙 Views2531
    Read More
  16. 4월 인문고전모임 회계 내역

    Date2010.04.28 By서정욱 Views2530
    Read More
  17. 7월 인문고전모임 회계 내역

    Date2010.07.21 Category공지 By서정욱 Views2527
    Read More
  18. 대전시민대학과 함께 하는 명품 시민대학 강좌를 소개합니다.

    Date2014.08.20 Category공지 By김병남 Views2521
    Read More
  19. 플라톤<국가론>

    Date2011.12.19 By이병록 Views2521
    Read More
  20. 유토피아

    Date2009.06.28 By박현숙 Views25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