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현장스케치
2013.01.15 20:01

연산군~인조, 무슨 일이?

조회 수 253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런 이런... 어쩌다 회원가입에 게시물까지 올리다니, 이거 저랑 참 안 맞네요 ㅠ.ㅡ
월요모임의 존폐 위협?에 하게 된 일이지만,  덕분에 오랫만에 역사 흐름 짚어보았네요.
역시 수동보다는 능동형이 남는 게 ^^

참, 어제 논제는 주로 '리더의 자질'을 주제로 많이 얘기를 나눴어요. 
<리더의 자질>
 열등의식이 없거나 극복한 사람,  학문적인 지식으로 열등감을 극복한 리더는 대단(정조..)
- 소외된 사람을 품는 사람
-
자기 것을 내려놓는 사람, 모든 면에서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서 타의 모범이 되는 사람
- 사심이 없는 사람(공과 사의 영역 분명하고 공의 영역에 비중을 두는 사람)
- 자기 조절, 절제, 분노 제어 능력
- 열린 시선, 다른 의견도 존중하는 태도
-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 성향
  * 조광조와 중종 vs 세종 
   -> 반대파의 의견을 자기 발전 및 인격적으로 다듬 기회로 활용했던 세종의 인품을 엿보기도 했네요. 

<시스템이 먼저냐? 인격이 먼저냐?>
- 시스템보다는 인격이 먼저다. 시스템도 사람의 인격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인격이 제대로 된 사람들이 좋은 시스템을 만든다.
- 시스템 자체보다 시스템의 운영이 더 중요하다 -> 시스템도 사람이 움직이는 것이고, 결국 인격의 문제
VS 
-시스템이 먼저다. 인격은 사람마다 다르므로 보편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 경우 제대로 된 시스템과 해당 매뉴얼이 있다면 일이 굴러가는 데 문제가 없다. (유럽)

- 시스템 도입을 신중히 검토하고, 한 번 도입된 시스템은 오래 실시해야 한다.
  (ex, 독일의 경우 하나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린다. 여러 가지를 신중히 검토하기 때문 but 일단 도입된 시스템은 잘 정착해 장기적으로 시행된다.)
 *  정책 도입 및 실행하기 전 수용에 대한 철저한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정책 실현은 정치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 서울시 무상급식을 철회했으면 좋겠다 (두 분의 초등교사 및 학생에게 들은 의견)
      급식의 질이 무상급식 이전보다 너무 낮아 밥 먹기가 고역스럽다.
  * 학교에 필요한 학습,사무용품을 입찰로 변경하면서 동네 문방구가 사라짐,
    반면 최저가 낙찰이라 제품 질은 형편 없다. 
  *
국회의원, 대통령 후보자에 학력뿐만 아니라 했던 활동을 기재하자,


  시민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머 이런 얘기도 있었네요.


** 저는 과거제 vs 현량과에 대해 논의해 보고, 현재의 교육제도에 대한 의견도 얘기해 보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었어요.
다음 모임에 논제로 제시합니다.

  • ?
    이병록 2013.01.15 20:01
    중종이 사대외교의 최고봉이라 하더군요
  • ?
    정남수 2013.01.15 20:01
    혹시 제가 아는 이혜숙 언니님?ㅎㅎ
    인문고전읽기 모임은 정말 관심 많은데,
    월요일 서울이라는 한계가...OTL

    첨부자료 알차네요.
    잘 보겠습니다. (넙죽^^)
  • ?
    강혜정 2013.01.15 20:01
    후기와 자료 감사합니다 ^^
  • ?
    이혜숙 2013.01.15 20:01
    맞아요 남수씨! 월요모임 쌤이 자료를 첨부했다는데, 회원가입 없이는 안 보여서 부득이 하게 됐네요~ 담날 아뒤랑 비번을 싹 잊어서 한참 헤맸어요ㅋ 지금도 비번이 ㅜ,ㅡ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 공지 [제30회] 11/3 월요 모임-중국 고대사 9 이혜숙 2014.10.24 2468
153 [제30회] 5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5 서정욱 2011.04.28 3599
152 [제31회] 6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서정욱 2011.06.06 2950
151 [제32회] 7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2 서정욱 2011.06.25 3003
150 [제33회] 8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4 서정욱 2011.07.27 2858
149 [제34회] 9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3 서정욱 2011.09.05 2893
148 공지 [제35회] 10월모임 - 플라톤의 국가론 이치욱 2011.10.08 2451
147 공지 [제36회] 11월모임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3 이치욱 2011.10.26 2588
146 공지 [제37회] 12월모임 - 월든 : 헨리 데이빗 소로우 4 이치욱 2011.11.29 2696
145 [제38회] 2012년 1월 모임 - 통치론 : 존 로크 1 이치욱 2011.12.26 2188
144 [제39회] 2월 모임 안내 - 파놉티콘 : 제레미 벤담 이치욱 2012.02.01 2287
143 [제3회] 7/22(월) 서양음악사 스터디(장소 및 시간 변경됨) 1 강혜정 2013.07.15 2102
142 [제3회] 7월 월요모임 - 조선왕조실록 : 태조실록 13 강혜정 2012.06.05 2655
141 [제40회] 3월 모임 안내- 고독한 군중:데이비드 리스먼 2 이치욱 2012.03.02 2299
140 [제41회] 4월 인문고전 모임안내 - 징비록:유성룡 15 이치욱 2012.03.29 2585
139 [제42회] 5월 모임-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말했다: 니체 1 이치욱 2012.05.05 2233
138 [제43회] 6월모임 인문고전읽기 - 군주론 : 마키아벨리 1 이치욱 2012.06.03 2203
137 [제44회] 7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첫번째 1 이치욱 2012.07.05 2391
136 [제45회] 8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두번째시간 1 이치욱 2012.08.12 1893
135 [제46회] 9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세번째 시간 1 이치욱 2012.09.02 19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