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조회 수 433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문고전읽기모임에서는

2011년 한 해 동안 함께할 도서를 선정하고자 합니다.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역사, 철학, 사회경제, 교육 등 각 테마별로 대립되는 관점의 책 두 권을 뽑아 토론을 진행함으로써

균형잡힌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현재 4가지 테마별로 책을 선정하였으나,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이 외에 좀 더 좋은 의견이나 책이 있으시면 덧글로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의견을 취합하여 이번 인문고전모임 선정도서목록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역사, 철학, 사회경제, 교육 4가지 섹션에 대한 예정도서들 입니다.


-----------------------------------------------------------------------------------------------


<역사>
삼국사기, 김부식 - 조선상고사, 신채호

<철학>
인류의 역사철학에 대한 이념(책세상문고), 헤르더 - 역사철학강의, 헤겔
- 근대적 역사철학의 창시자로 볼 수 있는 헤르더와 역사철학의 대가로 일컫는 헤겔의 관점은 다르다. 헤르더는 역사는 인간성 완성의 과정이라고 했고, 헤겔은 세계정신의 완성의 과정이라고 했다. 그 차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맹자(책세상문고) - 순자(책세상문고)

<사회경제>
프랭클린 자서전, 벤자민 프랭클린 - 공산당 선언(책세상문고) or 자본론 일부, 칼 맑스

사랑이 넘치는 신세계(책세상문고), 샤를 푸리에 -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 둘다 유토피아론의 대표작이지만 하나는 유토피아를 다른 하나는 디스토피아를 전망하고 있다.

<교육>
에밀(책세상문고), 장 자크 루소 - 페다고지, 파울로 프레이리
- 대립되는 관점은 아니지만 두 책 모두 교육과 관련한 유명한 고전이다.


-----------------------------------------------------------------------------------------------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류세아 2011.01.18 06:41
    맹자를 읽고 있습니다.
    벅찰 때 마다 큰소리로 읽은지 3개월째...
    진심 (하)를 읽습니다.

    맹자-고자-순자...
    인간 본성이 선한것인지
    악한 것인지
    아니면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것인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공지 인문고전모임 '제 4기' 선정도서들! 4 서정욱 2010.05.06 4448
» 인문고전모임 2011년 도서선정 1 서정욱 2011.01.18 4336
32 인문고전모임 모임장소 변경 2 최한웅 2012.03.16 2112
31 인문고전모임 회계내역 1 서정욱 2011.01.05 2287
30 자료 인문고전읽기 3기 추천 도서 의견입니다. 1 정광모 2009.09.16 3892
29 후기 인문고전읽기 모임 - 6월 18일 토요일 3 이주한 2011.06.21 2998
28 공지 인문고전읽기 소개 3 강혜정 2009.11.28 3201
27 인문고전읽기 판넬[수정] 5 file 강혜정 2009.10.07 2768
26 자연과학읽기 4 강혜정 2010.01.17 2687
25 일반 정신의 발견-브르노 스넬-(요약) 2 김주희 2009.02.12 3445
24 제 10회 인문고전 후기 6 김남욱 2009.09.21 2665
23 현장스케치 제 6회 현장스케치 3 강혜정 2009.05.17 3704
22 현장스케치 제 7회 현장스케치 4 강혜정 2009.06.21 3824
21 후기 제 8회 모임 후기 2 강혜정 2009.07.15 3099
20 현장스케치 제 9회 현장 스케치 2 강혜정 2009.08.09 4042
19 공지 제2회 인문고전읽기 모임 공지 김원기 2009.01.15 3808
18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읽을만한 글 6 강혜정 2012.06.09 2376
17 후기 지나치기엔 아까운 5 김정량 2011.04.18 3372
16 지하생활자의 수기 1 박현숙 2009.03.29 3073
15 책읽는 사회 7 file 이병록 2012.05.08 24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