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조회 수 389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문고전모임 3기 도서 추천 의견입니다.  


3기 6개월에 읽어야 할 책은 총 6권입니다. 몇 개 분야에 집중하는 방법과 역사와 문학과 철학, 예술사 등 다양하게 골라보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저는 다양하게 보는 방식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고용으로 올립니다.


서양문명은 그리스의 유산이라고 합니다. 저는 먼저 그리스 고전을 골라봤습니다.  


1) 헤로도투스의 역사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헤로도투스와 투키디데스의 책은 양이 많습니다. 800쪽이 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도전할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소포클레스는 비극작가입니다. 황금시대 그리스 고전 비극은 오늘도 우리를 웃고 울리는 영원한 문학입니다.


  2) 사기 본기


사마천의 사기는 동양 고전 중의 고전입니다. 우리는 사기열전을 많이 봅니다만 사기 본기는 황제 이야기를 비롯하여 동양 사상의 뿌리를 담고 있습니다.


헤로도투스의 역사와 사기 본기를 비교하면서 읽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시오노 나나미 / 바다의 도시 이야기


로마인 이야기를 쓴 시오노 나나미가 쓴 베네치아 도시 이야기입니다. 한 도시를 통해 중세를 볼 수 있고 오늘 서양 문명이 왜 동양에 대해 승리하였는지 이유를 엿 볼 수 있는 책입니다.


 4)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설명이 필요없는 고전입니다. 양이 많습니다.


 5) 다윈, 종의 기원


역시 설명이 필요 없는 고전입니다. 우리 시대의 많은 화두가 되고 있는 진화론의 뿌리가 되는 저작입니다. 모두가 말하지만 거의 아무도 완역본을 읽지 않은 책이기도 합니다.   


  6) 셰익스피어, 햄릿과 맥베스 ,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셰익스피어 비극 중 햄릿과 맥베스가 어떨까 합니다. 하나는 인간 행동과 갈등을 그렸다는 점에서, 또 하나는 권력과 정치의 미학을 펼친 점에서 추천합니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유명하지만 완역본을 읽은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1권과 2권 두 권으로 되어 있고 2권에는 산초가 돈키호테가 약속한 성주가 되는 내용도 나옵니다. 햄릿과 돈키호테라는 근대의 두 인간형을 비교하면서 보는 건 어떨까 생각합니다.


  7) 윤치호 일기


일제 시대에 윤치호가 쓴 일기입니다. 1916년경부터 일제 말기까지 개화파이면서 친일파였던 저자가 본 일제 시대의 속살과 한국인을 평한 내용은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8) 서울은 깊다


최근에 나온 서울의 문화사 지리사입니다. 우리가 아는 서울이 조선시대부터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지리와 문화란 관점에서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9) 박지원의 열하일기


역시 꼭 읽어야 할 우리 고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4 공지 서울백북스 인문고전독서모임 발족 8 김원기 2008.12.03 4256
273 공지 제2회 인문고전읽기 모임 공지 김원기 2009.01.15 3808
272 후기 20080117 인문 고전 모임 후기 2 강혜정 2009.01.18 3931
271 일반 뚜웨이밍 유학강의 (요약) 2 김주희 2009.01.18 3360
270 후기 나의 인문고전모임 후기.. 2 이부원 2009.01.19 3565
269 일반 인간공자에 대하여(뚜웨이밍의 유학강의) 3 박현숙 2009.01.19 3367
268 일반 뚜웨이밍 강독에 대한 이런저런 잡상 2 김원기 2009.01.20 3322
267 일반 화이트헤드와 뚜 웨이밍 : 지난 독서 서적에 대한 약간의 참고 서적들 김원기 2009.01.24 3674
266 일반 로마인 이야기중 - 그리스 문명 - 1 이부원 2009.01.28 3544
265 공지 20090221 제 3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강혜정 2009.01.31 3301
264 일반 그리스 고전으로 들어가는 문 1 김원기 2009.02.03 3476
263 공지 인문 고전 모임 소개(2008년 12월~2009년 4월) 2 강혜정 2009.02.03 3001
262 일반 그리스 사유의 기원 3 박현숙 2009.02.04 3447
261 일반 새치기가 될까요? 1 한정규 2009.02.04 3157
260 일반 이성의 기능(요약) 2 김주희 2009.02.05 3552
259 일반 희랍적 사고방식 1 박현숙 2009.02.07 3811
258 일반 신화.. 이부원 2009.02.08 2950
257 공지 인문 고전 모임 소개 1 강혜정 2009.02.08 3107
256 일반 정신의 발견-브르노 스넬-(요약) 2 김주희 2009.02.12 3445
255 공지 2월 21일 3시 30분 인문고전모임 참석 댓글을 달아주세요 1 강혜정 2009.02.14 27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