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일반
2009.02.08 06:12

신화..

조회 수 29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화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자연현상을

부분적인 진리만을 파악할수 있는 대중에게 전달하는

비유적인 해석이다.

 

신화는 그대가 모르는것.

지금의 지식으로는 결코 알수없는 것을 그대가 알고 있는 용어들로

세계를 표현한것이다.

 

프랑스 학자이자 혁명가인 뒤피의

1795년 저서 '모든제레의 기원" 에서는

 

거의 모든 신화가 두가지 원리

즉 번식의 기적과

별들을 비롯한 천체들의 복잡한 운동가운데 하나에 기초한다고 믿었다.

 

예수나 노자 붇다 도 설명할수 없는 것을

그대가 알고 있는 어떤 상징등을 통해서 그대에게 애기하고 있다.



 

즉 모든 신화는

눈먼자의 언어로 표현된 진리  장님의 언어로 묘사된 진리라고

말할수 있겠다.

 

하늘 나라는 한알의 겨자씨와 같다.

모든 씨앗중에서 자당 작은 것이지만

그것이 밭에 떨어지면

한 그루의 큰 나무가 되어

하늘을 나는 새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겨자씨는 가장 작으면서 가장 큰 것을 그안에 담고있다.

씨앗없이 어떻게 나무가 존재할수 있는가.

이 우주가 궁극의 원인없이 어떻게 근원없이 존재할수 있는가



씨앗은 죽어야만 한다.

오직 그 때만 그것은 한 그루의 나무가 될수있다.



신은 죽어 이 우주가 되었다.

신은 나타나 있지 않지만

우주가 그 나타남이다.


그래서 신은 지금 여기 어느곳에나 존재한다.



 

원시인이 처음 낮과 밤을 맞이 했을때

태양은 나의 구원이고 신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일반 신화.. 이부원 2009.02.08 2958
73 공지 20090711 제 8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6 강혜정 2009.07.01 2962
72 일반 번개를 치고 싶었으나 ㅠ.ㅠ 강혜정 2009.02.21 2970
71 회원후기 [군주론을 읽고] 교실 속의 군주 강혜정 2009.05.05 2974
70 공지 [제26회] 1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2 서정욱 2011.01.08 2975
69 후기 인문고전읽기 모임 - 6월 18일 토요일 3 이주한 2011.06.21 2998
68 공지 [제27회] 2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서정욱 2011.01.30 3001
67 [제32회] 7월 인문 고전 모임 안내 2 서정욱 2011.06.25 3004
66 공지 인문 고전 모임 소개(2008년 12월~2009년 4월) 2 강혜정 2009.02.03 3007
65 아니 에르노의 글쓰기 8 박현숙 2009.06.02 3007
64 일반 그날 무슨 이야기를 했더라.... 5 박현숙 2009.02.24 3011
63 인문고전 11월 책 '돈키호테' 생각과 이야기 거리 2 정광모 2009.10.29 3020
62 회원후기 樂喜 강혜정 2009.04.19 3029
61 후기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을 읽고, 3 조명주 2012.01.02 3042
60 9월 선정 도서 예고 5 서정욱 2011.07.27 3044
59 멕베스-생각할 거리 강혜정 2009.10.12 3072
58 지하생활자의 수기 1 박현숙 2009.03.29 3081
57 공지 20090620 제 7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1 강혜정 2009.05.17 3100
56 후기 제 8회 모임 후기 2 강혜정 2009.07.15 3102
55 <도덕의 계보학> 토의 주제 4 서정욱 2009.09.19 3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