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일반
2009.02.05 19:25

이성의 기능(요약)

조회 수 355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규회원들이 많은 듯 하여, 저희가 이미 논의했던 책의 요약을 다시한번 올립니다^^

---------

백두선생은 과학적 유물론이 팽배하던 당시, 목적인을 배제해 버리고 실천이성만을 강조하는 과학자들의 독단성을 실랄하게 비판하면서, 목적인의 도입을 통한 실천이성과 순수이성을 조화하여 삶을 증진하기 위한 이성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1) 역사는 하향과 상향의 두 경향을 보인다.

(2) 이성은 그러한 "역사속의 창진적 요소의 자기규율"로 정의된다.

(3) 이렇게 정의내린 이성의 기능은 삶의 기술의 증진이다.

"The function of Reason is to promote the art of life"

(4) 진화론자들은 살아남음을 삶의 최적의 기술이라고 주장한다.

(5) 그러나 진화론은 인간이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형시켜왔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다.

(6) 삶의 기술이란 살고, 잘 살고, 더 잘사는 것이다.

(7) 우리가 살아갈 뿐만 아니라, 잘 살고, 더 잘살수 있도록 역사의 상향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이성의 기능 때문이다.

(8) 이성은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으로 바라볼 수 있다.

(9) 생리학으로 대표되는 과학은 목적인을 배재하고 실천이성의 측면에서만 인간존재를 고려하였다.

(10) 근대서양철학은 이성을 인간과 유리된 순수이성의 사변적 측면만 강조하였다.

(11) 순수이성적 측면을 내재화하고 실천이성의 측면에 목적인을 도입함으로써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을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 ?
    김원기 2009.02.05 19:25
    화이트헤드가 사용하는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은 그 용어를 처음으로 만든 칸트의 개념과는 같지 않습니다. 화이트헤드는 친숙한 개념들을 고유한 용법으로 사용하는 데 능숙한 저자여서 주의가 필요할 듯.
  • ?
    김주희 2009.02.05 19:25
    p.s. 요약은 어디까지나 제가 이해하는 데로 적은 바여서 저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경종~정조 발췌문 2 file 송연자 2013.04.02 1809
33 박시백 조선왕조실록 완간 1 강혜정 2013.07.25 1801
32 반갑습니다~ 1 강미영 2012.04.27 1799
31 [제47회] 10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네번째 시간 이치욱 2012.10.08 1798
30 [알림 ]인문고전읽기 상반기 결산 저녁모임 1 이치욱 2013.08.01 1790
29 가입인사드립니다. 김동환 2011.11.20 1789
28 [제61회] 12월 인문고전읽기 - 프랑스 혁명 이치욱 2013.11.30 1787
27 아슬아슬한, 여전히 아슬아슬한 3 강혜정 2013.03.03 1762
26 공지 5월 월요 인문고전 모임 변지수 2016.05.10 1757
25 [제20회] 1/6 월요 모임-중국근현대사 3 이혜숙 2013.12.17 1742
24 [제49회] 12월 인문고전읽기 - 서양문명의 역사 여섯번째 시간 이치욱 2012.12.02 1736
23 [제50회] 1월 인문고전읽기-서양문명의 역사 일곱번째 시간 이치욱 2013.01.06 1731
22 [제22회] 3/3 월요 모임-중국 고대사 1 이혜숙 2014.02.12 1710
21 아슬아슬하지만 건재한 3 강혜정 2013.01.12 1690
20 20130114 월요모임 후기 2 강혜정 2013.01.15 1680
19 [제62회]2월 인문고전읽기-혁명의 시대/에릭 홉스봄 이치욱 2014.02.18 1674
18 [제27회] 8/11 월요 모임-중국 고대사 6 이혜숙 2014.07.14 1647
17 [제64회] 4월 인문고전읽기-위대한유산 이치욱 2014.04.15 1613
16 부모인문학 강좌 소개 file 이경란 2014.02.24 1596
15 [제21회] 2/3 월요 모임-중국근현대사 4 이혜숙 2014.01.13 15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