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고전읽기

일반
2009.02.05 19:25

이성의 기능(요약)

조회 수 355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규회원들이 많은 듯 하여, 저희가 이미 논의했던 책의 요약을 다시한번 올립니다^^

---------

백두선생은 과학적 유물론이 팽배하던 당시, 목적인을 배제해 버리고 실천이성만을 강조하는 과학자들의 독단성을 실랄하게 비판하면서, 목적인의 도입을 통한 실천이성과 순수이성을 조화하여 삶을 증진하기 위한 이성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1) 역사는 하향과 상향의 두 경향을 보인다.

(2) 이성은 그러한 "역사속의 창진적 요소의 자기규율"로 정의된다.

(3) 이렇게 정의내린 이성의 기능은 삶의 기술의 증진이다.

"The function of Reason is to promote the art of life"

(4) 진화론자들은 살아남음을 삶의 최적의 기술이라고 주장한다.

(5) 그러나 진화론은 인간이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형시켜왔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다.

(6) 삶의 기술이란 살고, 잘 살고, 더 잘사는 것이다.

(7) 우리가 살아갈 뿐만 아니라, 잘 살고, 더 잘살수 있도록 역사의 상향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이성의 기능 때문이다.

(8) 이성은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으로 바라볼 수 있다.

(9) 생리학으로 대표되는 과학은 목적인을 배재하고 실천이성의 측면에서만 인간존재를 고려하였다.

(10) 근대서양철학은 이성을 인간과 유리된 순수이성의 사변적 측면만 강조하였다.

(11) 순수이성적 측면을 내재화하고 실천이성의 측면에 목적인을 도입함으로써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을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 ?
    김원기 2009.02.05 19:25
    화이트헤드가 사용하는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은 그 용어를 처음으로 만든 칸트의 개념과는 같지 않습니다. 화이트헤드는 친숙한 개념들을 고유한 용법으로 사용하는 데 능숙한 저자여서 주의가 필요할 듯.
  • ?
    김주희 2009.02.05 19:25
    p.s. 요약은 어디까지나 제가 이해하는 데로 적은 바여서 저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 나는 왜 성서를 읽게 됬는가? 5 전승철 2009.06.22 2662
53 공지 7월 모임 장소 설문(6월 30일까지) 4 강혜정 2009.06.21 2712
52 현장스케치 제 7회 현장스케치 4 강혜정 2009.06.21 3824
51 유토피아-읽기 전 단상 강혜정 2009.06.20 2292
50 공지 6월20일 인문읽기 "유토피아" 이렇게 진행됩니다. 3 이치욱 2009.06.09 2730
49 아니 에르노의 글쓰기 8 박현숙 2009.06.02 3006
48 현장스케치 제 6회 현장스케치 3 강혜정 2009.05.17 3704
47 공지 20090620 제 7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1 강혜정 2009.05.17 3100
46 공지 인문 고전 2기 선정 도서 4 강혜정 2009.05.17 4053
45 <중세의 가을>기사도, 사랑, 종교 & 예술 박현숙 2009.05.13 2824
44 <중세의 가을> 맛보기 박현숙 2009.05.10 2342
43 회원후기 [군주론을 읽고] 교실 속의 군주 강혜정 2009.05.05 2972
42 수학아카데미, 인문고전읽기, 수유+너머.. 통섭제안 5 전승철 2009.04.29 2733
41 마키아벨리, 박현숙 선생님, 그리고 인문 고전 모임, 에 그러니까 결국 잡담 1 김원기 2009.04.26 2691
40 공지 20090516 제 6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5 강혜정 2009.04.25 3335
39 내가 읽는 <군주론> 2 박현숙 2009.04.23 2395
38 회원후기 樂喜 강혜정 2009.04.19 3020
37 공지 5월 책 선정 (호이징가: 중세의 가을) 11 강혜정 2009.04.19 3738
36 알튀세르가 읽는 마키아벨리 1 박현숙 2009.04.16 2425
35 공지 인문 고전 읽기 제1기 마지막 모임 안내 4 김원기 2009.04.03 29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