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선님의 글에 대한 의문

by 이기두 posted Jun 19,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선님이 서양철학의 관점에서 요즘 백북스에 글을 많이 올려주고 있는데,
백북스에서 종래 체험하지 못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나로서는 신선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하여 의문이 많이 일어나게 합니다.
의문이 나는 것이 많아도 모두에 대하여 얘기 할 수는 없고, 두가지를 질문했는데,

몇번의 질문이 이어지면서,  미선님과 저의 사이에  근본적인 어떤 차이가 발견되는 것 같습니다.
미선님이 별도의 글을 올려 주기를 바라고 있어서 글을 올려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첫번째는, '인간현상은 신경세포의 몸부림의 결과물'이라는 뇌과학자의 주장에 대하여 반대의 입장을 밝힌 부분에 대하여 
그 뇌과학자가 '신경세포의 행동'만을  이해하면 인간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면, 미선님의 비판이 옳을 것이고,  만약에  신경세포의 행동의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말한 취지라면,  미선님의 비판을 피해갈 것 같다는 취지의 의문을 표시 했습니다.
 세포에는 신경세포만 있는 것이 아닌 것은 상식이고,  당연히 신경세포의 행동만으로 인간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는 과학자는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둘째는  초자연주의와 신비주의의 구별에 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초자연주의는 점성술같이 합리주의와는 교집합이 없는 것이고,  신비주의는 합리주의와 같이가는 것이라는 취지의 글이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화이트 헤드의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미선님이 인용으로 "왜 신비주의인가'라는 글을 읽고 어떤 입장인가는 약간 짐작은 했지만,  여전히 의문이 충분히 해소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미선님이 별도의 글을 올리면 충분히 설명하시겠다고 하시므로 글을 새로 올립니다.
제 질문의 취지는 미선님이 신비주의와 합리주의가 "포월"관계로 설명한다면,  우리가 합리주의의 결과물로 이해하는 것으로 부터  "신비주의"  궁극적 실재"같은 용어가 당위성으로 설명이 되어야한다는 입장입니다. 
친절한 설명을 바랍니다.

아래 글은 앞에 질문을 했던 내용인데, 답변을 듣지 못해서  다시 따왔습니다.
제가 잘못 이해하는 부분이 있으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위 댓글에 인용된 '왜 신비주의인가'를 읽는 동안에 불교의 한 가지인 밀교가 먼저 비교되는 것으로 생각이 되었고, 참선도 같은 체험의 계통에 속하는 것 같고, 도교계통도 비슷한 입장인 것으로 생각이 되었습니다.
 이슬람교에도 비교되는 종파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스 철학에 엑스터시라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  위 인용의 글에서도 역시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니까,  고대 이래 종교에서 일반적으로 수행 과정에서 체험했던 것과 연결되는 개념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동양에서는 '없는 본바탕'에서 어떻게 '있는 것'(지각되는 것)으로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는데 촛점이 있는 반면에 미선님의 글에서 '궁극적 실재'라는 것을 추구의 중심에 놓고 보면, 그 안에 무엇이(궁극적 실재) 있어서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것으로,  有에서 有로 연결되는 관점이라서 서로 같은 관점이라고 볼 수도 없다는 생각이 됩니다.---이것이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된다는 생각입니다.
또 '신비주의'라는 용어 자체가 적절한 것인지 여전히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의 입장은 공감이 갑니다.
당시로서 매우 진취적인 철학을 하신 분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철학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언어일지라도, 내가 이 용어를 사용했다면 제가 제시하는 관점에 대하여 남의 설명을 인용하지 말고, 이 글을 쓰신 본인의 입장에서 어떤 생각을 하는지 설명해 주시기 바란 것입니다. "  







B.미선님과 저 사이의 이 토론을 감상하신 분들께
제 취지를 이해하시도록 약간 부연하자면,
비교할 것이 있습니다. 

미선님이 '궁극의 실재'라고 이름을 붙인 부분에 대하여
동양에서는 무극,  태허, 태극,  적멸, 무, 공,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미선님이 신비주의로 표현한 것에
동양에서는
理, 氣, 法
등으로 표현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동양의 용어는 최소한의 형식으로 용어를 만든것으로 보입니다.

저로서는 유형적으로, 의미적으로 표시되지 않아야 할 것은
그런 용어로 표현되지 않아야 할 것이라는 취지였습니다.

 
















Articles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