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응노 미술관은 그 건축물 자체도 아름답지만, 건물 내부에서 밖을 바라보는 것도 하나의 작품입니다.
이응노 화백의 추상작품들과 자연스레 어울려져 있는 비디오아티스트 강현욱의 작품을 보고 왔습니다.
작품 갯수는 많지 않았지만, 상당히 축약적이여서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었어요.
첫 작품이 '나 그리고 너'라는 글씨가 선명한 피라미드 였는데, 왜 이응노 화백의 작품들 한 가운데에 놓여있는지, 작품의 제목이 오마쥐 투 이응노인지 관람을 다 한 후에야 이해 되었습니다.

그가 말하는 세계에 공감하며.
그가 직접 곁들인 설명이 있어 옮깁니다.

" 지진, 자동차 등 죽음이 자기 앞을 다가 올때 그 느낌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그것이 우발적이던 자연발생적이던!
그저 거대한 힘이 몰려 올 뿐이다.
...(중략)...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컨트롤 밖에 있는 우발적 사건들이다.
거기에다 더 재미 있는 건 그런 상황들이 계속 반복된다는 거다.
어떤 큰 이마주가 눈 앞에 밀려오면 그 앞에서 무기력하게 일어나는 현상. 그리고 반복.
그런 힘들을 눈 앞에서 바라보고, 느끼고, 거기에 저항을 하던, 무기력해지던...
...(중략)...
반복과 폭력 그리고 거짓과 진실.
잠깐 나왔다가 사라지는 것, 그리고 반복되는 것. 이런 존재가 있는 것.
우린 그런 이미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거기에는 항상 무기력함이 존재한다.
거대 이미지에서 발생되는 막연함 위기감, 인간이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당혹감 안보이는 끝. 중요한 것은 사건의 시작이나 끝점이 아니라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한다는 것에 있다. 사건의 뿌리나 근원, 혹은 그 사건이 도달하게 될 목표점을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다만 그 사건의 '몸통'을 우리는계속 목격할 뿐이다. "  
- 강현욱의 말 -

오늘, 강현욱작가를 만납니다.
그를 통해 현대를 이해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이해하는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들, 잠시 후에 뵈어요~


  1. No Image 19Jun
    by 김영이
    2009/06/19 by 김영이
    Views 2003 

    2030사랑방~

  2. 20대 후반 (윽!), 나의 시간 속도는 시속 5km.

  3. 20시간 홈베이스 복귀 화보...

  4. 2120번 출력하기 좋게 요약

  5. No Image 19Apr
    by 손민영
    2011/04/19 by 손민영
    Views 1328 

    212차 백북스 선정도서는 언제 올라오나요?

  6. No Image 25Dec
    by 이정모
    2010/12/25 by 이정모
    Views 1584 

    21세기 융합 테크놀로지를 여는 인지과학; 한겨레 [사이언스온] 웹진 기사 : 테크놀로지 너희가 ‘마음, 몸, 이야기’를 아느냐?

  7. 23개월 짧은 삶을 살다간 아이랍니다.

  8. 23일 오후 6시, 카이스트,재미있는 강연이 있네요.

  9. 23차 서울 백북스 선정도서

  10. No Image 07Aug
    by 임석희
    2012/08/07 by 임석희
    Views 1435 

    243차 정기강연을 기다리며...

  11. 25일날 그냥 가면 되나요?

  12. No Image 08May
    by 고원용
    2013/05/08 by 고원용
    Views 1994 

    261차백북스 선정도서 "인류의 발자국"

  13. 26일 경영경제 모임

  14. 27일 선정 도서 "2막"(명진출판)

  15. 28일(일) 지식네트워크 행사 - 교통편 참조 !

  16. No Image 06Apr
    by 오창석
    2010/04/06 by 오창석
    Views 1688 

    28차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장소 변경 : 온지당)

  17. 2월 26일자 조선일보 기사 사진입니다^^

  18. 2월 3일 후기

  19. 2월 첫 번째 모임 안내~!

  20. No Image 11Feb
    by 박용태
    2011/02/11 by 박용태
    Views 1541 

    2월11일(금요일)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강연회 안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