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23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백북스 출범을 기념하며>

처음으로 대전의 백북스에 참가하기 위해 갔던 곳은 서쪽이었습니다. 수통골, 온지당이요. 열차를 타고 대전역에 내려 지하철 타고 40분. 현충원역에서 내려서 버스를 타고 도착했던 것이 아마 3년 전일 겁니다. 그 때는 혼자 갔습니다.

마지막으로(현재까지는) 대전의 백북스에 참가하기 위해 갔던 곳은 동쪽이었습니다. 장동 황톳길 산림욕장이요. 열차를 타고 대전역에 내려 자가용으로 30분, 그리고 25분 걸어서 도착한 것이 어제입니다. 이 때는 여럿이 갔습니다.

3년 전과 비교해서 무엇이 저 개인에게 달라졌을까요. 10년 전의 백권독서클럽과 지금의 백북스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여러분의 무엇이 달라지셨나요? 책을 더 많이 읽게 되었나요?

저의 경우, 우연치 않게 소모임을 만들어 '리더'라는 타이틀로 한 마디까지 할 기회도 얻었으니 많이 달라진 것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저는 친구도 많이 생겼고, 목표도 갖게 되었습니다.

사실 백북스에서 만난 분들은 사전적 의미의 친구는 아니죠. 저는 아마 어린 놈으로 분리될 겁니다. 하지만 이 곳에서의 관계는 매우 수평적입니다. 사회 여타의 조직과는 다른 민주적 관계 말이죠. 나이, 사회적 지위 등을 이용하여 자신을 부각시키는 것이 아닌 몸소 낮추고 이를 실천하는 모습입니다. 출범식에서도 곳곳에서 저는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임석희 실장님께서 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모두 일을 거들라고 외치실 때는 모두 모여들긴 했지만요. 서로를 생각하는 다시 말해 'Respect'하는 이 현상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봤습니다. 답인 즉,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였기 때문 아닐까 합니다. 책 읽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지식과 앎을 추구하나 항상 겸손해야함을 잊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런 분들만 모여있는 곳에서 친구를 만났으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특히, SNS상에서만 보던 타 지역의 회원들을 직접 뵈니 재밌었습니다. 물론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아쉬웠지만요.

그리고 목표, 목표가 생겼다고 위에 언급을 했는데, 다름이 아니라 견고한 소모임을 만들어나가는 겁니다. 예를 들어, 생물학소모임은 10명 선에서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적어도 문제지만 많아도 문제인게 소모임이기에 양적인 성장보다는 질적인 성장에 주목하려고 합니다. 한편, 연령대가 매우 다양하고, 관심사도 매우 분산적이지만 책 한 권으로 똘똘 뭉쳐서 항상 재밌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저만의 생각일까요? (흠흠)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처음으로 백북스 모임에 오신 분에게 두 번째에 또 오실 수 있게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공부거리를 갖고 이야기한다는 것 만큼 즐거운 게 없다는 느낌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두번째 목표는 널리 백북스를 알리는 겁니다. '중도일보'에 에세이를 회원들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도 적극 참여할 생각이고 현재는 사이언스온에 글을 통해 백북스를 알리려 노력 중입니다.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출간에 관하여

박성일 원장님께서 책을 출간하셨다는 사실 그 자체도 기쁜 일이지만, 저는 백북스를 통해 책이 완성되었다는 점에 더 감동을 받았습니다. 좋은 선례가 되어 이후 글을 쓰고 그 글들을 모아 책을 내는데 있어 하나의 롤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현영석 교수님께서도 비슷한 취지의 말씀도 하셨고요. 한편으로 책을 꼼꼼하게 읽어보겠습니다. 홍채의학과 한의학, 두 분야 모두 흥미롭습니다. 두 분야에 관해서는 철저한 아마추어로서 다가가 세심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궁금했던 질문들이 맞는 방향의 질문인지 또 홍채진단이라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해 그냥 알고 싶기 때문입니다. 그 질문은 홍채의 색깔과 패턴과 한의학적 증상 간에 상관관계가 어떻게 되있는지, 과연 뇌체질이란 무엇인지 등 입니다. 국내 아니 세계에서 최초로 이루어지는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논쟁이 있을 것 같기도 하고, 그 논쟁 속에 놀라움과 새로움이 나오므로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홍채진단을 통해 한의학의 과학화에 힘쓰신 박성일 원장님의 업적과 노력은 본받아야겠습니다.

덧붙여서, 출범식에서 제게 백북스에 대한 축하의 말을 할 수 있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를 포함한 다른 백북스 식구들에게 깔끔한 여정이 될 수 있게 열차표를 제공해 주신 박성일 원장님, 그리고 카풀을 통해 또 하나의 인연이 된 김진형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rofile
    김형태 2012.06.27 19:24
    백북스 사단법인 출범식에서의 한정규 선생님의 소모임 대표 자격으로의 축사 내용이 마음에 남습니다.
    ..., (사)백북스의 향후 운영에서도 '아마추어리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아울러, 저는 이름만의 '학습독서공동체'가 아니라 '공동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대전 서울 이외의 지역모임까지 획일적인 구성으로 운영되는 것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주제가 중복되더라도 다양한 소모임이 지역마다(또는 지역 내에서도) 생겨날 수 있는 열린 풍토가 조성되기를 희망합니다.
  • ?
    조수윤 2012.06.27 19:24
    저도 백북스 200회 행사때 처음뵙고 그 이후로는 SNS와 게시판을 통해
    한정규님을 만나왔었는데 늘상 보던 친구를 맞이하는 기분이었습니다
    책을 통해 이어지는 인연들에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
  • ?
    우현종 2012.06.27 19:24
    한정규님 굵직한 내용 용기내주셔서, 잘 읽었습니다.

    누구는 "책을 읽는 사람이 성실 혹은 충실해진다"라고 했었지요.
    혹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겸손해진다고 합니다.

    '앎'때문일까요?

    제게는 '앎'보다는 '체화(institutionalization)'가
    우리 '스스로를' 겸손하게 하는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책 속의 유용한 '정보'를 앎에 그치지 않고,
    '경험'을 통하여 지식으로 '체화'하는 단계가 백북스 내에서 가능해지기를 바랍니다.

    그 경험은 진지한 토론이나 회원간 관계를 통한 사회활동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여 저는 그런 견고한 유대의 모습을 백북스에서 조심스럽게 기대해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진행중인 회원 자발적인 모임 '우리 당장 만나' 프로젝트처럼

    때론 전문가와 견줄 수도 있는 아마추어리즘은
    책과 함께 철저히 경험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래전 그리스 비극작가는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You may think you know it, but, you have no certainty until you try.", Sophocles, BC 300.

    금요일 저녁에 서울백북스에서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임덕수 2012.06.27 19:24
    예,좋은 글 잘 보았고요. 저도 선생님은 게시판에서만 보다가 그날 행사장에서 뵙고 넘 반가웠어요. 직접 인사는 못드려서 아쉽지만... 다움 기회는 인사 올리겠습니다. 소모임이 중요하지요. 계속 화이팅 하세요...
  • ?
    임석희 2012.06.27 19:24
    서울에서 한 번, 이번 대전에서 한 번.
    두번뿐이지만, 오래전부터 만났던 것같은 느낌?
    반가왔습니다.

    다음엔 육인방 모임에 함 불러주세요~. 어떤 얘기들이 오갈지 기대됩니다~
  • ?
    정남수 2012.06.27 19:24
    축사 하실 때 "아마추어리즘"이라는 말씀에 저 역시 크게 공감했습니다.
    몸을 앞으로 기울이고 귀기울여 듣고 나누던 그 초심말이죠.
    다음에는 대전의 남쪽으로 한번 납셔주시지요~ㅎㅎ
    또 뵐께요~~
  • ?
    이병록 2012.06.27 19:24
    소모임을 만들어 정말 하고 싶은 학습독서를 하고
    정기모임을 통해서는 균형독서와 친화를 하면서
    평생 이어가는 독서모임이 우리의 가치..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04 공지 梨花에 月白하고... 배꽃에 취했는가, 달빛에 취했는가 온지당 행사 후기 9 류우정 2008.04.20 2338
4303 공지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3 강신철 2009.01.25 3840
4302 공지 힘내세요 조근희 2002.12.20 3722
4301 공지 히딩크 리더십 이야기 관리자 2002.07.04 5073
4300 공지 희망의 인문강좌에 초대합니다 아카데미 2008.04.22 2015
4299 공지 흥미로운 랑데뷰 2 엄준호 2007.12.31 2108
4298 흔들리며 피는 꽃---도종환 김학성 2009.08.20 2134
4297 공지 휴보 5 문경수 2007.12.11 2689
4296 공지 휴가사진 1 문경수 2005.08.12 2851
4295 공지 훌륭한 독서법 이중연 2002.08.22 4136
4294 훈련병 부모님이 쓴 편지를 게시판에 올립니다. 3 이병록 2010.02.13 2580
4293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국내 방사선 영향..긴급토론회 자료 2 file 서지미 2011.04.07 2128
4292 공지 후기사진을보면 캠코더로 찍던데... 2 이동욱 2008.11.11 2079
4291 회원탈퇴 어떻게 하나요?? 1 박정화 2009.04.27 2236
4290 공지 회원탈퇴 어떻게 하나요?? - 2005.10.25 3055
4289 회원탈퇴 1 김가은 2010.04.28 2381
4288 공지 회원이 되고 싶습니다.. 4 신현숙 2008.03.02 1729
4287 공지 회원여러분의 소중한 '항우와 유방1.2.3' 독서리뷰를 기다립니다. 6 김주현 2007.05.01 3510
4286 공지 회원님의 소중한 10줄의 '부의 미래' 독서리뷰를 기다립니다. 1 김주현 2007.04.24 2649
4285 공지 회원님들 새해 복 많이 빋으세요 강신철 2003.01.04 35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