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2.05.10 00:47

더블/ 박민규/ 창비

조회 수 155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민규의 소설은 따뜻하다. 그의 소설 소재인 치매노인, 불치병 환자, 신용불량 대리운전기사, 광고대행사 직원, 미래의 인간, 17,000년 전의 원시인 들은 따뜻하게 그들의 기막힌 인생을 긍정한다.

자신들을 구렁에 빠뜨린 사회를 한 번 뒤집어엎거나 살인을 해서라도 보복할 법도 하건만 그들은 우울하게, 때로는 유머로 자신들의 신세를 반추하고 뒤돌아서서 흐린 조명을 따라 사라진다.

소설집 ‘더블’은 모두 18편의 단편을 싣고 있다. 그 단편을 읽으면 박민규 이 양반 상상력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부딪힌 상황에서 한 걸음 더 재껴 내딛는다. 한 번 더 도움닫기를 해 본다. 그의 소설에는 온갖 직업에 구석기시대 사람부터 쳔년 후의 미래 인간까지 나타나 마구 설을 푼다. 그의 특허품인 독특한 행갈이가 지나가면 그들의 사연은 굴곡지며 어떤 사람은 아예 뒤집어진 롤러코스터가 되며 혹자는 추락한다.

그 스토리 사이에 엉뚱한 유머가 끼어든다. 천년 후에 해동된 높으신 냉동인간이 자부동(방석)을 찾거나 노인요양병원에서 만난 첫사랑 치매 여인 앞에서 오줌을 싸거나, 애써 준비한 행사용 비행선을 쫒아가면서 마주치는 사냥꾼의 총질, 한강 아치에 자살하러 올라간 사람 앞에 경찰관이 내놓는 한국전쟁 당시 폭파된 한강철교 사진 같은 유머들은 작품 속에 틀어박혀 나도 몰라, 이게 뭔 황당 시추에이션인지 하며 나를 올려다본다.

박민규가 창조한 주인공은 우리 일상에서 보는 인물인데다, 그들이 쓰는 용어도 최신용어라 현실에서 소설 속으로 막 뛰어든 인물 같다.

그 인물들은 마라톤을 뛰며 뒤쪽 선수들이 어디까지 왔나 슬쩍 뒤돌아보는 선수들의 시선처럼 이 세상이라는 울타리에서 여기저기에 끼어든다. 그 에피소드들이 대개 있을 법 한 일인데, 인생에 불쑥 끼어든 재수 나쁜 사고처럼, 또는 인연 좋은 만남처럼 인생을 헝클어놓는다. 그러면서 우리의 삶이, 인간이라는 존재가, 우리 사회는 어떤가를 온화한 눈으로 묻는다.

18편의 단편집에서 ‘낮잠’과 ‘아치’와 ‘딜도가 우리 가정을 지켜줬어요’가 좋았다.

그리고 작가 프로필에 간략하게 정리된 ‘ 1968년생. 소설가’라는 소개가 좋았다.

작가가 군말이 뭐가 필요하랴.

작가의 말에서 지난 5년 동안 두 편의 장편과 스물 네 편의 단편을 썼다는 사실도 좋았다.

그 간 쓴 작품 양이 엄청나다.

더 열심히 쓰겠다는 다짐도 좋았다.

그가 장편에 더 많은 시간과 공을 들이면 좋겠지만 뭐, 이대로도 좋다.

  • ?
    정남수 2012.05.10 00:47
    따뜻한 소설이라는 솔깃합니다.
    아픈 현실이나 괴로운 일상은 아무리 소설로 접한다고 해도,
    춥고 서럽기 마련인데 따뜻하게 마주할 수 있다니 좋네요.

    아~ 새로운(저에게는^^) 작가와 작품소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04 공지 늦은 가입인사 드립니다 ^^ 4 송지훈 2008.12.16 1523
2203 공지 늪, 뒤늦은 가입인사 7 박승현 2009.01.19 1701
2202 공지 니체 - 뱀 - 자기극복 - 천경자 임석희 2007.09.17 2023
2201 공지 니체의 영향을 받은 고병권 님의 철학을 접하고 2 이정원 2007.09.18 1983
2200 닉레인의 산소 책신청받습니다. 9 김영이 2009.08.04 2477
2199 공지 다달이 변해가는 서울 모임 7 이병록 2008.07.29 1399
2198 공지 다마지오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스피노자의 뇌--- 1 박문호 2007.05.21 2064
2197 공지 다시 내딛는 첫걸음. 4 이소연 2007.12.29 1414
2196 공지 다시 맞이하는 송구영신 7 임석희 2007.12.18 1506
2195 다시 백북스를 찾을 날을 기대하며 4 고석범 2009.10.08 1985
2194 공지 다시 새벽에 길을 떠난다 ... 1 오중탁 2003.06.30 2314
2193 다시 올립니다. 2 이중훈 2010.03.23 1952
2192 공지 다시.. 구용본 2003.02.12 2591
2191 다윈 탄생 200주년 기념 특강 <진화론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김창규 2009.05.12 1842
2190 공지 다음 100books 모임 날짜는 7월 24일 (목요일)입니다. 박문호 2008.07.11 1420
2189 공지 다음 100books 발표자들 5 박문호 2007.05.29 2188
2188 공지 다음 Offline Meeting은 5월 넷째 화요일인 5월 27일 가집니다. 2 강신철 2003.05.05 2732
2187 공지 다음 독서모임 2 박문호 2007.05.12 1916
2186 공지 다음 주 독서모임 내용 관련 1 박문호 2007.04.08 1573
2185 공지 다음에 읽을 책은 무엇입니까? 유수연 2002.12.01 2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