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1.08.18 18:39

글과 사람

조회 수 16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글이 곧 그 사람은 아니다 .............................................. 마광수(연세대 국문과)





어느 헌 책방에서였다. 이 책 저 책을 뒤지고 있던 내 손에 아주 낡은 책 한권이 무심코
집혀졌다. 『여성과 교양』이라는 책이었는데, 겉장을 들여다본 나는 그 책의 저자가 이
승만 정권 때의 실권자였던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인 것에 놀랐다. 박마리아라면 지금까
지도 세상 사람들 입에 ‘나쁜 여자’로 오르내리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4. 19 혁명이 있기
몇 년 전에 쓴 책이었던 것이다.

속 겉장엔 ‘이화여자대학교 부총장 박마리아’라고 되어 있었고, 이화여대 출판부에서 간
행한 것이었다. 그리고 본문 앞에는 당시의 이화여대 총장 김활란의 서문이 들어 있었고,
박마리아를 대단히 칭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었다. 책의 내용을 훑어보니 박마리아 자신
의 성장기와 신변적인 얘기를 써나가면서 교양 있는 여성이 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었다.

나는 그 책을 보고 나서 깊은 회의에 빠져들었다. 그 책에 씌어 있는 글 자체를 놓고 박마
리아를 평가한다면 누가 그녀를 악인이라 할 것인가? 그만큼 그 책은 품위 있는 내용의
글들로 채워져 있었다. 책이 출판됐을 당시에 그 글을 읽은 독자들은 박마리아의 인품을
흠모했을 게 분명하다. 박마리아의 인격과 그 글을 분리시켜 놓고 생각해 본다면, 그 글
자체는 너무나 훌륭한 것이었다.

그러나 박마리아의 존재가치가 떨어진 요즈음, 사람들은 숫제 그 책을 읽으려고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책을 쓸 당시에는 박마리아가 한없이 선량하고 양심적인 사람
이었다가 그 후에 나쁜 사람으로 변한 것일까? 그럴 수는 없는 게 아닌가. 한 사람의 인간
성이 그토록 쉽게 바뀔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박마리아가 정말로 나쁜 사람인
지 아닌지는 함부로 속단할 수 없는 문제다. 하지만 그녀를 일단 역사적 통념으로 평가한
다고 할 때, 박마리아가 쓴 글은 인격적으로 불완전한 사람이 가식적으로 쓴 글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글 자체가 그 글을 쓴 사람의 인격의 허위성 유무(有無)를 판별해 줄 수 있을까? 그것은
힘든 일이다. 박마리아가 쓴 글은 4. 19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개입하면서 판별이 쉽
게 이루어진 경우인데, 그것도 사실 확실히 믿을 것은 못 된다. 일반적인 글이라면 시간
이 흘러가 작자의 생애와 배경과 인간관계 등 주변적인 자료들이 다 조사된 다음에라야
어느 정도의 판별이 가능한데, 그것 역시 정확한 것이 될 수는 없다.

바로 이 점에 의외로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나는 깨달았다. 즉 우리가 책이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해서 대하고 있는 글들이 모두 다 허위의식으로 가득 찬 모순투성이의 글들
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일어났던 것이다. 사람들은 이런 의문을 별로 제기하지 않는다.
그들은 신문의 칼럼이나 잡지의 사회비평 같은 것을 읽으면서, 그 글이 갖고 있는 ‘품위’
와 ‘조리’에 홀려 글을 쓴 필자의 인격을 높이 평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인생’ 하나만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산다’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포
함하고 있다. 곧 ‘자신의 인생을 산다’와 ‘글을 통해 타인의 인생을 산다’가 그것이다. 다
시 말해서 인간은 자신의 삶 이외에 ‘글 속에서의 삶’을 하나 더 살고 있는 것이다.

‘글을 통해 사는 타인의 인생’은 곧 ‘문자적 경험’을 의미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문자적
경험 (즉 간접경험) 이 실제적 경험 (즉 직접경험) 보다 인간의 인식에 더욱 뚜렷한 인상
을 주어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제적 경험과 문자적 경험의 차이는 크다. 그런데도
인간은 그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끔 만성이 되어버렸다. 아니 문자적 경험을 실제적 경
험보다 오히려 더 신뢰하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여기에 글의 모순이 있다. 아니 글 자체에 모순이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여지껏 글에 대
해서 갖고 있던 인식에 모순이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글은 곧 그 사람이다”라는 말을
철저하게 믿어왔었다. 거의 모든 작문 교과서 첫머리에 나오는 이 말은, 많은 사람들 머
릿속에 큰 비중을 갖고서 주입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말에 부합되지 않는 사례가 많
다. 아니 거의 모든 글이 다 이 말에 부합되지 못하는 것 같다. 앞에서 예로 든 박마리아
의 글이 좋은 보기이다.

물론 글로 표현된 자아(自我)는 그 글을 쓴 사람의 ‘표면적 자아’가 아니라 ‘심충적 자아’
이고, 그런 심층적 자아가 필자 자신도 모르게 드러난 결과물이 곧 글이라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우선 글이 담당하고 있는 ‘전달자’로서의 기능을 생각해 볼 때, 글이
갖고 있는 위선성과 과장성, 그리고 안이성과 허위성이 독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자못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5월11일(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 1 file 미선 2013.05.03 1816
423 5월11일 강연자 김학민 원장과 대한민국 IT현실 최정원 2010.05.11 1848
422 공지 5월 첫번째 읽을 책과 모임 안내입니다. 송윤호 2003.03.27 2445
421 공지 5월 산행모임을 다녀온 느낌을 적어봅니다. 5 서윤경 2007.05.07 2510
420 공지 5월 계룡산 등반 스케치 5 김홍섭 2007.05.07 3059
419 5월 29일 TEDx Daejeon 3 고원용 2010.05.16 2127
418 공지 5월 27일 목요일 46회차 모임안내~!!! 2 송윤호 2004.05.18 2313
417 공지 5월 27일 금요일 오정근 박사님의 <중력파> 강연 안내 박용태 2016.05.26 1695
416 5월 19일 [사랑방 이야기]♥ 10 윤보미 2009.05.20 2924
415 공지 5월 12일 수요일 모임 안내~!!! 송윤호 2004.05.10 2350
414 5월 (인류학자 되기), <카메라로 펼친 천 개의 눈, 천 개의 이미지> 인류학자 임민수 2010.04.26 1989
413 공지 57차 독서모임 11.10 수요일 현영석 2004.10.23 2279
412 공지 56회차 모임! 10월 26일 화요일 입니다 .^^ 송윤호 2004.10.23 2257
411 공지 56회 토론회 후기입니다. ^^ 송윤호 2004.10.27 2058
410 공지 56회 모임 인물전~!!! *^^* 3 송윤호 2004.10.28 2344
409 공지 52회 토론회 후기 입니다~~ ^^ 송윤호 2004.08.26 2026
408 공지 51회 토론회 후기입니다!!! *^^* 1 송윤호 2004.08.12 2028
407 공지 51회 독서클럽 토론회 발표자료 파라곤 2004.08.09 2260
406 공지 50회 특집 토론회 최종공지! 송윤호 2004.07.25 2302
405 공지 50회 초청 노마디즘 이진경 박사 프로필입니다.. 1 송윤호 2004.07.16 44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