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1.05.28 08:06

십대들이 그린 세상

조회 수 134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느 고등학교에 갔다가 발견한 열일곱, 열여덟 아이들의 작품입니다.
[Ctrl키와 -(마이너스)키를 같이 두 번쯤 눌러서 화면을 줄이면 보기 편하실 겁니다.]


















  • ?
    송윤호 2011.05.28 08:06
    세상에나 ~~~~

    작품을 감상하지 않고 시놉시스와 기획의도만 보고도 소름 돋네요.
    느껴지는 바가 매우 많습니다.
    아이들이 바라보는 세상이 이렇게 구체적이면서도 철학적이라니...

    하지만 작품을 만든 아이들이 대단하다고 느껴지면서도
    10대들에게 보여지는 우리 세상이 그다지 아름답지만은 않은 것 같아
    슬프기도 합니다.
  • ?
    김미선 2011.05.28 08:06
    자유게시판에 글이 안 올라갔다고 생각하고 같은 내용을 인천백북스에 올렸는데...? 저는 여태 자유게시판에 올라오는 새 글은 모두 첫 화면에 보이는 줄 알고, 시스템이 바뀌었구나 생각했어요. @.@; 여기 댓글이 달렸으니 인천 쪽을 지울까 했는데... 저 같은 게시판 미아가 또 계실 것 같아 괜찮다면 남겨두고 싶습니다. 혼자 보면 안 될 것 같아서 찍어 온 거니까...^^;
  • ?
    송윤호 2011.05.28 08:06
    아직 시스템은 바뀌지 않았는데, 어찌된 일일까요. @.@

    자유게시판, 인천백북스 양 쪽에 다 있어도 좋겠어요. ^^
  • ?
    김향수 2011.05.28 08:06
    와우 10대들이 우리들의 자화상을 이렇게 표현해내다니,
    작품 모두 예술입니다.^^*

    특히 Title 풒(poop)에서 아~하고 감탄이, 10대가 어떻게 이런 시놉시스를
    아님 10대여서 가능한 시놉시스인가,
    몇 년전 빌딩가에서 화장실을 찾다가 사색이 되었던 기억이 있는데,

    정말 혼자 보기 아까운 작품들이네요,
    잘 감상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
    이재민 2011.05.28 08:06
    잘 보았습니다.

    청소년들이 이런생각을 하고 있는 줄 몰랐습니다.
    어른들로하여금 많은 것을 생각케 합니다.

    청소년과 기성세대간의 직접적인 대화창구를 강제로 만들기가 현실적으로 어렵지요.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간접적인 대화를 시도하는 것도, 세대간 소통에 있어 큰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위의 작품중 특히 '이기거나 지거나(win or lose)'가 찡~ 하게 와 닿네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4 공지 아고라 위치입니다.. 구용본 2003.02.12 2665
2963 공지 아고라 위치~(모임 장소) 관리자 2002.07.30 3582
2962 공지 아고라 어떻게 가나요??? 송윤호 2002.07.05 4102
2961 공지 아고데고 미안해라!!!! 조근희 2002.08.07 3546
2960 공지 아! 선영씨... 2 윤석련 2003.06.16 2406
2959 씨네큐브 광화문, 안녕. 3 이정원 2009.09.03 2148
2958 공지 쓰촨성... 蜀道難 (촉도난) - 李 白 이 백 1 전재영 2008.05.17 2548
» 십대들이 그린 세상 5 김미선 2011.05.28 1344
2956 심장과 뇌의 상호작용 관계를 통한 정서 인지 느낌 2 file 미선 2013.12.29 2222
2955 공지 실명인증 송송이 2008.12.22 1647
2954 공지 실리콘밸리에서 소식 띄웁니다 4 최병관 2004.12.08 2136
2953 공지 신희섭 박사님 뇌강연---전자통신연구원 대강당--- 박문호 2007.06.08 1970
2952 신체가 정신에 미치는 역할, <베르그송 사상에서 신체와 기억> 다지원 2010.12.14 1573
2951 신청 박준석 2011.03.03 1459
2950 공지 신입생입니다^^ 5 백가을 2008.10.23 1389
2949 공지 신입 신고 합니다^^ 7 김선이 2008.11.26 1496
2948 신의 개념, 믿음, 종교, 이야기: 새길 글 통합본 pdf file (1.006 M) 링크 3 이정모 2010.12.27 1475
2947 신우제 독서록(1차) 박서현 2009.08.01 1859
2946 신영복 교수님의 강의, 마음에 깊이 남네요. 1 김민희 2009.06.10 1931
2945 신영복 교수님 강연회를 마치고.. 4 홍종연 2009.06.10 2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6 Next
/ 216